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칼럼] 피할 수 없는 죽음, 인간의 존엄
2023년 기준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은 남성 80.5세, 여성 86세로 집계됐다. 신이 허락해 시니어가 칠순을 넘긴다면 10~16년은 더 살 수 있다. 이들 시니어에게 남은 생이 소중할 수밖에 없다.
‘남은 삶을 어떻게 마무리할 것인가’도 중요한 의미와 가치가 되고 있다. 고령화 시대가 되면서 웰빙(Well-Being)과 웰에이징(Well-Aging)에 신경 쓰는 이유다.
특히 본인 스스로 삶의 마지막 순간을 준비하는 ‘웰다잉(Well-Dying)’은 외면하기 어려운 주제다. 지난 10여 년 동안 한인 시니어들 스스로 ‘죽음을 미리 준비하자’는 공감대가 부쩍 확산한 현상은 주목할 만하다.
60대 후반의 강대흔 씨는 “의식 없는 연명 치료 등 살 수 있을 때까지 살고자 하는 것은 조금 욕심인 것 같다. (준비 없이)나만 죽으면 그만이라는 생각도 이기적이다. 내 가족, 친구, 커뮤니티를 생각한다면 ‘내가 원하는 죽음은 어떤 모습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사실 시니어 스스로가 본인의 죽음을 준비하던 한국인 정서는 시골에 남아 있다. 어릴 적 할아버지는 환갑잔치 후 본인의 영정 사진으로 사용할 초상화를 미리 준비했다. 묫자리도 봐놨다. 할아버지는 돌아가신 뒤 본인이 계획한 대로 장례를 치렀다.
최근 장례 준비에서도 한 단계 나아간 웰다잉 움직임이 퍼지고 있다. 한인 사회에서는 시니어들이 주축이 된 소망소사이어티라는 단체가 캠페인을 이끌고 있다. ‘아름다운 삶, 아름다운 마무리’를 강조하는 이 캠페인은 “죽임을 당하지 말자”고 강조한다. 수동적인 생의 마무리를 거부하는 주체적 의식인 셈이다.
‘존엄한 존재’로서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 아래 내 의지로 죽음을 맞이하자가 웰다잉 운동의 핵심이다. 고령화 시대의 부작용에 따른 현실적 문제점도 무시할 수 없다.
연명 치료 시 삶의 존엄과 경제적 부담, 배우자나 부모를 너싱홈 시설로 보내는 문제, 그에 따른 남은 가족의 죄책감은 생각보다 크다.
웰다잉 운동에 공감한 한인 시니어 1만8000여 명이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Healthcare Directive)를 작성했다. 스스로 맞이하는 죽음에 동의해서다.
이들은 ‘임종 전 의료결정(기도 삽관, 기관지 절개, 인공호흡기 치료, 인공영양법, 심폐소생술 등)’과 ‘임종 후 장례 결정(장기기증, 매장·화장·시신 기증 등 장례방식)’여부에 직접 서명해 법적 효력까지 갖췄다.
소망소사이어티 유분자 이사장(89)은 “고령화 시대의 전환점을 맞았다. 치매, 중증질환 등 의식이 없는 상태가 됐을 때를 생각해 보자”며 존엄한 죽음을 제안한다. 유 이사장은 “인간의 자유의지로 죽음을 겸허하게 준비하는 과정 자체가 지혜로운 일”이라는 말도 빼놓지 않았다.
60대에 사전의료지시서를 작성했다는 박준구(90) 할아버지는 “내 죽음을 대비하니 늙는 동안 마음이 안정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없어졌다”며 심리적 위안을 장점으로 꼽았다.
웰다잉 캠페인 현장에서 만난 시니어들은 ‘지혜’를 엿보게 해줬다. 죽음을 바라보는 자세에는 겸허함마저 배어 있다. 사전의료지시서 작성자 중 시신 기증에 서약한 시니어도 1800명 이상이다. 시신 기증 서약자 중 70%가 의학발전 등 사회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고 싶다고 이유를 밝혔다. 숭고함까지 느껴지는 저승 갈 채비에 감사와 존경을 전한다.
김형재 / 사회부 부장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