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중국읽기] 제2차 차이나 쇼크

‘G2(Group of Two)’. 미국과 중국을 일컫는 용어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때 이를 전 세계 미디어로 퍼트린 사람이 바로 당시 블룸버그 칼럼니스트였던 윌리엄 페섹이다. 글로벌 경제에 대한 그의 통찰을 보여준다.   페섹이 최근 투자 전문 매체인 배런스에 칼럼을 썼다. ‘중국 디플레가 빠르게 글로벌 경제로 확산될 것’이라는 제목. 그는 “이번에는 의류·장난감 등 임가공 공장이 아닌 테슬라·애플·소니·삼성 등 첨단 기업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방 첨단 기업이 ‘차이나 쇼크’에 직면할 거라는 얘기다.   이미 현실화하고 있는 흐름이다. 중국은 지난해 전기차 약진에 힘입어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으로 등장했다. BYD는 기존 강자 테슬라를 2위로 밀어냈다. 태양광도 그렇다. 중국의 저가 공세로 지난해 글로벌 태양광 패널값은 25% 이상 급락했다. 유럽 태양광 업체는 줄 파산했다.   작년 중국 수출의 최고 히트 상품은 전기차·리튬배터리·태양광 등이다. 전체 수출액이 1조 위안(약 1400억 달러)을 돌파했다. 경기 위축으로 이들 제품의 중국 내수시장은 공급과잉 양상이다. ‘덤핑 수출’, ‘디플레 수출’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반도체 분야도 중국의 디플레 수출을 걱정해야 할 판이다. 『반도체 전쟁(Chip War)』을 쓴 크리스 밀러는 파이낸셜 타임스(FT) 기고에서 “싸구려 중국 칩이 글로벌 시장에 쏟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자동차·가전 등 일반 소비 용품에 쓰이는 범용 반도체 제품의 중국 생산량이 5년 후 지금의 두 배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매출의 약 25%를 범용 반도체 공정에 의존하고 있는 대만 TSMC도 충격을 피할 수 없다.   ‘쇼크’의 시작은 2001년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이었다. 중국은 ‘세계 공장’으로 등장했고, 각국의 제조업 일자리를 빨아들였다. 그렇게 시작된 1차 쇼크가 주로 개발도상국의 제조업에 타격을 줬다면, 이번 2차 쇼크는 선진국 고부가 산업을 위협한다. 미국·유럽·일본 등 서방은 ‘첨단 분야만큼은 중국에 당하지 않겠다’고 방어벽 쌓기에 나선다. 첨단 공장 유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2차 쇼크가 더욱 극렬하게 진행될 것임을 예고한다.   문제는 우리다. BYD의 전기 승용차가 호시탐탐 국내 시장을 노린다. BYD코리아는 상반기 안에 영업 조직을 짜기 위해 인력 확충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가 긴장할 수밖에 없다. ‘제2차 차이나 쇼크’는 이미 우리에게 닥친 현실이다. 한우덕 / 한국 차이나랩 선임기자중국읽기 차이나 쇼크 차이나 쇼크 디플레 수출 유럽 태양광

