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문화산책] 새들과 물고기를 부러워하며…

#마음풍경 1   매년 유월이 되면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 노랫소리가 가슴을 울린다. 아리고 쓰리다. 우리에게는 통일(統一)도 중요하지만, 더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통일(通一)이라고 신영복 교수는 강조했다. 외교적 군사적 정치적 통일(統一)과 함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통일(通一)이야말로 진정한 ‘하나 됨’이라는 말씀이다. 공감이 간다. (신영복이란 이름을 거론하는 것만으로도 문제가 되는 현실이 참 아프다.)   어느 통일이든 좋으니, 하루라도 빨리 되기를 간절히 바라지만, 내 생전에 이루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안타깝고 슬프다.   #마음풍경 2   38이라는 숫자가 화투판에서는 막강한 힘을 쓴다는데, 민화투도 칠 줄 모르는 내게는 그저 조국을 둘로 갈랐던 38선으로만 아프게 읽힌다. 목숨 걸고 삼팔선을 넘은 삼팔따라지의 후손이 느끼는 강박관념 때문일까? (지금은 휴전선으로 과거의 38선과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부디 이런 푸념이 어린 시절 어머니 등에 업혀 삼팔선을 넘어와 살아남은 자의 처량한 넋두리이기를 빈다.   #마음풍경 3   6·25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0년 넘는 세월이 흘렀다. 전쟁을 직접 몸으로 겪었던 국민이 그리 많이 남지 않았다는 뜻이다. 달리 말하면 전쟁을 모르는 세대가 국민의 대다수를 이루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런 세대 변화에 따라 통일에 대한 생각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전쟁을 겪지 보지 않은 세대를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해보면, 통일을 꼭 해야 하나? 이대로 살면 되는 거 아닌가? 통일을 하면 오히려 더 골치 아파지는 거 아니냐? 이런 의견이 만만치 않게 나온다고 한다.     지독한 반공교육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젊은 세대는 과거 세대와 생각이 전혀 다른 것이다. 세월이 조금 더 지나 전쟁세대가 더 없어지면 생각은 더 달라질 것이다.   #마음풍경 4   북한은 걸핏하면 미사일을 쏘아댄다. 아슬아슬 무섭다. 궁지에 몰려서 그런다고 하는데,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다른 시각으로 보면 미사일은 돈 덩어리다. 돈뭉치를 하늘로 쏘아 올리는 셈이다. 그것 때문에 죄 없는 북한 주민들은 굶주려야 한다. 북한에서는 굶어 죽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데, 남쪽에서는 한없이 먹어대는 ‘먹방’이니 맛집 탐방 따위가 인기를 끌고 있단다. 참 마음이 아프다. 대체 이걸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늘 배가 고팠던 피난 시절이 떠오른다. 그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전 국민이 필사적으로 일했고, 드디어 세계적으로 잘 사는 나라로 빛나게 되었다. 하지만 북녘은 아직도 가난하다. 그런데 도울 길이 없다.   #마음풍경 5   대북 정책은 정권마다 바뀐다. 열렸다 닫혔다 변덕이 많고, 일관성이 없으니 앞날을 예측하기도 어렵다.   개성공단도 문을 닫았고, 금강산 관광도 막힌 지 오래다. 남북 교류 자체가 끊기고 사방이 꽉 막혔다. 언제 다시 열릴지 알 길도 없다.   남쪽에서도 사람들은 이념에 따라 날카롭게 나뉘어서 무섭게 대립한다. 생각을 말하기도 극히 조심스럽고, 통일을 염원하는 글 한 줄 쓰기도 어렵다. 답답하다.   김민기의 노래 ‘철망 앞에서’를 들으며, 제 마음대로 자유롭게 넘나드는 새들과 물고기 떼를 부러워한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물고기 새들 신영복 교수 노랫소리가 가슴 금강산 관광

