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살며 생각하며] 불협화음의 합창

4월 초인데도 바람은 차다. 첼시에 있는 휘트니 미술관 앞은 더욱 그랬다. 사람들은 패딩에 모자까지 쓰고 줄에 서 있다. 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는 5층으로 올라갔다. 이 전시회를 협찬한 기관들의 이름이 쭉 씌어 있었다. 그중에서도 한국 대기업의 로고 H자가 고딕체로 제일 크게 보였다. 한국이 문화 선진국이 된 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     전시 제목이 ‘불협화음의 합창(Dissonant Chorus)’이다. 이번 전시를 맡은 큐레이터는 미국 방방곡곡에 소규모 갤러리를 찾아다녔다. 신예 작가들이 현시대 상황에 반응하는 목소리를 모았다고 한다. 인디언 아메리칸, 뉴욕에 거주하는 홍콩인, 남부에 사는 흑인 여자 작가 등 배경이 다양했다.   복도 벽에 AI가 그린 작품이 커다랗게 걸려 있다. 만화의 캐릭터 같은 소녀가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서 있다. 머리카락과 옷소매를 누르면 작품이 변한다고 한다. 이것도 작품이 될까 하고 의아했다. 구상한 것은 어디까지나 인간이니, 작품으로 여기는 요즘의 추세다. 벽을 돌아가니, 인공지능에 반대라도 하듯이 손으로 정성껏 그린 추상화가 매달려 있다. 찌그러진 세포 모양의 불규칙한 형체가 여기저기 빨래처럼 드리워져 있다. 천에 아크릴을 바르고 모아온 재활용품, 채취한 씨앗들을 붙였다. 그 위에 또 색을 바르는 몇 겹의 작업을 공들여서 했다. 수전 잭슨(Suzanne Jackson)은 평생 작업을 해왔지만, 80세가 된 지금에야 전시회에 초대받았다. 수십 년 전만 해도 추상화는 고급 예술로 여겨졌고 더구나 백인 남자 작가의 전유물이었다. 지금은 흑인 할머니가 그려서 보란 듯이 내 걸고 있다.     4층으로 내려갔다. 노란 네온 빛이 방 전체에 흐르고 있다. 천정에는 전기 망이 못처럼 가득 박혀있다. 전기선과 네온 빛이 사람에게 투과되어, 모든 행동이 기록되고 감시된다. 몸과 뇌에 충격이 가해지지만, 사람들은 의식하지 못한다. 어느 날 내가 버섯을 샀더니 버섯 요리 정보가 유튜브에 떴다. 내가 피검사를 했더니 특정 수치를 올리는 방법이 떴다. 주문하지 않은 물건을 찾아가라는 연락이 내 이메일로 오기도 한다. 누군가 나의 일상을 훤히 알고 있다고 생각하니 불편해진다.     저쪽 방에서 꼬불꼬불한 천 조각이 보였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티피가 거꾸로 세워져 있었다. 요즘 세상이 거꾸로 간다는 은유다. 그 옆에서는 지금 문을 닫은 낙태업소의 사진과 전화와 이메일 기록, 폭력에 시달린 여자들의 사진 등 수천 개가 빼곡히 벽에 걸려있다. 낙태권이 허용된 것이 50년도 되지 않는데 최근 로대웨이드 판결 후 미국은 다시 낙태권 분란에 휩싸여있다. 몸은 고유한 개인의 영역인데, 여자의 몸은 항상 정치적 문제에 휘말린다.     마지막으로 작은 밀실 같은 어두운 방에 들어갔다. 상처 자국(site of wounding)이란 제목이 내 눈길을 끌었다. 작가는 3D 컴퓨터로 자기 몸의 입체 모형을 만들고, 메탈과 유리로 만들어 샌딩을 했다. 뒤틀린 육체의 내부 모형이 작가의 고향인 홍콩에서 자라는 나무와 비슷하다고 한다. Aquilaria sinensis 라는 나무는 고급 향을 만들기 위해 쓰이는 나무다. 어린나무의 가지를 자르고 비틀고 사이사이에 곰팡이를 심는다. 상처가 감염되면서 트라우마를 받은 나무는 수액인 레진(resin)을 뿜어낸다. 이 과정에서 향기가 방출된다. 스트레스를 받은 나무가 향을 뿜어내듯이, 인간도 상처에서 새로운 에너지가 나온다고 작가는 말한다.     이런 에너지가 모여서 불협화음 같은 신음을 내는 전시가 맨해튼 한가운데서 열리기도 한다. 미술관을 나오니 해가 올라가 있다. 허드슨 강에서 부는 바람이 훈훈해졌다. 만물이 화협하는 봄은 이미 와 있었다. 김미연 수필가살며 생각하며 불협화음 합창 이메일 기록 낙태권 분란 휘트니 미술관

