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공연예술분야의 한류 이끌어 갈 K-프로듀서의 탄생을 기대하며…

프로듀서는 ‘이상과 현실을 잇는 Allrounder’, ‘문화예술의 Keystone’이다.   공연예술산업은 감성적인 측면의 예술과 이성적인 측면에서의 경제적 가치를 함께 추구해야만 하는 영역이다. 그러기에 프로듀서는 파토스(감성)와 로고스(이성), 이상과 현실의 경계에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면서 최선의 대안을 찾아가는, 즉 이상과 현실을 잇는 문화예술의 올라운더(Allrounder)인 것이다.   또한 공연예술의 진정한 힘은 향유자의 개별적 행복에 그치는 것이 아닌, 긍정적인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확산시켜 나가는 데 있다. 그래서 공연은 가치재(merit goods)이자, 행복산업이다. 그러한 공연을 기획, 제작하고 향유하게 하는 프로듀서는 우리 사회의 행복한 문화민주주의를 만들어가는 문화예술분야의 키스톤(keystone)이다.   오늘날 공연예술 현장과 비즈니스 패러다임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산업적 성장을 주도하고 이끌어갈 인적자원 양성과 교육에 대한 이해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공연의 A to Z를 책임지고 막중한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듀서를 위한 교육훈련 시스템은 제대로 갖추어지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사)한국공연프로듀서협회에서는 공연프로듀서 자격증 제도를 신설하였다. 또한 도서출판 월인과 연극과 인간은 27일 신간 '더 프로듀서 THE PRODUCER'를 출간했다.   공연프로듀서 자격증은 공연작품의 기획, 제작, 유통을 총괄하는 전문가, 즉 프로듀서 양성을 위해 시작되었으며, 이 책은 이 과정의 교재 성격을 띠고 있다.     '더 프로듀서'는 주)엠비제트컴퍼니 고강민 대표이사와 한국공연프로듀서협회 김용제 회장, 의정부문화재단 소홍삼 문화사업본부장, (주)이다엔터테인먼트 손상원 대표이사. (주)문화공작소상상마루 엄동열 대표, 서울사이버대학교 이의신 교수, 동국대 정달영 문화예술대학원장 겸 예술대학장이 저자로 참여했다.   저자들은 이론과 현장의 균형감을 집필의 기본 방향으로 하여 수개월에 걸친 집필과 회의, 검토를 통해 올해 가을 그 결실을 독자들에게 선보이게 되었다. 이 책은 공연분야의 광범위한 이론적 내용 전반과 현장을 아우르는 공연예술학 개론서로, 공연예술의 이해에서부터 극장경영, 공연제작, 공연유통, 공연마케팅, 공연계약 및 저작권과 같이 프로듀서를 위한 이론과 현장의 키워드를 녹여내었다.   아무쪼록 이 책이 역량 있는 공연 프로듀서를 발굴하고, 그들의 잠재력과 성장판을 자극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들이 공연예술의 외연을 확장하고, 탄탄한 내실화를 도모해 국내 공연 활성화에 이바지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더 나아가 공연예술분야에서도 한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훌륭한 프로듀서의 탄생을 기대해 본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공연예술분야 프로듀서 한국공연프로듀서협회 김용제 공연프로듀서 자격증 프로듀서 양성

2022-09-28

뉴욕시 10월 일자리 4만개↑…1년래 최대폭

백신 접종이 확대되고 관광객들이 돌아오기 시작하면서 뉴욕시 일자리가 빠르게 늘고 있다. 뉴욕시의 10월 일자리 증가폭은 지난해 9월 이후 최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다만 식당·호텔 등 대면업종 외에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반 기업들은 여전히 재택근무를 상당수 유지하고 있어 경제 추가회복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18일 뉴욕주 노동국 발표 등에 따르면, 지난달 뉴욕주에선 4만3900개 일자리가 추가됐고 뉴욕시 일자리는 4만200개 늘었다. 뉴욕시 일자리 증가폭은 전국 10월 일자리 증가폭의 7.6% 규모에 해당하며, 지난해 9월 이후 약 1년여 만에 최대다. 전달 대비 증가율(1.99%)은 전국 평균(1.06%)의 두 배에 달하며 실업률은 9월 9.8%에서 9.4%로 하락했다.   미국이 백신 접종을 완료한 해외 관광객도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 관광산업에 활기가 도는 점이 일자리가 증가한 이유다. 브로드웨이 뮤지컬·콘서트·스포츠 경기 등이 재개되면서 관련 산업 노동자도 일자리를 되찾고 있기 때문이다. 공연예술분야 일자리는 지난 9월엔 3700개 늘었는데, 10월엔 5300개나 더 늘었다.     하지만 일반 회사원들의 도시 복귀율은 여전히 저조하다. 스콧 스트링어 뉴욕시 감사원장은 9월 기준 뉴욕시 직장인 재택근무 비중이 25.6%로, 여전히 4명 중 1명이 재택근무 중이라 도심의 활기가 살아나지 않는다고 전했다. 특히 핵심 산업인 금융과 IT업계 재택근무 비중이 월등히 높아 사무실이 텅 빈 곳도 다수다. 오피스 임대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뉴욕시 세수에도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런 배경 때문에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직장인들이 하루빨리 도심으로 출근하길 바란다고 밝혔다가 뭇매를 맞았다. 호컬 주지사는 전날 맨해튼에서 열린 ‘더 나은 뉴욕만들기 연합(ABNY)’ 조찬 행사에 참석, “고용주들은 이제 직원들에게 다시 일하러 오라는 메시지를 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계정에도 “이제 사무실로 돌아가야 할 때”라는 글을 남겼는데, 반발 댓글이 다수 달렸다. 한 트위터 사용자는 “공들여 재택근무 시스템을 만들었는데 왜 돌아가야 하나. 정말 2019년적인 발상”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사람들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란 말인가’, ‘텅 빈 사무실이 그렇게 걱정되면 저렴한 주거단지로 바꿔라’, ‘팬데믹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격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일자리 최대폭 뉴욕시 일자리 일자리 증가폭 공연예술분야 일자리

2021-11-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