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말 잘하기와 경청의 힘
시끄럽기 짝이 없던 선거가 끝났으니, 이제 쓰레기처럼 더러운 막말과 욕설도 자취를 감추고 고운 말의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 누구나 말 잘하는 사람을 부러워한다. 하지만, 말을 잘한다는 것은 과연 어떤 것이냐는 물음에 제대로 대답하기는 어렵다. 흔히 미사여구를 현란하게 구사하며, 막힘 없이 재미있게 청산유수로 말하는 달변을 말 잘한다고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견해는 사뭇 다르다. 정말 중요한 것은 매끄러운 말솜씨가 아니라, 말의 내용이라는 것이다. 어눌하더라도 진정성이 있어야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생기는 법이다. 실제로, 말을 하면서 더듬거리거나 머뭇거리고 말을 끊는 등의 어수룩한 빈틈이 있는 편이 훨씬 더 설득력이 있고, 기억도 잘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심이다. 거짓말처럼 무서운 살상 무기도 없다. 지금 우리 세상을 어지럽히고 있는 거짓말, 몹쓸 말, 험상궂은 언어를 걷어내기만 해도 세상이 훨씬 평화롭고 조용해질 것이다. 어디 거짓말뿐이랴, 허언, 빈말, 말 바꾸기, 말 돌리기, 임기응변, 막말, 욕설, 험담, 비방, 중상모략, 악마처럼 떠도는 유령의 언어들, 무자비한 무기로 바뀌는 말들…. 지금 우리 현실에서 거짓말을 가장 잘하고 많이 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출세한 사람들, 많이 배운 사람들, 익명의 누리꾼들, 특히 정치가들이다. 말싸움, 거친 말, 험한 말, 가시 돋친 말, 말도 안 되는 말, 선량한 동료 시민들 청력 테스트 등으로 날밤을 지새운다. 일부 언론은 그걸 앵무새처럼 받아 적는다. 이분들의 입을 정화할 효과적인 방법은 없을까? 발칙한 생각 하나가 떠오른다. 눈부시게 발달한 첨단과학을 활용해서 인공지능 로봇을 만들자는 제안이다. 간단하게 요점을 설명하자면, 거짓말이나 몹쓸 말을 들으면 즉시 달려가서 귀싸대기를 통쾌하게 후려치는 인공지능 로봇을 만들어서, 국회를 비롯해서 방송국이나 신문사처럼 말 많은 곳에 배치하는 것이다. 귀싸대기를 후려치고 나서는 각설이 품바타령을 한바탕 시원하게 불러제끼면 얼마나 속 시원할까? 제법 그럴싸한 생각인 것 같기는 한데, 실현 가능성이 있어 보이진 않는다. 워낙 거짓말이 넘쳐나는 세상이니 여기저기서 귀싸대기 후려치는 소리에, 얻어맞고 내지르는 비명으로 온 세상이 더 시끄러워질 것 같다. 아무리 궁리를 해봐도 뾰족한 묘안이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니, 교과서 같은 이야기를 속절없이 되풀이할 수밖에 없으니 참 답답하다. 제발 말싸움 그만하고 대화하시라, 마음에도 없는 말 마구 하지 말고 진심을 말하시라, 제발 남의 말을 경청하시라… 같은 속절없고 허망한 부탁의 말씀들…. 그중에서도 가장 간곡한 부탁은 ‘경청’이다. 실제로, 많은 경우 경청이 최고의 웅변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침묵은 금이라는 속담도 있고, 말로써 말 많으니 말을 말까 하노라 라는 명언도 있다. 묵언 수행의 의미도 무겁다. 철학자 한병철은 서사를 회복시키는 ‘경청의 힘’을 강조한다. 그러면서 미하엘 엔데의 ‘모모’를 예로 든다. “소설에서 주인공 모모는 상대방의 말을 사려 깊게 들어줌으로써 스스로 이야기하도록 이끈다. 이를 통해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소중함을 깨닫고 심지어 사랑받는다는 느낌까지 받게 한다. 오로지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만으로 서사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회복된 서사는 아픔을 치유한다.” 삼사일언(三思一言)도 좋은 처방이 될 것이다. 말하기 전에 세 번 생각하라는 이 말씀만 잘 지켜도 세상은 한결 평화로워질 것으로 믿는다. 세 번이 어려우면, 단 한 번이라도 말하기 전에 깊이 생각을 하시라, 그러면….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경청 막말과 욕설도 생각 하나 각설이 품바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