2024-04-12

뉴욕시 아시안 범죄 대처에 불협화음

뉴욕시에서 아시안을 향한 범죄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응방안을 놓고 커뮤니티 내 세대별 목소리가 갈라지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진단했다.   6일 NYT는 장년층을 비롯한 상공회 등 전통적인 커뮤니티 단체들은 거리에 더 많은 경찰, 더 강력한 처벌, 더 엄격한 보석법을 요구하고 있지만, 진보 성향 시민단체들과 젊은 세대들은 정신 질환과 노숙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가 우선시 돼야하며 공권력 강화에 반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진보 성향 줄리 원(민주·26선거구) 뉴욕시의원은 최근 사태가 경찰관 추가 배치, 공권력 강화가 정답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한다는 입장이다. 원 의원은 범죄를 예방하고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은 “사회에서 보호받는다는 것은 기본적인 사회계약이며 우리는 이를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고 말하며  시스템적 해결책과 강력한 집행 모두 중요하다 지적했다.   중국계 권익단체 CCBA 저스틴 유 회장은 “아시안 여성과 아시안 노인들이 공격을 받고 있다. 우리는 사회실험을 필요로 하는 게 아니라 안전을 원한다”며 아시안 밀집지역에 추가 경찰 배치와 보석개혁법 폐지를 촉구했다.   NYT는 지난달 28일 뉴욕시청에서 열린 뉴욕시장 아태계 라운드테이블에서도 각 커뮤니티 단체장들과 지역 정치인들이 정실 질환·노숙자를 위한 서비스 개선과 범죄에 대한 강력 대응을 놓고 갈라진 의견을 내놨다고 전했다.   이날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은 급증하고 있는 아시안 증오범죄와 정실 질환을 겪고 있는 노숙자들의 범법행위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비상 태스크포스를 신설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아시안 증오범죄는 뉴욕시에서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5일 경찰에 따르면 맨해튼 이스트할렘의 한 아파트에서 아시안 이웃 주민을 공격한 용의자 말론 카(47)가 가중 폭행 및 괴롭힘, 증오범죄 혐의로 경찰에 체포·기소됐다.   경찰에 따르면 용의자는 1년 이상 아시안 이웃 주민들에게 수차례 인종 차별적 욕설을 뱉으며 피해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13일 피살된 크리스티나 유나 이씨의 추모 공간은 또다시 훼손됐다.     6일 뉴욕포스트는 이씨의 전 랜드로드인 브라이언 친을 인용해 이씨가 거주하던 아파트 앞에 마련된 추모 공간이 4일 밤 사이 또다시 훼손됐다고 보도했다.   NYPD는 이번 훼손행위를 놓고 증오범죄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에 착수했으며 CCTV영상을 통해 용의자를 추적중이라고 전했다.     심종민 기자 shim.jongmin@koreadailyny.com불협화음 아시안 아시안 증오범죄 아시안 밀집지역 아시안 이웃

2022-03-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