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골프칼럼] <2357> 뇌가 기억해야 스윙루틴 찾는다

골프가 정신력에 의해 좌우되는 게임이라는 것은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스윙이 몸동작에 의해서만 지배받는 운동이라면 같은 사람이 한 장소에서 하나의 클럽으로 볼을 계속 친다 해도 구질은 일정해야 한다. 그러나 클럽 길이와 장소에 따라 스윙이 바뀌고 구질이 매번 달라지는 것 역시 정신적 측면이 골프의 배경에 깔렸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러한 심리 상태는 그린 위에서 확실히 나타난다. 짧은 퍼팅을 실수한 후 연습으로 쳐보면 십중팔구 홀(컵)에 들어간다. ‘기미(gimmie)’를 기대하던 불안한 거리의 퍼팅을 ‘OK’를 받지 못하면 그 퍼팅은 실패할 확률이 높고, 이는 퍼팅과 심리적인 요인과의 연관성을 입증한다.   테니스와 농구, 배구 등 다른 운동은 반사 동작에 의해 순간적인 대응으로 게임이 이뤄지지만 골프는 죽은 듯이 놓여 있는 볼을 자신의 몸을 움직여 쳐 나간다. 볼을 치는 것은 몸동작에 의해 진행되지만 어떤 방법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머리(뇌)를 쓸 수밖에 없다.   이것이 바로 정신이 스윙이라는 육체적 동작을 완전히 지배하고 있어 골프를 ‘멘탈게임’이라고 하는 이유 중에 하나다. 스윙 중에 골퍼가 가장 많이 생각하는 것은 테이크백(take back)부분이다. 티샷이나 어프로치, 특히 퍼팅에서 흔들림 없는 백스윙에 온 정신을 집중한다.   실질적으로 퍼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양손의 위치와 테이크백이며 이것을 퍼팅의 심장이라고 말한다. 테이크백을 정확하게 하려면 우선 양손이 좌우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면 안 된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부드러운 퍼팅을 기대할 수 없다. 이것은 퍼팅뿐만 아니라 일반 스윙에도 통용되는 것으로 숙지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퍼터의 샤프트(shaft)가 지나치게 왼쪽 무릎이나 오른쪽 무릎 쪽으로 치우치지 말고 몸의 중앙, 즉 볼 뒤에 타면이 놓여 있는 상태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양손의 위치를 확고히 해야 한다.   개인의 습관에 따라 볼의 위치가 몸의 중앙이던 왼발 쪽에 위치하든 상관없이 퍼터의 샤프트는 언제나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볼을 치는 힘은, 백스윙과 같은 템포(tempo)로 볼에 오버스핀(over spin), 즉 자전력이 생겨 구를 수 있도록 볼 위치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볼의 위치는 자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왼발 뒤꿈치 선상이 적합하다. 퍼터의 타면이 상승 궤도로 진입하는 순간 타면이 볼의 2/3 상단에 접촉돼야 한다. 주의할 것은 손목에 의한 조작으로 퍼터의 상승궤도를 유도하면 볼에 구름이나 거리를 맞출 수 없어 퍼팅에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연습이란 반복을 거듭하여 뇌가 근육에 전달, 생성된 흐름을 이어가야 흔들림 없는 스윙루틴(swing routine)을 찾아 수행능력을 키울 수 있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스윙루틴 기억 심리 상태 일반 스윙 왼발 뒤꿈치

