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 인구 200만명 넘었다

미국 내 한인 인구가 1년 만에 9만 명 가까이 늘면서 200만명을 돌파했다.     14일 연방 센서스국이 발표한 ‘2022년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ACS)’에 따르면, 한인 인구는 205만1972명(혼혈 포함)으로, 전년도의 196만2184명에서 4.6% 늘었다.     이번 조사 결과 한인 인구 4명 중 1명이 혼혈로 파악됐다. 비혼혈 한인 인구는 전체 한인 인구의 77.6%인 150만1587명으로 나타났다. 2개 인종 이상 혼혈은 19.1%이며 3개 인종 혼혈은 2.9%이다. 〈표 참조〉   ACS는 10년마다 시행되는 인구 조사와는 별도로 센서스국이 연례 표본조사를 바탕으로 추산치로 발표된다.   주별로는 캘리포니아에 전체 한인 인구(혼혈 포함)의 28%인 57만446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뉴욕(15만4211명), 텍사스(13만4313명), 뉴저지(10만8498명), 워싱턴(10만2705명), 버지니아(9만7379명), 조지아(8만553명) 순이다.     한인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난 곳은 텍사스(16.7%)와 워싱턴(10.7%)으로 나타났다. 워싱턴은 특히 이번에 한인 인구가 10만명을 넘어서며 버지니아를 앞질렀다. 조지아도 1년 전의 7만5525명에서 6% 가까이 늘었으며, 가주는 2021년의 55만8338명에서 1만6122명(2.8%)이 추가됐다.     반면 일리노이는 7만1709명으로, 1년 전의 8만1340명에서 13.4% 감소했으며, 뉴저지 역시 2021년의 11만3736명에서 10만8498명으로 9% 줄었다.   인구 감소 현상은 오렌지카운티에서도 나타났다. LA카운티의 경우 한인 인구가 3.6% 증가했지만, 오렌지카운티는 2021년 11만1292명에서 1년 만에 3.7% 감소한 10만7083명으로 파악됐다.     이번 통계를 보면 팬데믹 종료 후 소득 수준이 감소한 미국인 가정과 달리 한인들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미 전체 한인 가구 중간소득은 2021년 8만3354달러에서 1년 만에 9만1860달러로 8506달러(10.2%)가 늘었다.   가주 한인 역시 가구 중간소득이 2021년의 9만1431달러에서 9만7158달러로 올랐다. 이는 미 전체 한인 가구 중간소득보다 5298달러 많은 액수다.   한인 가구 중간소득이 가장 높은 지역은 버지니아로 11만6713달러였으며, 이어 뉴저지가 10만7978달러였다. 뉴욕은 10만286달러로, 1년 전의 8만3760달러에서 19.7% 뛰었다.     한인 빈곤율은 2021년 10.6%에서 10.2%로 소폭 하락했으며, 무보험자 비율도 7%에서 6.7%로 낮아졌다.   반면 미국인 가정의 중간 소득은 2021년 7만6330달러에서 2022년 7만4580달러로 2.3% 감소했다. 소득만 기준으로 삼은 공식의 빈곤율은 지난해 11.5%로, 전년도(11.6%)와 비슷했지만, 정부 지원금과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해 계산한 ‘보조 측정 빈곤율(SMP)’은 2021년의 7.8%에서 2022년 12.4%로 4.6%포인트 상승했다. 〈본지 9월 13일자 A-1면〉     이밖에 이번 통계에 따르면 한인 재택근무자는 2021년의 경우 25.4%에 달했으나 1년 만에 20.7%로 감소했다.  장연화 기자 chang.nicole@koreadaily.com인구 한인 한인 인구 비혼혈 한인 한인 빈곤율

2023-09-13

한인 10명 중 6명 학사 이상 학위

미국 전역에 거주하는 한인 10명 중 약 6명은 학사학위 수준 이상의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들의 학력은 아시안 중에서는 인도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혼혈을 포함한 한인 가구당 중간소득은 8만1072달러로 집계됐다.   16일 연방 센서스국이 발표한 ‘인종·민족별 상세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한인(혼혈 포함) 중 학사학위 이상의 교육을 받은 비율은 57.9%로 60%에 육박하는 수준을 보였다. 커뮤니티칼리지를 졸업한 한인들(20.1%)까지 합하면, 미국 거주 한인 중 78%가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시안 중에서 학사학위 이상 교육을 받은 이들의 비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인도계였다. 인도계 중 75.1%가 학사학위 이상의 교육을 받아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인도인들의 높은 교육열을 실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외에 파키스탄계는 58.6%, 중국계(대만계 제외) 55.9%, 일본계 51.9% 등 모두 절반 이상이 학사 학위 이상을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 중에서도 비혼혈 한인들의 학사학위 이상 교육비율(59.3%)이 혼혈 한인(57.9%)의 학사학위 이상 교육 비율보다 높았다. 이런 현상은 다른 아시안 그룹에서도 비슷한 모습이었다.   한편 미국 내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평균 연령은 41.2세였으며, 한인 혼혈의 경우 평균 연령이 35.6세였다. 아시안 민족 중에는 일본인들의 평균 연령이 52.3세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일본인 다음으로는 필리핀인(42.8세), 한인(41.2세), 베트남인(40.0세) 등의 순이었다.     혼혈을 포함한 미국의 총 한인 인구는 194만5880명으로, 미국 내 아시아계 인구 중 다섯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104만3736명, 남성은 90만2144명으로 집계됐다.     한인 가구당 중간소득은 8만1072달러, 가구당 평균 소득은 11만6475달러로 집계됐다. 센서스국은 ‘2021년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를 토대로 민족별 세부 내용을 분석, 이같은 보고서를 내놓았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한인 학위 학사학위 수준 학사학위 이상 비혼혈 한인들

