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름다운 우리말] 삶에서 일어나지 않는 일

살면서 우리는 끊임없이 일어나는 수많은 일 속에 갇혀 있습니다. 머릿속에는 어제 일과 오늘 일, 심지어 다가오지 않은 내일 일까지 가득합니다. 삶이 괴롭다는 말은 머릿속에 괴로운 일만 가득 담고 살기에 생긴 말일 겁니다. 인간의 머리는 제한적이어서 한 가지를 생각하면 동시에 다른 생각이 떠오르지 않습니다. 괴로운 생각을 하면 즐거울 수 없습니다. 울던 아이가 금방 깔깔대고 웃는 것도 머릿속에 한 가지 생각만 떠오르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두 가지 감정과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 것은 참 다행입니다.   어제의 괴로운 기억을 되살려 곱씹고 살아가는데 삶이 즐거울 리가 없겠지요? 지금 나에게 닥친 일 중에서 힘든 일만 골라 생각하고 있는데 현재가 기쁠 리 없습니다. 아직 오지 않은 미래, 그럼에도 오고 있는 내일을 걱정, 근심, 초조로 채우고 있는데 삶에 대해 설렘이란 있을 수 없겠죠. 사는 게 괴로움이라는 말은 어쩌면 내 머리와 감정의 편향성을 보여줍니다. 한쪽으로 생각이 가득 차 있는 겁니다. 세상을 사는 게 참 쉽지 않습니다.   저 역시 괴로움에 집중하는 편입니다. 지금까지 한 이야기는 모두 제 이야기일 겁니다. 굳이 안 좋은 쪽을 바라보고, 그쪽에 온 마음을 빼앗길 이유가 없음을 잘 알고 있음에도 그리되고 맙니다. 그런 자신을 보며 어처구니없는 웃음을 내보이기도 하고, 허탈한 감정을 속으로 쌓기도 합니다. 어쩌면 제 괴로움과 성장이라는 두 갈래 길은 고통에 대한 집중에서 비롯되는 듯합니다.   세상을 살면서 우리는 일어날 뭔가를 두려워하고 걱정합니다. 예를 들면 죽음이 그렇습니다. 반드시 누군가에게나 죽음의 시간은 옵니다. 영생을 이야기한 수많은 이도 일단은 모두 죽음의 시간을 맞았습니다. 누구나 죽는다는 것, 그러므로 나도 죽는다는 논리는 심한 공포를 줍니다. 사랑하는 이와 영원히 헤어질 것이라는 생각은 생각만으로도 슬픕니다. 세상이 온통 괴로움의 바다일 수밖에 없습니다. 내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다가 보면 금세 걱정의 바다로 흘러가 있으니 말입니다.     하지만 바로 이 지점이 생각을 바꿔야 하는 순간입니다. 세상에는 꼭 일어나는 일이 있는가 하면 결코 일어나지 않는 일도 있습니다. 말장난 같은 이야기지만 일어나는 일과 일어나지 않는 일은 서로 맞닿아 있습니다. 어느 누구나 죽는 게 반드시 일어나는 일이라면, 죽지 않는 일은 절대로 결코 일어나지 않는 일입니다. 살면서 누구나 아프기에 아프지 않은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습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고통이나 미워하는 이와 만나야 하는 고통은 결코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따라서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일은 생각의  방향을 바꾸는 일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내 괴로움의 근원은 누구에게나 일어나는 일, 달리 말하면 내가 피할 수 없는 일에 꽂혀있다는 겁니다. 그 깊숙이 박힌 칼을 바라보지 않는 이상, 괴로움은 그대로 남아있는 겁니다. 무리하게 괴로움의 칼을 빼내려고 하면 할수록 마음은 다시 그 괴로움을 향합니다.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어디를 바라봐야 할까요? 되돌아가고픈 기억은 나를 괴로움에서 그리움으로 옮겨줍니다. 내가 의식조차 못 한 상태에서 나를 순간 이동시킵니다. 내가 가고픈 곳에 대한 바람은 나를 괴로움에서 그리움으로 옮겨줍니다. 내 의식의 한 점은 금방 다른 점으로 옮아가는 겁니다.     즐거움이 있기에 괴로움도 있는 거라 말하지만, 이는 반대로 말하면 괴로움이 있기에 즐거움도 있는 겁니다. 생각을 괴로움에서 즐거움으로 옮기면 세상이 밝아집니다. 살면서 결코 일어나지 않는 일은 괴로움이 없는 세상입니다. 그러기에 내 마음의 점을 잘 바라보아야 합니다. 그 점을 엷은 미소 속으로 옮기는 수정이 필요합니다. 하루 종일 나를 괴롭혔던 생각의 점이 이 글을 쓰는 동안, 글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괴로움을 잊고 글을 쓰고 있었네요. 좋아하는 일, 기쁜 생각을 하면 괴로움의 크기는 줄어듭니다. 좋아하는 사람, 좋아하는 일, 좋아하는 말로 생각의 점을 옮겨보세요.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이상 괴로움 걱정 근심 모두 죽음

