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문화산책] 끝없이 고치고 손보고 다듬고

글쓰기에서 추고 또는 퇴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랄 것이다. 쓰기에 못지않게 중요한 작업이다. 다듬고 고치고 손볼수록 작품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문호, 대작가들의 명작, 명문장도 그런 노력의 결실이다.   어니스트 헤밍웨이(1899~1961)의 대표작인 ‘노인과 바다’는 군더더기나 수식어 없는 간결하고 힘찬 문체(文體)로 유명한 작품이다. 그는 이 작품으로 1953년엔 퓰리처상을, 이듬해엔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헤밍웨이는 이 소설을 발표하기 전에 87차례 원고를 뜯어고쳤다고 한다. 2만6571개 단어로 된 짧은 소설을 무려 87차례나 뜯어고쳤다는 것이다. 명작은 그렇게 태어난다.   일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도 고치기에 공을 많이 들이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초고는 생각나는 대로 마음 내키는 대로 자유롭게 써놓고, 그것을 뜯어고치고 다듬는 과정을 수없이 거듭하면서 작품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글을 쓰기 때문에 퇴고에 공을 들이지 않을 수 없다.   적어도 10차례 이상 뜯어고치는 것은 기본이고, 깎아내고 다듬고 넣고 빼는 작업은 셀 수 없이 많이 한다고 한다. 이어서 출판사 편집자와의 교정작업이 지겨울 정도로 되풀이된다. 독자들의 반응에도 세심하게 신경을 쓰는데. 특히 첫 독자인 부인이 읽고 지적한 부분은 어떤 식으로든 고친다고 한다. 글이란 다듬을수록 좋아진다고 믿기 때문이다.   “어떤 문장이든 반드시 개량의 여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본인이 아무리 ‘잘 썼다’‘완벽하다’라고 생각해도 거기에는 좀 더 좋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나는 퇴고 단계에서는 자존심이나 자부심 따위는 최대한 던져버리고 달아오른 머리를 적정하게 식히려 노력합니다.” ‘직업으로서의 소설가’에서 미국 소설가 레이먼드 카버(1938-1988)가 한 말도 의미심장하다.   “한 편의 단편소설을 써내고 그것을 찬찬히 다시 읽어보고 쉼표 몇 개를 삭제하고, 그러고는 다시 한번 읽어보고 똑같은 자리에 다시 쉼표를 찍어 넣을 때 나는 그 단편소설이 완성되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어떤 작가는 이미 책으로 나와 있는 작품을 끈질기게 수정하기도 한다. 최인훈의 대표작 ‘광장’이 그런 작품이다. 평생에 걸쳐 여러 번 고치고 다듬어 교정판을 발간했다.   물론, 도스토예프스키처럼 퇴고와 수정을 전혀 안 하는 작가들도 있는데, 이는 매우 특이한 경우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죄와 벌’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빼고는 장편과 단편 대부분을 퇴고를 안 하고 말 그대로 펜이 가는 대로 썼다고 전한다. 도박과 낭비벽이 심해서 다작을 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퇴고를 할 여유가 아예 없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안 한 것이 아니라 못한 것이다.   그래서 그는 여유 있게 퇴고를 하고 작품의 질을 높일 수 있던 투르게네프나 톨스토이 같은 작가들을 굉장히 부러워하며, 스스로의 처지를 지독히 한탄했다고 한다. 만약에 도스토예프스키가 여유를 가지고 마음에 들 때까지 글을 고치고 다듬었다면, 엄청난 명작이 나왔을까? 그건 잘 모르겠다.   아무튼 고치기 다듬기는 작가의 필수 작업이다. 허구헌날 원고 마감에 쫓겨 허겁지겁 날치기로 써대야 하는 생계형 글쟁이가 아니라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즐거운 고통이다. 그래서 퇴고를 산통(産痛)에 비유하기도 한다. 그리고 다다익선, 많이 할수록 좋다. 이런 고통이 있기 때문에 꾸준히 좋은 작품이 나오고 명작이 탄생하는 것이다.   그나저나, 세계적 베스트셀러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새 소설책은 드디어 나왔는데, 댄 브라운의 책은 언제나 나오려나….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소설가 레이먼드 명작 명문장도 퇴고 단계

2023-09-07

한인 배우 NBC 드라마 주연에

한인 배우 레이먼드 리(35)가 19일부터 방영하는 NBC 방송의 새 드라마 '퀀텀 리프(Quantum Leap.양자 도약)'에서 주연을 맡았다.   NBC는 주요 TV 네트워크 드라마의 주인공으로 아시아계 배우를 기용한 것은 드문 일이라며 레이먼드 리를 캐스팅한 배경을 소개했다.   퀀텀 리프는 NBC 방송이 1989~93년 방영한 동명의 SF 시리즈 후속작이다.   이 드라마는 주인공인 물리학자 벤 송 박사(레이먼드 리 분)가 양자 도약을 통해 시간 여행을 하면서 겪는 모험을 다뤘다.   벤 박사는 시간 여행을 할 경우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몸속으로 들어가 사건을 해결하는 역할로 설정됐다.   이 드라마를 만든 마틴 제로 프로듀서는 원작에선 주연 배우가 백인 남성이었지만, 후속작에서는 인종과 성별을 초월해 다양한 캐릭터를 소화할 배우가 필요했고 레이먼드 리가 이 역할에 적합했다고 설명했다.     레이먼드 리는 한인이라는 배경과 자신의 외모가 언젠가 강력한 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 이번 배역에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리는 대학 시절 연극을 전공했고, 드라마 '모던 패밀리', '스캔들', '히어 앤드 나우' 등에 출연하며 연기 경력을 쌓았다. 올해 최대의 흥행 영화 '탑건:매버릭'에서는 로건 리 중위 역으로 출연했다.레이먼드 드라마 한국계 레이먼드 드라마 퀀텀 nbc 드라마

