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Nathan Park 기자의 시사분석] 외래어종 차단 작전

박춘호

박춘호

시카고 일원의 외래어종이라 하면 아시안 잉어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아시안 잉어라는 원산지 중심의 표기보다는 실버 잉어, 빅헤드 잉어라는 어종 중심의 표시가 대세다. 주로 동영상을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됐는데 배가 물 위를 지나가면 수면 위로 뛰어 오르는 물고기들이 마치 현실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인지 아닌지가 분간이 안될 정도다. 물 위를 날아다닌다고 해도 될 정도로 물고기들이 물 밖으로 뛰어 나르는 장면이 매우 비현실적이다.  
 
사실 이런 모습은 물 속에 전기를 흘려 물고기들을 자극해서 찍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하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큼지막한 물고기로 물 반, 물고기 반을 이루는 모습은 쉽게 잊혀지지 않는 장면이긴 하다.  
 
문제는 이 외래어종이 가지고 올 환경 영향이다. 말 그대로 외래어종이기 때문에 생태계에서는 이 물고기들의 확산을 자연적으로 억제할 수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원산지인 중국과 한국 등에서는 기껏해야 다 자라면 10kg 정도지만 미국으로 서식지를 옮긴 후에는 환경 영향 탓인지 20kg 이상을 쉽게 넘기는 몸무게를 자랑하고 있다. 엄청난 양의 알을 낳기 때문에 번식 역시 무서울 정도로 빠르다. 이들이 크면 프랑크톤 뿐만 아니라 작은 물고기까지 모두 잡아 먹기 때문에 수중 생태계게 파괴된다고 알려져 있다. 원래 살았던 아시아 지역에서는 지역의 다른 개체와 경쟁하면서 어느 정도 개체수가 조절이 되지만 외래어종이 된 시카고 지역에서는 다른 경쟁자들이 없기 때문에 말 그대로 최종 포식자로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가장 큰 문제는 상업용 낚시와 보트 비즈니스가 타격을 받게 된다. 이 물고기들이 현재와 같이 미시시피강, 일리노이강을 따라 강 상류로 진출하고 궁극적으로 미시간호수를 통해 오대호에 유입되는 순간 수중 생태계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그렇게 되면 미시간호수에는 외래어종인 잉어 밖에 없는 생태계가 되고 상업용 낚시와 보트 비즈니스는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된다.  
 
업계에서는 이 두 산업이 오대호 연안에서 연간 200억달러 규모의 경제 효과를 나타낸다고 추정하고 있다. 물고기 단 한 종류 때문에 이렇게 큰 규모의 산업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하니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래서 외래어종의 오대호 진입을 원천적으로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수년 전부터 관련 움직임이 생겼다. 일리노이 정부와 육군 공병대가 나서 대책을 세웠다. 대표적으로 일리노이강과 미시간 호수가 만나는 인근 지역을 선정해 여러겹의 안전 펜스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미 대상 지역도 선정했고 기본 설계도 끝났으며 본격적인 공사를 앞두고 있다.  
 
졸리엣 인근의 브랜든길 댐이 바로 그곳이다. 강가에 섬처럼 생긴 이 곳에 외래어종이 더 이상 상류로 진출하지 못하도록 에어 버블을 쏘고 물고기들이 싫어하는 음파 공격도 하며 대용량의 물을 내려가게 하면서 호수로의 진출을 막는다는 것이다. 전기 펜스 설치 역시 포함되어 있다.  
 
문제는 역시 돈이다. 이 눈에 보이지 않는 펜스를 설치하고 운영 관리하는데 11억달러 이상의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다. 가장 시급한 곳은 역시 오대호를 접하고 있는 일리노이와 미시간주다. 주정부들은 자체 재원도 마련하고 대부분은 연방 정부의 지원금을 사용해서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된 최종 합의가 최근에야 나왔고 이제 곧 공사에 들어갈 수 있게 됐다. 이 과정에서 딕 더빈, 태미 덕워스 일리노이 연방 상원 의원이 재원 마련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외래어종의 침입은 사소한 일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실버 잉어와 빅헤드 잉어 역시 1980년대 이후 미시시피강 연안에 퍼지기 시작했는데 양어장이나 낚시장에서 살던 물고기들이 홍수로 인해 지역 강가로 유출됐다고 보여진다. 일부에서는 관상용으로 키우던 물고기들이 어떤 이유로 해서 지역 강까지 퍼져 나갔다고 보기도 한다.  
 
생태계에는 자정 능력이 있어 특정 생물체가 먹이 사슬을 깰 경우 다시 복원되는 경우가 많다. 한때 한국에서도 큰 사회 문제가 됐던 황소 개구리와 블루길 같은 물고기의 경우에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뒤에는 기존 생태계가 적응한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황소같이 생긴 모습의 개구리가 한국에 나타나 기존 생태계를 모두 긴장시킬 정도로 확신됐지만 시간이 지나자 황소 개구리를 잡아 먹는 천적들이 출현했다는 것이다. 블루길과 배스 역시 가물치라는 천적으로 인해 이전과 같은 번식력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버 잉어와 빅헤드 잉어의 경우에도 자연 생태계가 억제할 수 있겠지만 막대한 예산을 투자해 대응책을 세울 정도가 됐다. 
 
이전까지는 이 물고기들을 잡아 식용으로 판매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오기도 했다. 아시안 잉어라는 표현으로 인해 식용으로 먹는 것을 꺼려한다는 지적으로 인해 코피라는 새로운 이름도 붙여서 타코에 들어가는 재료로 판매를 시도하기도 했다. 어떻게 보면 물고기 한 종류가 더 많아지는 정도라고 볼 수도 있지만 시카고와 일리노이에는 신의 선물이라고 할 수 있는 미시간 호수의 수중 생태계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편집국)  
 

Nathan Park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