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뉴스 포커스] 인플레와 ‘보이지 않는 손’의 역할

김동필 논설실장

김동필 논설실장

요즘 경제 뉴스의 키워드는 ‘인플레이션’ 이다. 증시나 주요 기업의 움직임들이 인플레이션을 중심으로 설명된다. 인플레이션은 기준 금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지금은 고금리 상황인 탓이다.  그러다 보니 경제 주체들은 매달 발표되는 개인소비지출(PCE)이나 소비자물가지수(CPI) 등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관심은 뜨거운데 누구도 자신 있는 전망을 내놓지 못한다. 한 투자 전문가는 “금리를 결정하는 연준 의원들도 인플레이션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 모를 것”이라는 말로 어려움을 나타낸다. 워낙 다양한 변수들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지난 21일 공개된 연방준비제도(Fed)의 최근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서도 답답함이 묻어나기는 마찬가지다. 회의록에는 “인플레이션이 지난 1년간 둔화하긴 했지만 최근 몇 달간의 자료는 목표 수준인 2%로 향하고 있다는 확신을 주기에 부족하다”고 되어 있다. 최근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올랐다는 의미다. 이런 언급은 금리 동결 때마다 있었던 내용이라 특별할 게 없다. 그런데 이번 회의록에는 이전과 다른 내용이 포함돼 시장을 긴장시켰다. 상당수 회의 참석자들이 “인플레이션이 더 지속하면 통화 긴축이 더 적절한 정책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는 부분이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의 완화 기미가 보이지 않자 연준이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언급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불과 몇 달 전과는 온도 차가 느껴진다. 사실 연초만 해도 올해 최소 3차례 정도의 금리 인하 전망이 대세였다. 인플레이션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에서였다. 연준은 계속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기는 했지만 이런 전망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는 눈치였다. 그런데  물가 상승률이 3% 중반대에 고착되면서 금리 인하 전망도 최소 3회에서 1회 내지 2회로 줄었고, 그나마 요즘은 ‘올해는 동결’ 전망까지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연준은 한발 더 나아가 인상 가능성까지 언급한 것이다.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폐혜는 자명하다. 건실한 경제 성장에는 독약이다. 각국 중앙은행의 최대 임무가 인플레이션 관리인 것도 이런 이유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물가가 급등하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인플레와의 전쟁’을 선언하며 급격히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다. 그 덕에 미국경제가 불경기 진입의 위기를 넘겼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준의 행보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신중하다. 시장의 선제적 조치 요구에 꿈쩍도 하지 않는다. 경제 주체들이 겪고 있는 고금리 압박은 ‘어쩔 수 없는 일’로 여기는 듯하다. 그런데 인플레이션보다 더 나쁜 게 디플레이션이다. 연준이 금리 인하 시기를 놓치지 않기만 바랄 뿐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당분간 더 인플레·고금리와 함께 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변화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가 먼저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허리띠를 졸라매고 씀씀이를 줄이는 모습이다. 이번에 공개된 FOMC 회의록에도 저소득층은 물론 중산층의 소비 패턴도 달라지고 있다는 내용이 언급됐다.  
 
이렇게 달라진 소비 패턴은 소매업계에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업소는 찾지 않고, 비싼 제품은 대체재를 찾고 있기 때문이다. 소매 업계에 가격을 내리라는 무언의 압박을 가하는 셈이다. 최근 대형 소매업체인 타겟이 식료품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내린 것도, 맥도날드가 5달러 콤보 메뉴를 내놓겠다고 발표한 것은 이런 변화를 감지한 선제적 조치라고 볼 수 있다. 최근 5년간 식료품 가격이 33%나 오르고, 프랜차이즈 식당 음식 가격은 29%가 인상됐다는 것을 고려하면 일정 폭의 가격 인하는 업체에도 큰 부담이 되지 않을 것이다.  ‘보이지 않는 손’이 기능을 하기 시작한  셈이다.   

김동필 / 논설실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