2024-07-28

[아름다운 우리말] 괴로우나 즐거우나

사는 게 참 어렵다는 말을 합니다. 인생이 고통의 바다라는 말도 합니다. 실제로도 그렇습니다. 폐업하는 가게가 속출하고, 취업을 못 하는 젊은이가 넘쳐납니다. 노인의 빈곤 문제나 천정부지의 주택 가격을 보면 출생률이 왜 낮은지 설명 안 해도 알 수 있습니다. 결혼을 안 하는 것도 마찬가지겠죠. 모든 것이 괴로움 천지입니다. 우울증이 만연하고, 자살률이 높은 것은 당연한 이야기일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세상은 사실 철학의 시간이고, 종교의 시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괴로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갈까가 중요한 문제가 되어 있는 겁니다. 하지만 세상은 반대의 방향으로 달려가기도 합니다. 고통을 잊는 가장 좋은 방법은 철학이겠으나 그보다 쉬운 방법은 눈앞에 널려있습니다. 마약이 사회 문제가 된 지 오래입니다. 아마도 마약을 구하기 쉽거나 외국의 사례처럼 대마초가 합법화된다면 너도나도 마약에 의존할 겁니다. 마약이 아니어도 고통을 잊기 위한 방법도 많습니다. 향락은 언제나 가까이에 있습니다. 괴로움을 이기려고 시작한 일이 더 큰 고통을 불러옵니다.   저도 해결책을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답답해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세상의 고통은 세상의 문제이면서 곧바로 저의 문제입니다. 세상 사람이 고통스러운데 저만 행복한 것은 애시당초 불가능합니다. 가족이 불행한데, 저만 웃을 수는 없습니다. 가족 중 한 명만 우울해지면 가족은 어두운 가족이 됩니다. 한 가족이 어두우면 그 사회가 어두워집니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는 우울과도 괴로움과도 연결됩니다. 세상은 연결되어 있으니까요.   하지만 우리는 괴로움에 모든 신경을 지나치게 모으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괴로움에 몸부림치지만 괴로움 밖에 있는 즐거움을 보기 위해서 노력도 덜 하고, 해결책도 모르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앞에서 철학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철학이나 종교라는 말이 거창한데 그저 곰곰이 생각한다고 해도 좋겠습니다. ‘골똘하게’라는 표현도 좋습니다. 괴롭다는 생각을 곱씹어 보는 것이 아니라 괴로움의 원인이나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길을 골똘히 생각해 보는 겁니다. 어떤 사람은 그런 모습을 ‘기도’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염불’이라고도 합니다. 다 좋습니다. 내 괴로움의 원인을 들여다보고 괴로움에서 나올 수 있기 바랍니다.   우리말은 몇 가지 단서를 보여줍니다. 사는 게 쉽지 않기에 우리말에는 고통이 앞에 옵니다. ‘괴로우나 즐거우나’가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괴로움이 먼저입니다. ‘진자리 마른자리’라는 표현도 그렇습니다. ‘진자리’가 먼저 나옵니다. ‘미우나 고우나’라는 표현도 비슷합니다. 어찌 보면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괴로움이 먼저였습니다. 안락한 엄마의 뱃속을 떠나 괴롭게 비집고 세상으로 나온 겁니다. 삶에는 늘 이렇듯 괴로움의 순간이 먼저 옵니다. 괴로움이 지나야 다음 단계가 나타납니다.   괴로움은 그대로 끝이 아닙니다. 저는 괴로움 다음에 오는 표현에 주목합니다. 괴로움은 지나갑니다. 그리고 괴로움 뒤에는 즐거움이 기다립니다. 진자리는 마른자리로 갈아주면 됩니다. 늘 우리가 진자리에 있는 것은 아닙니다. 괴로움 속에 있을 때는 다음에 올 즐거움을 기다리고 꿈꾸어야 합니다. 저는 그래서 괴로움의 순간에 즐거움을 향하라고 이야기합니다. 지금 내가 겪는 괴로움의 원인을 찾고, 집착을 버리고, 즐거움을 향하는 겁니다. 이는 우리 삶에서 늘 일어나는 일입니다. 살아온 경험을 돌아보면 알 수 있습니다.   신화에서 시지프스가 산꼭대기에 돌을 굴려 올립니다. 그런데 돌은 다시 굴러떨어집니다. 매일 돌을 굴려 올려야 하니 얼마나 괴로울까요? 하지만 생각이 즐거움을 향하면 세상이 바뀝니다. 돌이 굴러떨어지고 나면 비로소 쉴 시간이 생깁니다. 돌아가서 가족과 벗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즐길 수 있습니다. 돌을 굴리는 시간 말고, 돌을 굴리지 않아도 되는 시간에 집중하는 겁니다. 괴로움에 집중하면 괴로울 수밖에 없습니다. 괴로운 시간 뒤에 오는 즐거움에, 뽀송뽀송한 마른자리를 기대하며 살아가야 하겠습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괴로움 다음 진자리 마른자리 사회 문제