2023-06-16

전국 한인 10명 중 3명은 혼혈…ACS, 2017~2021 인구 통계

전국 한인 인구 10명 중 3명은 혼혈로 파악됐다. 또 한인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주는 노스다코타, 아이다호, 워싱턴DC였다.   연방센서스국이 지난 7일 발표한 2017-2021 5년치 인구통계에 따르면 미주 한인 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곳은 여전히 캘리포니아주로 나타났다.   가주에 거주하는 한인은 총 56만2497명(혼혈 포함)이다. 이는 5년 전인 2012-2016년도 조사 당시의 52만5401명에서 6.6% 증가한 규모다. 그 뒤로 뉴욕(14만2143명), 텍사스(11만1701명), 뉴저지(10만9856명), 워싱턴(9만7176명)이 최다 한인 거주 지역으로 집계됐다.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노스다코타였다. 노스다코타 한인 인구는 2016년 871명에 불과했으나 2021년엔 2026명으로 57%가 늘었다. 그 뒤로 아이다호가 2759명에서 3864명으로 28.6% 증가했으며, 워싱턴DC는 3222명에서 28.1% 늘어난 4483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아칸소(26.3%), 앨라배마(19.3%), 뉴멕시코(18.6%), 아이오와·네브래스카(18.1%), 텍사스·메인·노스캐롤라이나·로드아일랜드(17.7%)도 두 자릿수 대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표 참조〉   한인 인구가 가장 많이 감소한 주는 미시시피로 2016년 3026명에서 5년 만에 2589명으로 16.9% 축소됐다. 루이지애나는 5438명에서 4728명으로 15% 감소했으며, 버몬트는 1621명에서 1477명으로, 웨스트버지니아가 1958명에서 1794명으로 각각 9.7%, 9.1% 줄었다.   비혼혈 한인 인구 감소는 몬태나 주가 가장 컸다. 이곳은 2016년 1435명이었으나 784명으로 절반 이상인 -83%를 기록했다. 미시시피 역시 2012명에서 1228명으로 줄었고(-63.8%), 루이지애나(-33.8%), 웨스트버지니아(-27.7%) 순으로 조사됐다.   전체 한인 인구는 증가했지만 비혼혈 한인 인구가 감소한 곳도 있다. 유타의 경우 비혼혈 한인은 12%나 빠져나갔지만, 전체 인구는 12.5%가 늘어났다. 2번째로 높은 한인 인구 증가율을 기록한 아이다호도 비혼혈 한인은 10.6% 감소했으며, 테네시와 플로리다도 비혼혈 한인 인구는 각각 12.5%, 9.2% 축소됐지만, 전체한인 인구는 각각 3.1%, 4.9% 늘었다.   한편 이번 통계에 따르면 다인종 한인 가정이 늘고 있었다. 미 전체에서는 24%가, 가주는 16%가 혼혈인이었다. 혼혈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주는 아이다호로, 한인 인구의 60%가 혼혈인으로 조사됐다. 또 메인, 몬태나, 와이오밍, 하와이, 미시시피도 한인 2명 중 1명은 혼혈인이었다. 비혼혈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뉴저지로 전체 한인의 89%를 차지했으며, 그 뒤로 뉴욕(85%), 가주(84%), 조지아(82%), 일리노이·메릴랜드(80%) 순이다. 장연화 기자한인 인구 전체한인 인구 비혼혈 인구 비혼혈 한인