2023-06-08

[신호철의 시가 있는 풍경] 마지막 달력

마지막 달력       내 역할은 여기까지입니다 이젠 바람이, 흔들리는 갈대가,   늦은 밤 별들이 노래할 겁니다 잠들은 당신 머리맡에 한 웅큼 꽃잎을 뿌리고서 짓 푸른 옥색 새벽으로 깨어날 겁니다 아프고 무너져도 이대로 가겠습니다 뒤돌아 보지 않을 겁니다 이젠 바람에게, 흔들리는 갈대에게, 늦은 밤 별들에게 얼굴을 들겠습니다 내가 오늘을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오늘이 나를 살아가도록 행복해지는 빈 들에 서겠습니다 작은 삶의 사유로 잠 못 이루는 밤 소유하기보다 비워감에 익숙해지며 모르고도 살고, 알고도 산다면 차라리 모름의 삶을 택하겠습니다 안다는 것은 때로 자유를 속박하지만 그 속박의 굴레를 벗어남은   오히려 모르고 살아감에 있기에 새벽으로 안겨 노을로 지는, 빈들의 아픔과 수고, 그 눈물과 함께 춤추는 갈대와 바람과 별들의 쏟아지는 빈들의 행복을 나누는 일 뿐 나의 몫은 여기까지 입니다     올해는 모두가 잔뜩 움츠린 어깨로 살아가지 않았나 생각한다. 연말에는 펜데믹 상황이 호전되어 훨씬 밝아진 연말 연시를 보내리라 생각했는데 갑작스런 오미크론의 창궐로 온 도시가 다시 어둠 속에 빠지는 듯하다. 덤덤하게 마지막 달력을 바라본다. 나이를 먹어갈 수록 뒤돌아볼 시간의 여유가 생긴다. 뒤돌아 본다는 의미는 지난 날을 살아가면서 후회할 만한 일들이나 마음에 자꾸 걸리는 해결하지 못한 일들을 되짚어 보자는 뜻 만은 아니다. 지난 날들을 통해 무슨 깨달음을 갖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사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깨닫게 되는 것은 극히 작은 부분이다. 우리가 보고, 느끼고, 사람들을 만나고, 말하고, 기뻐하고, 웃고, 즐거워하는 모든 삶은 내가 그은 금 안에 존재하는 지극히 작은 세상이다. 불편하지 않으려고 그려놓은 테두리, 내가 경험한 얄팍한 지식 그 안에 금을 긋고 우리는 살고 있다. 그러니 나를 너무 몰아가지 않아도 된다. 모름을 줄이기 위해 너무 애쓰지 말자는 말이다. 우리는 모르고도 잘 살아왔고 이만큼 살고서도 모르는 것 투성이다.       쏟아지는 햇살 가슴을 채우고도 넘쳐 어찌 다 감당할까 뒷모습까지 숨기지 못하는 벌거숭이 되어 마주한다 나도 너를 닮고 싶다 “괜찮아, 고개 숙이지 마!“ “12월의 햇살을 받으며 걷는 건 행복이야, 이건 축복이야!” 당신의 옷자락을 잡은 손 끝 쏟아지는 햇살로 머리 끝에서 발끝까지 행복한 벌거숭이가 되고 싶다     쏟아지는 햇살을 맞으며 걷고 있다. 12월말 날씨가 이렇게 포근하면 시카고의 겨울은 겨울도 아니다. 첫 눈도 내리지 않았다. 하얀 도화지에 누렇게 시든 들풀의 유희가 그려진다. 아직도 푸른 소나무의 가지 끝 솔잎이 햇살을 더듬고, 굽은 등을 뉘운 채 바람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언덕은 허리를 펴지 않는다. 지난 시간 내내 온갖 종류의 색들이 뒤엉켜 물감을 풀어 놓은 듯 화려했던 언덕은 벌거숭이가 됐다. 수도 없는 벌 나비가 넘나 들었던 언덕, 새들의 놀이터였던 이 언덕은 지금 참으로 고요하다. 하늘 높은 곳에서 내려진 당신의 옷자락 구석구석으로 햇빛이 쏟아진다. 형용할 수 없는 포근함이 밀려온다. 당신이 내린 옷자락을 잡은 손 끝으로 마지막 달력을 넘긴다. 모르는 날들을 향해 나는 또 걸어야 한다. 다 내어 주고도 행복한 빈 들의 이야기를 들으려고 귀를 조아린다. 아픔과 수고, 그 눈물 까지도 끊이지 않는 노래로 부를 수 있는 언덕. 나도 너를 닮고 싶다. 너를 닮은 행복한 벌거숭이가 되고 싶다. (시인, 화가)  신호철신호철의 시가 있는 풍경 달력 마지막 달력 옷자락 구석구석 언덕 새들

2021-12-2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