2022-09-20

[삶의 뜨락에서] 작고 좋은 것

 살면서 누구나 깊은 슬픔에 빠져본 적이 있을 것이다. 미국 작가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소설 ‘A small, good thing(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은 외아들의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는 젊은 부부의 가슴 아픈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평범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던 부부는 외아들의 생일을 앞두고 생일 케이크를 빵집에 주문한다. 그러나 아이는 불의의 교통사고를 당하고 혼수상태에 빠져 결국은 죽게 된다. 이를 알 리 없는 빵집 주인은 밤마다 케이크를 찾아가라고 독촉 전화를 걸었다. 슬픔과 분노로 가득 찬 부부는 빵집 주인을 찾아가 화를 마구 퍼붓는다. 사건의 전말을 알게 된 빵집 주인은 “미안하다는 말을 해야겠소. 내가 얼마나 미안한지는 하느님만이 아실 거요. 나는 빵장수일 뿐이라오. 그렇다고 해서 내가 한 일의 변명이 될 순 없겠지요. 그러나 진심으로 미안하게 됐습니다”라고 말하면서 본의 아닌 실수로 커다란 상처를 준 낯선 부부에게 미안함과 연민을 갖게 된 빵장수는 부산하게 오븐에서 빵을 끄집어내며 그가 할 수 있는 자기 자신의 방식으로 도움을 주려 애쓰고 있다.   “내가 만든 따뜻한 롤빵을 좀 드시지요. 이럴 때 뭘 좀 먹는 일이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된다오. ” 그 롤빵은 따뜻하고 달콤했다. 갑자기 당한 지독한 슬픔으로 허기를 느끼지도 못하고 있던 부부는 갓 구운 따뜻한 빵 냄새를 맡고 한입 가득 베어 문다. 상가 전체가 시커먼 어둠에 휩싸인 가운데 홀로 불을 밝힌 작은 빵집에서 이제 막 지독한 슬픔을 맛본 부부를 향해, 처음부터 슬프게 살아왔던 빵집 주인은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의 이야기를 경청하며 부부는 자신들의 삶에 들이닥친 불가해함에 위로를 받는다.     레이먼드 카버의 짧은 이야기는 이렇게 끝난다. 우리가 서로를 진정으로 알거나 우리의 삶을 완전히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려는 우리의 시도는 우리의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작고 좋은 것’일 것이다. 소설을 읽는 내내 나의 영혼도 따스해지고 있었다.   몇달 전 뉴스에 나온 이야기이다. 아내가 사망한 후 깊은 우울증에 빠져있었던 82세의 단(Dan)은 어느 날 동네 슈퍼마켓에서 만난 4살짜리 소녀, 노라로 그의 모든 삶이 바뀐다. 얼굴을 잔뜩 찡그리고 장을 보고 있던 그에게 다가온 노라는 “안녕, 까다로운 늙은이, 오늘이 바로 내 생일이야”라고 말했다. 그리고 과감하게 그에게 포옹을 요구했다 한다. 엄마에게 새 친구와 함께 사진을 한장 찍어달라는 부탁까지 했다. 이렇게 행복한 일이 일어나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며 말하는 그의 입술은 떨렸고 주름진 얼굴 위로 눈물이 흘러내렸다. 4살짜리 노아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사람을 살리는 일을 했던 것이다.     레이먼드 카버는 멍청하게 보일지 모르는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작가라면 가끔은 소박한 경이로움 앞에 멈춰서야 한다고 말한다. 그가 보여주는 삶의 단면들로부터 우리는 자유로울 수 없다. 그의 제안은 우리가 모두 우리의 작은 것, 통제할 수 없는 것에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의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작고 좋은 것”이라 한다.   하늘은 뿌옇게 흐렸고 눈이 펄펄 날리는 크리스마스 이틀 전, 뉴욕에 첫발을 내디뎠던 오십 년 전의 일이 새삼스레 떠오른다. 낯선 곳에서 새 삶을 시작하는 막막한 나에게 아파트 창문마다 빨간 포인세티아가 장식되어 있고 불빛이 새어 나오는 것이 나에게 “힘을 내요”라고 격려해주는 것 같았다. 크고 위대한 것에만 익숙해진 우리에게 레이먼드 카버는 ‘←A small, good thing’을 이야기하고 있다. 한 해를 보내는 마지막 달, 평소에는 당연하다고만 생각하고 무심하게 스쳤던 사소한 일들이 주는 긍정적 힘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본다. 이춘희 / 시인삶의 뜨락에서 작고 생일 케이크 작가 레이먼드 빵집 주인

2021-12-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