2024-03-18

[FOCUS] 침체 없는 물가 안정 골디락스냐, 디플레냐 엇갈리는 경기전망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중요 지표인 인플레이션이 누그러지면서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경제 전망 전반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반면 과도한 긴축의 여파와 소비 여력 약화 등으로 경기침체가 올 수 있다는 경계심도 적지 않다.   지난 14일 발표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동월대비 3.2% 올라 상승폭을 줄였다. 전월치(3.7%)와 시장 예상치(3.3%)보다 모두 낮은 수치를 보이며 연착륙 기대를 높였다.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0.5% 하락해 5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인플레이션 둔화의 최대 원인은 원가 하락이었다. 유가는 16일에도 5% 가까이 떨어졌다. 유가 하락에는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 우려도 작용했다.   ▶커지는 골디락스 기대   물가가 안정세로 접어들자 월가는 대체로 경제를 침체에 빠뜨리지 않으면서도 인플레이션을 잡는 ‘골디락스’ 상태로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고 있다. 금리 인상이 사실상 끝났고 내년에는 통화정책이 인하로 전환된다고 기대감이 깔려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UBS도 연준이 내년 3월부터 금리 인하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했다. 25bp씩 11번이나 금리를 낮춰 275bp를 낮출 것으로 내다봤다. 카슨그룹의 글로벌 시장 전략가인 소누바게스의 경우 “(물가 상승폭 축소로) 금리 인하 논의가 내년 상반기 안에 진지하게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스스타 투자운용의 에릭 커비 최고투자책임자(CIO)도 침체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부정적 컨센서스로 시장이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전제하고 “전체 시장이 골디락스 시점에 있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여전한 침체 우려   물가 상승 둔화와 금리 인하로 시작된 낙관론 속에서도 경기 침체 우려는 사라지지 않고 있다. 내년엔 결국 경기가 후퇴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나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는 전망이 여전히 나온다.   최근 뱅크오브아메리카가 펀드매니저 27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1년 안에 스태그플레이션을 예상한다는 응답이 92%나 됐다.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미국·유럽 경제가 연착륙할 가능성이 없다고 예상했다. 씨티그룹도 경제 성장률이 하락해도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파월 푸시’ 시나리오를 내놓았다.     투자자 캐시 우드는 디플레이션이 이미 진행되고 있다고 본다. 우드는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연준이 과도하게 긴축했으며 향후 더 많은 디플레이션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드는 디플레이션이 원자재 시장에서 이미 시작됐고 항공·차량 가격 등으로 번지고 있다면서 내년 어느 시점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해법으로 큰 폭의 기준금리 인하를 내놓았다.     우드는 금리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인공지능(AI)과 전기차 등 기술혁신이 디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쌓인 거대한 개인 저축액이 소진되고 있다는 사실도 디플레이션 근거로 제시된다. 〈그래프 참조〉 그동안 전문가의 침체 예측이 빗나간 가장 큰 원인은 최대 2조1000억 달러에 이르던 초과 저축이었다. 초과 저축은 강력한 소비로 이어지며 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에도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이제 초과 저축은 사라졌고 개인 저축액은 코로나 이전을 기준으로 한 추세선 아래로 떨어졌다. 초과 저축이 소진된 상태에서도 국내총생산(GDP)의 70% 가까이 차지하는 소비가 유지되느냐가 관심을 끌 수밖에 없다.     ▶경계하는 연준   연준은 물가 안정 이후의 경기 상황에 대해 낙관론을 경계하는 입장이다. 최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2% 인플레이션) 기조를 달성했다고 확신하지 못한다"라고 밝혔다. 필요하면 추가 긴축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도 비슷한 시기에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연준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성급히 승리 선언을 해서는 안 된다면서,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지난주에는 연준 관계자가 잇달아 낙관론을 경계하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들의 발언은 금리가 급격히 하락하고 주가가 신고가를 향해 치닫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더 주목을 받았다.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긍정적인 소비자물가지표가 나온 이후인 지난 13일 “인플레이션이 2%로 순탄하게 둔화하는 경로를 보일 것이라 확신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바킨 총재는 “주거비 상승률은 역사적인 수준보다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서비스 물가 상승률 역시 마찬가지인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16일에는 리사 쿡 연준 이사가 급격한 경기침체 위험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속적인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 둔화)과 강력한 노동 시장으로 연착륙이 가능하다고 믿지만 그렇다고 (연착륙이) 보장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위험을 양면으로 본다. 즉, 너무 많이 조이는 위험과 충분히 조이지 않는 위험 사이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낙관도 비관도 경계했다.   쿡 이사는 저소득 가구의 저축이 대부분 고갈되고 단기 대출에 의존하는 중소기업이 급격히 긴축된 신용 상태에 직면하는 등 앞으로 잠재적인 스트레스의 조짐이 있다고 말했다.   17일에는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가 추가 긴축이 여전히 가능하다면서 “아직은 승리 선언을 하기엔 이르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중도파로 꼽히는 콜린스 총재는 “경제지표를 볼 때 역사적인 추이를 함께 봐야 할 필요가 있다”며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실시간으로 평가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안유회 에디터경기전망 디플레 기준금리 인하 물가 상승폭 골디락스 기대

2023-11-19

"월가, 디플레 가능성 간과"…비즈니스인사이더서 지적

월가에서 올해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비즈니스인사이더가 올해 경제전망 보고서 500여개를 검토한 결과 디플레이션을 언급한 보고서는 하나도 없었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는 각각 807번, 853번 언급됐다.   라이언 데트릭 칼슨그룹 선임 시장 전략가는 “현재 아무도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18개월 전에는 아무도 인플레이션이 9%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재화와 서비스 물가는 2022년 고점에서 하락하고 있다는 신호가 나타나고 있지만, 지난 2021~2022년 높은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면서 시장에서는 디플레이션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드물다고 매체는 진단했다. 디플레이션은 지난 2009년 이후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장 일각에서는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경고하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톰 리 펀드스트랫의 리서치헤드는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요소 중 59%가 ‘디플레이션 모드’였다”며 “재화들의 가격 하락 속도가 장기 평균을 한참 웃돌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CPI의 요소 중 유가의 경우 지난해 고점 대비 38% 하락했고, 자동차 가격도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국내 주택 가격도 고점 대비 10% 하락했다.   자산운용사 위즈덤트리의 제프 웽거 주식 헤드는 “명백하게 시장 예상과 반대되는 것이지만,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강조해야 할 시기가 됐다”며 “내년은 모르겠지만, 올해는 CPI에서 깜짝 디플레이션을 보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비즈니스인사이더 디플레 디플레이션 가능성 디플레이션 모드 올해 디플레이션

2023-01-1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