2022-12-08

전국 한인 194만6천명…5년 새 3% 증가

전국 한인 인구가 5년 새(2017~2021년) 3% 늘면서 전체적으로 한인 인구 증가세가 둔화를 보이고 있다. 반면 전체 인구에서 비혼혈 한인 인구의 비중은 커졌다. 또한 한인들의 거주지도 LA카운티에서 오렌지카운티 지역으로 바뀌고 있다.   연방센서스국이 7일 공개한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2017~2021 5년치 통계에 따르면 미국 내 비혼혈 한인 인구는 146만9854명이다.   이는 1년 전인 2020년의 147만7325명에서 7471명(0.5%)이 감소한 규모다. 5년 전인 2017년의 147만7282명에서는 42명이 추가된 것이다. 반면 혼혈 인구를 포함하면 전체 한인 인구는 194만5880명으로, 지난해 같은 통계에서 집계된 192만6508명보다 1만9327명(1%)이 늘었다. 또 2017년의 188만7914명에서 5만7966명(3%)이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은 이민자 감소와 타인종과의 결혼 증가로 분석된다. 이민 역사가 길어지면서 타인종과 결혼하는 2세들이 늘어나 혼혈 자녀가 많아지고 있지만, 한국에서 오는 1세 이민자의 유입이 줄면서 비혼혈 한인 인구는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인들의 선호 거주지도 오렌지카운티로 뚜렷하게 바뀌었다.     통계에 따르면 어바인시 한인 인구는 2만3963명(혼혈 포함)으로, LA시 한인 인구(11만3607명)에 뒤를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그동안 오렌지카운티의 한인 최다 거주지였던 풀러턴은 어바인보다 6001명이 적은 1만7962명으로, 샌디에이고(1만8213명)의 뒤를 이었다. 〈표 참조〉   한인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사이프러스시로 무려 20% 증가했다. 사이프러스는 2020년 6470명(혼혈포함)이었으나 1년 만에 7215명으로 늘었다. 또 브레아시의 경우 4201명에서 16% 증가한 4973명이며, 가든그로브는 7% 추가된 4272명으로 파악됐다. 부에나파크는 9855명에서 1만609명으로, 라미라다는 4804명에서 5094명으로 각각 7%와 6% 증가했다.     그 외 지역의 경우 LA 동부인 다이아몬드바가 9% 성장했으며, 토런스는 3% 늘었다.     반면 샌타클래리타의 경우, 3896명에서 3500명으로 무려 11%가 빠져나갔으며, 애너하임은 7250명에서 6593명으로 10% 감소했다. 세리토스 역시 6470명에서 6039명으로, 글렌데일시는 8149명에서 8013명으로 각각 7%와 2% 줄었다.   LA시의 경우 여전히 최다 한인 거주 도시였지만 전년도 대비 감소했다. 비혼혈 한인의 경우 2020년 10만6241명에서 1년 만에 10만3512명으로 3%가, 혼혈 한인은 11만6323명에서 11만3607명으로 2% 줄었다.   한편 이번 통계에 따르면 미국인 중위 가구 소득은 6만9021달러로 파악됐다. 이는 2012~2016년도의 6만2460달러에서 10.5% 증가한 것이다. 빈곤율도 2012~2016년도의 15.1%에서 12.6%로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18세 미만 빈곤율이 21.2%에서 17%로 가장 크게 떨어졌다. 특히 전국적으로 18세 미만의 손자와 거주하는 조부모 가운데 손자의 생계를 책임지는 조부모의 비율이 2012~2016년 36.5%에서 2017~2021년 32.7%로 감소했다. 장연화 기자연방센서스 비혼혈 한인 비혼혈 한인 한인 인구 어바인시 한인

2022-12-07

전국 한인 192만6508명…2020년 ACS 통계

미국 한인 인구가 5년 만에 7.5% 증가하며 200만 명에 다가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인 2명 중 1명은 미국에서 출생한 2세로 조사됐다.     연방 센서스가 17일 공개한 2016-2020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통계에 따르면 한인 인구는 미전역에 192만6508명(혼혈 포함)으로, 2011-2015년도 조사 당시 179만2437명에서 7.5% 늘었다. 같은 기간 혼혈을 제외한 한인은 1.2% 늘어난 147만7325명이다. 〈관계기사 12면〉   반면 전체 한인 인구 대비 한국 출생자 비율은 54.4%로 5년 전보다 2.8% 감소했다.     캘리포니아주에는 55만7491명(혼혈 제외 47만978명)이 거주해 최다 한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라는 것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그 뒤로 한인 인구가 가장 많은 뉴욕은 가주 한인 인구의 25.8%에 불과한 14만4002명이 거주했다. 특히 뉴욕주 한인 인구는 5년 전보다 2.3% 감소한 반면 텍사스는 무려 20% 증가해 10만9926명을 기록했다. 텍사스에 이어 뉴저지(10만5694명), 워싱턴(9만6671명), 버지니아(9만3825명) 순으로 나타났다.   LA카운티 한인은 23만1147명으로 최다 한인 거주 지역으로 파악됐지만 5년 전에 비해 한인 인구가 1.4% 빠져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LA시도 같은 기간 1% 줄어든 11만632명을 기록했다. 특히 LA카운티와 LA시에 거주하는 비혼혈 한인의 경우 각각 4.6%, 4%가 감소했다.     반면 오렌지카운티는 혼혈 포함 한인 인구가 7.2%, 비혼혈 한인 인구는 5.2% 늘어난 10만8693명, 9만8287명이었다.     LA시에 이어 교육 도시로 이름을 알린 어바인은 5년 전보다 무려 19.6% 증가한 2만3701명으로 집계됐으며, 풀러턴시도 5.8% 늘어난 1만8351명, 샌디에이고시는 1만8807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한편 연방센서스는 코로나19팬데믹으로 늦어진 2020년 인구조사 결과를 올해 말부터 단계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5년 만에 소득 늘고 실업률 낮아졌다 장연화 기자전국 한인 비혼혈 한인 한인 인구 전국 한인

2022-03-1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