2025-01-23

[골프칼럼] <2266> 아시안은 뒤꿈치 선상에 놓으면 무난

골프 볼의 지름은 1.68인치(42.67㎜), 무게는 1.62온스(45.92) 이하로 못 박혀 있다.   일정한 규정 없이 장비를 생산한다면 요즘 같은 IT 시대에 더 멀리 보낼 볼과 장비를 개발하는 것은 식은 죽 먹기일 것이다.   이렇게 되면 각 홀의 거리를 포함, 골프장 전체면적도 현재보다 훨씬 넓고 길어야 하며 이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도 필요할 것이다.   이렇게 볼이나 장비에 엄격한 규칙을 두는 이유는 골프에 공평성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이다.   볼은 클럽에 관계없이왼발 뒤꿈치 선상에 있어야 기본이라고 말하는 사람과 클럽이 짧아질수록 오른발 쪽으로 옮겨져야 한다는 이론으로 양분돼 있다.   전자의 경우 오른발을 좁혀 감과 동시에 스탠스의 넓이에 따라 클럽을 사용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전자보다 후자에 더 동감을 하지만 이것에도 문제는 있다. 그러면 퍼터(putter)를 제외한 13개의 클럽 수에 따라 볼 위치도 13개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볼 위치도 찾지 못해 우왕좌왕 하는데 13개는 너무 많다는 것이며 전자의 이론을 추종하는 것은 동양인 신체적 조건에 절대적으로 불합리하다.   현역 선수들을 지도하며 임상한 결과, 언제나 뒤꿈치 선상에 볼을 놓고 스윙을 하면 팔과 하체가 서양인보다 짧은 동양인은 무리가 있음이 증명됐다.   놀랍게도 임상 중 발견된 것은 동양인 대부분은 양팔의 전체 길이가 신장과 거의 같지만 신장보다 팔이 짧은 사람도 106중 37명이나 있었다.   반대로 서양인 골퍼를 대상으로(34명) 한 결과, 양팔이 신장보다 평균 1.5인치 길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왼발 뒤꿈치 선상의 볼을 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오른쪽(팔)과 몸이 볼 쪽으로 따라 돌아야 클럽헤드로 볼을 칠 수 있었다.   이렇게 되면 획일적인 스윙이 어려울뿐더러 샷에 일관성이 없어 볼에 방향을 가늠하기 어렵게 된다. 우드(1, 3, 5)는 왼발의 뒤꿈치선상(남녀 공통) 아이언(2, 3, 4)과 미들 아이언(5, 6, 7)은 왼쪽의 무릎 안쪽선상이적합한 자리다.   특히 숏 아이언(8, 9, PW, SW)을 칠 때는 볼을 몸의 정 중앙에 위치하게 하면 자신의 클럽헤드는 중앙보다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왼발을 고정한 채 오른발을 움직여 가며 볼과 몸 선을 연결하면 자신의 볼 위치를 분명하게 찾을 수 있다.   특별한 샷, 즉 벙커나 경사지, 특히 구질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칠 때를 제외하고는 이를 기본으로 숙지하여 응용해 나가야 한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아시안 뒤꿈치 뒤꿈치 선상 왼발 뒤꿈치 미들 아이언

2023-11-09

[골프칼럼] <2223> 올바른 체중 분배가 가장 중요

볼 위치가 스윙에 미치는 영향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첫째, 자세의 불안정과 체중의 균등분배가 문제되고, 어드레스(set up)에서 체중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스윙궤도는 물론 다운스윙의 탄력을 받지 못하고 건실한 임팩트를 상실한다.     골퍼들 실수의 대부분은 어드레스에서 오른쪽으로 치우치거나 왼쪽으로의 과도한 쏠림, 백스윙 때 양손에 의존한 스윙을 구사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례다.     스윙에서 스윙 축(axis)이 있고 이를 보조하는 스윙의 추(poise)가 있다. 따라서 축을 중심으로 추가 돌고 추에 자신의 몸무게를 옮겨야, 강한 임팩트를 구사할 수 있다.     스윙 축이란 자신의 척추, 제5 요추(꼬리뼈)부터 제7 경추(목뼈)까지, 그리고 머리의 중심이 스윙 축을 만들어 낸다.     이 같은 축을 중심으로 추, 즉 양팔과 클럽이 회전하며 이 회전에 자신의 체중을 실어야 한다. 이때 비로소 원심력이 생겨나며 클럽헤드가 볼에 강한 충격을 주게 된다.     체중분배에 실패하는 대다수 골퍼들은 어드레스에서 체중이 오른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치는 문제가 발생, 백스윙은 물론 다운스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또는 어드레스에서 중심축의 상단부위인 머리가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자세로 중심축이 휘어져 있는 자세 역시 이미 스윙을 그릇 치게 하는 경우다.     습관(악습)이란 정도를 벗어나 자신이 편한 대로 행동할 때 몸에 익숙해지며 이 행위는 시간이 흐를수록 악습으로 남는다.     특히 골프에서 악습 대부분은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없다는 맹점이 있어 쉽게 몸에 배고 이에 따른 교정도 만만치 않다. 이러한 자세의 원인제공은 주로 볼 위치를 올바르게 놓지 못할 때 생겨나며 시간이 지날수록 여기에 익숙해져 힘겨운 골프와의 싸움이 시작된다.     볼이 오른발 쪽에 가까울수록 오른쪽어깨는 앞으로 나오며 체중은 왼발에 치우치고 이에 따라 백스윙 때는 왼쪽어깨가 지면으로 처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백스윙에 필요한 어깨회전이 부족하여 슬라이스가 주로 발생한다.     또는 볼은 왼발 쪽에 상체의 무게중심을 오른발에 걸고 있는 자세는 볼을 오른쪽 측면에서만 응시해 머리가 우측으로 기우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중심축도 변경되며 백스윙 때 왼발 뒤꿈치가 지나치게 들리고 탑 스윙 때는 중심 축이 대각선으로 변형, 뒤땅을 치거나 탑핑 샷을 주로 발생시킨다.     체중분배는 양발에 50대 50이 정석이지만 허리가 유연하지 않거나 백 스윙 때 체중이동에 어려움이 있다면 오른발에 60%의 체중을 미리 옮겨 두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그 이상 더 넘어가면 오히려 스윙에 방해가 되고 백 스윙이나 다운스윙 때 양 발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발바닥을 지면에 완전히 밀착시키도록 해야 강한 임팩트와 정확도가 따를 것이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체중 분배 체중 분배 발생 백스윙 왼발 뒤꿈치

2022-12-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