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믿음] 습관 고치기: 반조의 주요성
20세기 초 미국은 금주령 시대였습니다. 어느 날 저녁, 대학생 두 명이 기숙사를 빠져나와 어떤 술집을 향해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길에 있는 포스터를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인근 교회에서 열리는 부흥사 무디(D. L. Moody)의 집회였습니다. 한 명은 무디 목사의 집회는 항상 있는 것이 아니고 귀한 기회니 집회에 참석해 보자고 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 명은 술 마시러 기왕 나왔으니 주말을 바에서 즐기자고 했습니다. 그 날 저녁 한 명은 교회에서, 다른 한 명은 바에서 시간을 보냈습니다.그 후 46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 날 부흥회에 참석한 청년은 어떤 각성이 있어서 인생 방향을 새로 정립하고 열심히 공부하여 결국 미국 23대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회고록에 “그 날 저녁 그 집회에 가지 않았다면 내가 대통령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 날 술집에 간 그 청년은 과거 룸메이트였던 자기 친구가 대통령이 되었다는 사실을 보스턴의 어느 감옥에서 신문을 보고 알게 됩니다.
우리 운명은 순간순간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우리의 배우자, 직업 등의 선택이 우리 인생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가를 생각해 보면 이를 알 수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사람들의 선택 70%는 그냥 습관에 따르는 것이라 합니다. 부지런한 것, 게으른 것, 일찍 일어나는 것, 늦게 일어나는 것, 말을 많이 하는 것, 적게 하는 것, 남을 비판적으로 말하는 것, 무엇을 미루는 것 등 우리 행동의 태반은 습관입니다.
습관의 사전적인 정의는 ‘어떤 행위를 오랫동안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이 바로 우리 모습이다. 탁월함이란 어떤 행위라기보다 습관이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좋은 습관은 길들이기 어렵고 나쁜 습관은 쉽게 길듭니다. 원불교 창시자 소태산 대종사께서는 다음과 같은 말씀을 하십니다.
“사람의 성품은 원래 선악이 없는 것이나 습관에 따라 선악의 인품이 있어지나니 습관은 곧 당인의 처음 생각이 좌우의 모든 인연에 응하고 또 응하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것이라…좌우의 인연을 따라 습관 되는 이치가 선과 악이 서로 다르지 아니하나, 선한 일에는 습관 되기가 어렵고 악한 일에는 습관 되기가 쉬우며, 또는 선한 습관을 들이기 위하여 공부하는 중에도 조금만 방심하면 알지 못하는 가운데 악한 경계에 흘러가서 처음 목적한 바와는 반대로 되기 쉽나니 이 점에 늘 주의하여야 착한 인품을 이루게 되리라.”
습관은 그것이 ‘반복’되는 것이기에 하찮은 것일지라도 우리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줍니다. 처마 밑에 떨어지는 물이 결국 아래에 있는 바위에 구멍을 내듯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사람들의 버릇이 실제 여든까지 가는 것이 아니라 다음 생까지 유전되기에 십상입니다. 전생의 습관과 성격이 금생 혹은 다음 생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교의 대성(大聖) 증자님께서는 ‘하루에 자기를 세 번 돌아보는 것(一日三省)’을 당신 수행 기조로 삼았다고 합니다. 개구리가 멀리 뛰려면 일단 움츠려야 하듯 ‘반조(反照)’ 없이 우리 인생을 변화시키고 진보시키기란 쉽지 않습니다.
소태산 대종사께서는 당신의 친저‘원불교 정전’에서 매일 모든 수행자가 ‘반조’ 공부를 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십니다. “하자는 조목과 말자는 조목에 실행이 되었는가 못 되었는가를 대조하기를 주의할 것이니라.”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