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추상화로 미적 이념과 주제 전달…데미안 서 다섯 번째 개인전

20여년간 LA를 기반으로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해온 데미안 서 작가의 다섯 번째 개인전이 다운타운 페이스 허브 몰에 위치한 페이스 에이 갤러리(디렉터 지현)에서 열린다.   입체 작품을 꾸준히 발표해온 서 작가는 오랫동안 준비해온 평면 작업 40여점을 이번 개인전을 통해 발표한다.   페이스 에이 갤러리는 “서 작가의 내면에  흐르는 무의식은 작품 전반의  물성 표현과 그 궤를 같이한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본인에 삶의 의식을 어떻게 적절히 타인에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근원적인 연구와 고민을 담대히 풀어나간다”고 설명했다.     서 작가는 작가의 노트에서 “비구상작업이 요즘 내가 하는 평면 작업의 새로운 파트너가 되었다. 나의 미적 이념이나 주제 의식을 전달하는 이 표현방식(추상화)이 유리하다고 생각하게 되어버린 것”이라며 “제도화된 규정에서 벗어나 현실을 비틀어 바꾸어 보기도 하고, 엉뚱한 제지도 가해 보며 무한의 새로운 이야기들을 만들어 별다른 형식 없이 화면으로 옮기는 작업(입체,평면)을 지속해서 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프닝 리셉션은 14일 오후 4시~7시, 15일 오후 2시~5시 양일간 열린다.     ▶주소: 458 S.San Pedro St. #320 LA   ▶문의:(213)700-9203 이은영 기자추상화 데미안 이번 개인전 다운타운 페이스 평면 작업

2023-07-09

[문장으로 읽는 책] 데미안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고자 하는 자는 한 세계를 부수어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다.   헤르만 헤세 ‘데미안’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문장 중 하나 아닐까. 사춘기의 필독서, 성장담의 원형 ‘데미안’이다. 너무나 유명한 소설과 문장이라 새롭게 소개하는 것이 멋쩍을 정도지만 ‘집콕’ 중인 요즘 어린 시절 ‘고전’을 다시 읽어보는 것은 어떨까 싶다. 예전과 달라진, 또는 여전한, 혹은 더해진 감흥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내 안에서 저절로 우러나오는 것, 난 그것을 살아보려 했을 뿐이다. 그게 왜 그리 힘들었을까?” ‘데미안’의 첫 문장이다. ‘데미안’은 글로벌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이 ‘피 땀 눈물’ 뮤직비디오 등에 그 이미지를 차용하면서 더욱 유명세를 탔다. 아미들 사이에 필독 붐이 일기도 했다.   1959년 국내 최초로 세계문학전집을 펴냈던 을유문화사가 2008년부터 새로 선보이는 세계문학전집 100권 출간을 기념해 리커버 한정판 5종을 내놨다. ‘데미안’을 필두로 ‘체호프 희곡선’‘개인적인 체험’(오에 겐자부로) 등이 포함됐다. 리커버 에디션은 출판물도 굿즈로 소장하고 싶어하는 젊은 독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목록의 다양성과 번역·해설의 전문성으로 호평받는 을유세계문학전집은 앞으로 희곡·시·장르문학 등으로 외연을 넓힐 계획이다.  양성희 /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문장으로 읽는 책 데미안 글로벌 아이 필독서 성장담 체호프 희곡선