2024-06-23

"괴로움 갖고 살지, 없이 살지 전적으로 내 선택"

괴로움은 마음의 작용이다. 육체의 작용은 통증이다. 마음공부를 하는 건 괴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최근 한국 서울 강남구 선릉로 성암아트홀에서 200명을 대상으로 법륜 스님(사진)을 초청, '삶이 너무 버거워요. 스님, 어떡할까요?'란 주제로 대담과 즉문즉설 행사가 진행됐다. 객석에서는 수시로 웃음이 터졌고, 청중의 질문과 스님의 해법에 고개를 끄덕이는 이들도 많았다.   '법륜 스님에게 마음을 묻다'는 마음을 주제로 사회자(백성호 종교전문기자)의 즉문에 법륜 스님이 즉답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마음공부는 어떻게 하느냐?"는 물음에 스님은 "괴로움은 마음의 병이다. 첫째 내가 괴롭다는 걸 인지해야 한다. 이게 병이라는 걸 알아야 한다. 둘째 병의 원인을 알아야 한다. 셋째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그게 치료다. 넷째는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게 마음공부의 근본 원리다. 세상만사도 마찬가지다. 갈등이 있으면 그걸 알아차리고, 원인을 알고, 그 원인을 제거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법륜 스님은 "혼자 살아 외로워서 괴로운 사람이나 결혼해서 갈등으로 괴로운 사람이나 아이가 말을 안 들어서 괴로운 사람이나 괴로움은 다 똑같다"며 누구나 괴로울 수 있다고 했다.     "괴로움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땅에서, 혹은 전생에서 온 것도 아니다. 지금 내 마음이 괴로운 걸 직시하면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그 원인을 놓아버리면 괴로움 없는 상태가 된다. 누구나 괴로울 수 있지만, 누구나 안 괴로울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청중을 쭉 둘러보던 법륜 스님은 "괴로움을 가지고 살지, 괴로움 없이 살지는 전적으로 여러분의 선택이다"고 말했다.   또 마음공부를 할 때는 자신의 실질적인 삶에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법륜 스님은 "'공부 따로 생활 따로'라는 말은 존재할 수가 없다. 그건 생각으로 하는 공부를 하니까, 삶의 괴로움이 없어지지 않으니까 하는 말이다. 그런데 내가 뭘 괴로워하느냐를 가지고 공부하면 생활과 마음공부가 따로 갈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사회자는 법륜 스님 저서에 있는 한 구절을 낭독했다. "물에 빠져서 살려달라고 허우적대지 말고, 물에 빠진 김에 진주조개를 주워오라. 어차피 장가간 김에, 어차피 자식 낳은 김에, 어차피 부도난 김에, 어차피 암에 걸린 김에, 어차피 늙은 김에 괴로워하지 말고 깨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보라."   법륜 스님은 "깨달음은 멀리 있지 않다. 그걸 알아차리면 단박에 깨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법륜 스님은 괴로움과 깨달음을 꿈에 비유했다.     "꿈에 강도를 만나서 쫓기면 두렵다. 그런데 누가 도와주면 고맙다. 강도를 피했다고 안도한다. 이게 지금 우리가 받고 있는 위로다. 그런데 눈을 딱 뜨면 어떤가. 그냥 꿈이다. 원래 강도도 없고, 고마울 일도 없다. 괴로움과 깨달음은 이런 거다."   '법륜 스님의 즉문즉설'에서는 독자와 청중이 건네는 삶의 다양한 문제들이 펼쳐졌다. 법륜 스님은 하나씩 짚어가며 이치가 담긴 해법을 풀어냈다. 스님이 건네는 유머와 청중의 폭소, 이어지는 크고 작은 깨달음으로 강연장은 지루할 틈이 없었다.   "문득문득 튀어나오는 화를 다스리는 방법"을 묻자 법륜 스님은 "이미 튀어나온 화는 방법이 없다. 화를 낸 것에 대한 과보를 받아야 한다. 죄지어놓고 모두 천당 가겠다는 건 나쁜 심보다"라며 "다만 화를 낸 뒤에라도 알아차리면 도움이 된다. 바로 사과할 수도 있다. 그럼 다음부터는 화가 탁 올라올 때 알아차릴 수도 있다. 그럼 멈출 수가 있다. 쉽게 가라앉을 수가 있다. 만약 또 화를 내버렸다면 빨리 사과하면 된다"고 일러주었다.   이외에도 힘겨운 가정사와 아이 교육 문제, 우연ㆍ필연ㆍ카르마(업 혹은 습관) 등 삶의 다양한 물음들이 쏟아졌다.     "법륜 스님께서는 출가하지 않았다면 어떤 삶을 살았을 것 같나요?"라는 질문도 나왔다.     법륜 스님은 "청소년 때는 과학자가 되고 싶었다. 무엇이든 탐구하고 연구하는 걸 좋아했다. 어릴 적 저는 옮고 그름의 잣대가 강했다. 이런 성질 때문에 아마 명대로 못 살았을 확률도 높다"며 "불교 공부를 하면서 서로 다른 걸 이해하고 포용성이 생겼다. 이런 걸 많이 봐주는 힘이 생겼다"고 대답했다.   베트남.태국.라오스.튀르키예.시리아 등 동남아시아와 서남아시아를 두 달간 돌면서 난민촌과 재해 구호지역에서 인도주의 활동을 벌이다 막 귀국한 법륜 스님은 이날 여독도 채 풀리지 않은 상태였다. 그런데도 청중의 절박한 즉문에 일일이 마음을 담아 지혜의 즉설을 꺼냈다.   백성호 기자   ☞법륜(法輪) 스님은   1953년 울산 출생, 1969년 불가에 입문했다. 수행공동체 정토회를 설립(1988년)해 수행지도를 통한 구호 및 사회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 아시아의 노벨평화상이라 불리는 막사이사이상(2002년)을 비롯한 민족화해상(2007년) 포스코청암상(2011년) 등을 수상했다. 그의 즉문즉설(卽問卽說) 강연은 즉석에서 바로 묻고, 바로 답한다. 법륜은 "자신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직시할 때 정확한 물음과 답이 나온다"고 말한다.     ━   7년 전 LA 찾은 법륜 스님의 조언   "한인들 제 3의 정체성 갖고 살길"   법륜 스님은 지난 2016년에 LA를 찾았다.   당시 미주중앙일보에서 열린 강연회를 앞두고 본지는 법륜 스님과 인터뷰를 가졌다. 본지 2016년 9월22일자 A-2면〉   당시 법륜 스님은 미주 한인들에게 '희망'을 강조했었다.   법륜 스님은 "자기 뜻대로 안되니까, 욕심을 내려놓지 못하니까, 절망한다"며 "'행복해질 수 있다'라는 건 가능성이고, 그 가능성을 인식하면 희망이 생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삶은 방법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했다.   법륜 스님은 "뜨거운 컵을 들고 있다면 '뜨겁다' 하지 말고 그냥 놓으면 되는데, '어떻게 놓아야 하는데요'라고 묻는 것과 같다"며 "놓는 기술이 부족한 게 아니라 뜨겁긴 한데 갖고 싶으니까 못 놓을 뿐이다. 욕심을 버려야 산다"고 전한 바 있다.   그러면서 미주 한인들을 향해 "'나는 한국말도, 영어도 못한다'라고 생각하지 말고, 한인으로서 미국에 산다는 '제3의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열 기자괴로움 전적 법륜 스님 살길 법륜 당시 법륜

2023-07-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