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배터리업체 프레이어, 26억불 조지아 투자 "없던 일로"
트럼프 복귀 후 투자환경 급변 탓
6일 조지아주 경제개발부와 프레이어는 2022년부터 코웨타 카운티에서 추진하던 배터리 공장 '기가 아메리카' 사업이 취소됐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전기차 배터리와 전력 저장용(ESS) 배터리를 2026년부터 양산하겠다는 목표로 25억 7천만 달러를 투자해 34GWh(기가와트시) 규모의 공장을 건설하려 했다. SK배터리아메리카 1·2공장(총 22GWh)보다 크고 현재 건설 중인 SK온-현대차 합작공장(35GWh)과 맞먹는 규모다.
현대차그룹 전기차공장 메타플랜트 건설 계획(2022년 5월)이 발표된 뒤 6개월 후 발표된 이 투자는 조지아의 배터리 산업 붐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당시 AP통신은 "전기차 회사 테슬라가 일본 파나소닉과 네바다주에서 운영중인 배터리공장 '기가팩토리'에 이어 세계 두번째로 큰 공장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주정부는 3억 5800만 달러 이상의 보조금과 세제 인센티브를 약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전기차시장 수요 둔화로 배터리 업계는 생산시설 투자 속도를 늦추는 모양새다. 프레이어는 지난해 8월 유럽 내 배터리 생산과 신규 시설 계획을 철회했으나 조지아주 공장에 대해선 미국 내 배터리 수요가 높고 연방 및 주 정부의 지원책이 다양하다는 점을 들어 사업 의지를 밝혀왔다. 실제 톰 젠슨 프레이어 최고경영자(CEO)는 당시 미국 시장 진출의 주요 이유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세제 혜택을 내세운 바 있다.
하지만 트럼프 당선 직후 프레이어는 중국 태양광 기업 트리나솔라(톈허광넝)의 텍사스주 모듈 공장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경영 전략을 재빨리 바꿨다. 중국산 태양광 수입이 봉쇄될 것에 대비한 조치다. 트리나솔라는 지난해 11월 공장을 신규 가동한 지 불과 며칠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코웨타 카운티 당국은 프레이어로부터 2000만 달러의 보조금을 회수하고 공장 부지 인수자를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