2022-12-07

[수필] 우리들의 데미안

“행복이라는 방안에서   창살 틈으로 빠져나가   버린 희망의 빛을   되찾으려고 방황했을까”   남극을 다녀와서 가장 먼저 한 일은 책장 어딘가에 꽂혀있을 법한 헤르만 헤세가 쓴 책 ‘데미안’을 찾는 것이었다. 남극에서 보았던 알바트로스(신천옹·信天翁)라는 새 때문이었다. 이 책은 주인공 에밀 싱클레어가 10대로 들어서면서 어렸을 때 그에게 주어졌던 밝고 정돈되고 규칙적이고 도덕적인 환경과 관념에서 벗어나 반대되는 삶의 이면을 스스로 경험하게 되면서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이야기다. 헤세의 자전적 소설이다. 핵심이 되는 친구 데미안, 알의 껍데기를 깨고 나오는 새, 그 새가 알바트로스라고 나는 착각하고 있었다.   이 새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하려면 우선 독수리, 참새, 까치, 까마귀, 벌새 정도밖에 모르는 나의 무식을 고백해야 한다. 온 세상이 코로나로 앓고 있었고 여정도 쉽지 않았지만 알바트로스라는 새를 볼 수 있고, 알게 된 것은 더 없는 행운이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남극 동물인 몇 종류의 펭귄을 보았고, 몰랐던 자연을 체험할 수 있었던 것도 빼 놓을 수는 없다.     남극 대륙(Antarctica)은 여행객을 태운 비행기나 자동차가 갈 수 없다. 바닷바람과 파도에 맞설 수 있는 큰 배로 가야 한다. 크루즈 배는 보통 오스트레일리아나 아르헨티나, 칠레에서 출발한다. 우리 부부는 비행기로 LA를 떠나 마이애미를 경유해 아르헨티나의 최남단 도시인 우수아이아에서 크루즈에 승선했다.     남극(South Pole)을 중심으로 형성된 막대한 얼음덩어리인 남극 대륙은 어느 나라에도 속하지 않는다. 주인이 없고 군대가 없는 비무장지대(DMZ)이다. 기온은 화씨로 영하 15도에서 영하 80도에 이르고 4월부터 8월까지는 해를 볼 수 없다. 내가 갔던 3월은 이상기후였는지 온화한 한국의 겨울 날씨처럼 섭씨 0도를 오르내렸다. 1년 중 이때쯤에 바다 얼음이 어느 정도 녹아서 깨어져, 큰 크루즈 배로 조각난 얼음을 헤치면서 항해할 수 있다. 크루즈 배는 얼음 해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정박하고, 해변에 갈 때는 조디악 고무배를 이용한다.     지구의 ‘일곱번째 대륙’인 남극 대륙은 바다에 떠있는 거대한 얼음산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나 워낙 거대해 바다에 떠서 머무는 얼음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해상에 떠 있는 부분은 빙산의 일부, 빙판 또는 얇은 얼음 쉬트였고, 수면 아래에 빙산의 큰 몸이 잠겨 있었다. 1년 전 얼음산에서 떨어져 나온 A-76이라고 이름 붙여진 빙산은 자그마치 맨해튼의 80배 크기로, 길이 105마일에 너비가 15.5마일이라고 한다.(참고로 작년 이전까지 가장 컸던 빙산의 이름은 B-15) 빙산의 색깔은 소금 농도에 따라 흰색, 엷은 하늘색, 진한 하늘색 등으로 다양하다.   이곳에는 사람이 살지 않고 단기간 머무는 연구 과학자들이 있을 뿐이다. 사람들에 의해 길든 개, 소, 말, 고양이 같은 동물들은 없고 펭귄, 물개, 바다사자, 이빨 고래, 바다 새들이 살고 있다. 여러 종류의 새 중에 내가 데미안이 스케치하던 ‘새’라고 착각했던 알바트로스는 여러 면에서 특이했다. 편 날개 길이(익폭)는 평균 11피트로, 세상에서 제일 크고, 대서양만 빼고 모든 대양 위를 나르며 창공 어느 정도 높이에 다다르면 에너지 소비를 하지 않고 떠 있을 수 있어 날개를 펄럭이지 않고 여러 시간 동안 날 수 있다고 한다. 남극해를 1년에 세 바퀴 돌고(7만5000마일) 평균수명이 50년 이상이며 일부일처의 습성을 가진 특이한 새가 멸종 위기라니 염려되고 슬프다.     알바트로스 새를 데미안 책에서 이리저리 찾아보다가 결국 책을 다시 읽게 됐다. 다시 읽으니 좋았다. 내가 이번에 느낀 헤세는 많이 평범하고, 또 많이 비범한 인성의 소유자였다는 점이었다. 우리 모두가 겪는 외로움, 공포, 열등감과 이를 잊기 위해 애쓰는 우리들의 어설픈 허세나 회피 과정을 정신학자처럼 잘 표현했다. 목사가 되려고 신학교에 입학했다가 퇴교했던 헤세는 그의 신이 조물주였음을 부인하는 것까지도 매끄럽게 잘 표현했다.   알껍데기를 깨고 세상으로 나오는 새의 모습은 대문 앞쪽, 길을 접한 곳에 있는 현관 입구, 여기에 세워진 돌로 된 아치, 아치 중간 지점 바로 위쪽 벽에 붙어있는 오래된 문장(紋章)에 조각되어 있었고, 이는 덧칠한 페인트에 가려서 형태가 정확하지 않았다는 것… 바로 이 새를 나는 찾아내야 했다. 그 새는 알바트로스가 아닌 매(sparrow hawk)였다. 이론적으로도 헤세가 살았던 유럽, 대서양으로 알바트로스가 날아간다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는 점이, 문장(紋章)의 새, 데미안의 의식과 영(靈)을 뜻하는 새가 알바트로스가 아닌 매라는 것을 반증했다.     다시 읽은 데미안 책은 36년 전에 2달러95센트의 값이 매겨진 반탐북(Bantam Book) 회사가 출판한 것으로 종이는 누렇게 변했고 책 커버는 너덜너덜했다. 지금 다시 들여다보니 영역본 33판이었다. 토머스 만이 1947년 4월에 쓴 소개문으로 영역본은 시작된다.     큰아이가 제일 앞장 빈칸에 나의 이름 ‘Monica C. Ryoo’라고 첫 줄에, 그리고 6/86이라고 그 밑줄에 써 놓았다. 딸은 그때 11살이었을 게다. 멋 부려서 쓴 딸의 글씨체가 좀 낯설다. 지금 40대 중반을 넘어선 그 애는 멋 부린 글씨를 쓰지 않는다. 그 애의 글씨는 아주 작고, 벌레가 기어가는 것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바빠서, 성격이 소심하게 바뀌어서, 완벽주의자가 되어서 글씨체가 변한 것일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위의 모든 것’ 아니면 ‘위의 아무것도 아님’이 정답일까?   딸의 사춘기, 청춘기가 데미안과 싱클레어, 지나간 전 세대들의 그것과 다를 바 없이 때로는 우울하고 외롭고 그래서 혼란스럽고 아프고, 힘들었을지도 모른다. 행복이라는 방안에서 창살 틈으로 빠져나가 버린 희망의 빛을 되찾으려고 방황했을까.     방황의 광야는 어떠했을까. 희망의 빛은 방에서 떠난 적이 한 번도 없었다는 것을 광야를 지나 되돌아 왔을 때 알게 되었기를 바란다.   남극을 떠나 쉬지 않고 지구를 돌다가 다시 남극으로 돌아가는 알바트로스가 되지 않아도 된다. 매서운 눈으로 세상을 주시하는 매가 아니어도 된다. 위험이 주위를 둘러쌀 때, 악이 무섭게 달려들 때, 우리는 친구를 부르면 된다. 우리는 우리 속 깊은 곳에 친구가 함께함을 알게 될 것이다. 딸과 우리들의 데미안은 누구인가? 전월화(류 모니카) / 수필가수필 데미안 친구 데미안 얼음덩어리인 남극 남극 대륙

2022-06-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