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폭탄에 캐나다 '국산품 소비 운동' 전개
트뤼도 총리·주총리들 美제품 보이콧 호소
5천280억 달러 주간 교역도 자유화 추진
주간 무역장벽 철폐로 1천억 달러 경제효과

밴쿠버 중앙일보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 주총리들은 22일 화상회의를 열고 2월 1일부터 시행될 미국의 25%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보복관세와 함께 국산품 애용 운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트뤼도 총리는 "지난번 관세 분쟁 때처럼 하인즈 대신 캐나다산 토마토로 만든 프렌치 케첩을 선택하는 등 현명한 소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인즈는 2014년 온타리오주 리밍턴 공장 폐쇄 후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으로 몬트리올에 새 공장을 설립한 바 있다.
연방-주정부 협의체인 내부무역위원회도 조만간 소집된다. 주별로 다른 주류 판매 규정, 응급처치 키트 기준, 트럭 타이어 크기 등 각종 규제가 국내 교역을 가로막고 있어서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캐나다 주간 교역 규모는 5천280억 달러로 국내총생산(GDP)의 18.8%를 차지했다. 무역장벽 철폐로 연간 500억~1천억 달러의 추가 경제효과가 기대된다.
온타리오주는 온타리오주는 코스코, 소비스, 월마트, 메트로, 로블로스 등 대형 유통업체들에 캐나다산 제품 우선 진열을 요청했다. BC주는 주민들에게 미국 여행과 휴가를 재고해달라고 당부했다.
다만 앨버타주와 사스카츄완주는 광범위한 보복관세에 반대하며, 제한적이고 표적화된 관세만을 주장하고 있다.
에너지 자립도 강화를 위해 온타리오 북부 링 오브 파이어 자원개발과 에너지 이스트, 노던 게이트웨이 등 중단됐던 송유관 프로젝트 재개도 검토되고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