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디아스포라 시선] 미주 한인의 ‘이중성’ 존중 받으려면

전후석 다큐멘터리 감독

전후석 다큐멘터리 감독

올해 재외동포청이 출범하면서 재외동포들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와 담론의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필자도 최근 재외동포 관련 학술대회에 참석해 미국에서 살아가는 재미 한인 창작자로서 한국과 어떤 관계를 갖고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고민과 소감을 나눴다. 그러나 행사가 종료된 후 모든 참석자가 유창한 한국어로 토론했던 사실을 상기하는 것을 보며 이런 생각이 들었다. ‘미국의 내 또래 한인들도 과연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할까?’
 
답을 찾기에 앞서 우선 필자와 비슷한 연령대의 재미 한인에 대한 일반적 정의가 필요할 것 같다. 이들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한국에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내고 미국에 유학이나 이민을 와 정착한 이들이다. 또 한 그룹은 미국에서 태어난 2세, 3세 친구들이다. 편의상 전자를 ‘A그룹’, 후자를 ‘B그룹’이라고 하자.  
 
두 그룹 모두 재외동포에 속하지만 사유 방식엔 다소 차이가 있다. ‘A그룹’ 친구들은 모국과의 관계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지 않을 만큼 한국은 너무 익숙한 곳이다. 한국어가 가능하고 한국적 문화와 사고에도 익숙하다. 이들 중 일부는 본인을 재미 한인이 아닌 한국인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그들은 한국에 가더라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사회의 일원으로 적응하여 살아갈 수 있을 정도로 한국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갖고 있다.
 
반면, ‘B그룹’은 조금 다르다. 이들에게 한국 혹은 한반도란 부모 혹은 조부모가 떠나온 친근하면서도 낯선 곳이다. 모국은 본인 정체성의 뿌리지만 자신이 온전히 속하기는 힘든 곳이다. 특별한 정서적 연결점을 갖고 있지만 동시에 극복할 수 없는 거리감도 존재하는 곳이다.  
 
그들에게 한국과의 관계는 복합적이다. 그들은 불명확한 모국과의 관계에 집중하기보다는 본인이 거주하는 미국에서 미국인으로서 기능한다. 물론, ‘코리안 아메리칸’, ‘아시안 아메리칸’, 혹은 ‘소수계’나 ‘주류 미국인’ 등 각자 본인을 인식하는 방법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역사적으로 A그룹에 속한 재미 한인이 많았다면 앞으로는 B그룹의 재미 한인이 대다수가 될 것이다. 이는 한국의 출산율 하락과 미국으로의 이민 감소에 따른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최근 한국의 발전과 한류의 세계화로 젊은 한인들도 한국에 대한 관심이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디아스포라의 ‘현지화’는 불가피할 것이다. 120년 전 하와이로 이주해온 한인들의 후손이 그랬고, 쿠바에 있는 한인들, 멀리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과 조선족, 재일교포들이 현지화의 과정을 겪었다.  
 
그렇기에 재외동포청의 동포 관련 정책 방향은  A그룹 보다는 B그룹에 속한 이들과의 상호보완적 관계 설정에 주목하는 것이 더 미래지향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이미 현지화된  그들을 과도하게 ‘한국화’하려는 시도 보다는 그들의 특수한 이중적 혹은 중층적 정체성에 대한 인정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B그룹의 한인들에게도 과제가 있다. 이들은 모국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갖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다. 부모인 이민 1세들은 생존 문제에 매달리느라 이들에게 모국이라는 것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할 여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전쟁이 발발하면서 젊은 유대계 미국인들과 아랍계 미국인들 사이의 갈등 양상도 벌어지고 있다. 이처럼 디아스포라는 아무리 현지화가 되더라도 자신의 선조가 떠나온 곳과의 심리적 관계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한다. 그것이 때로는 자신을 괴롭힐 수도 있지만, 그 양가성과 이중성은 자신의 실존적, 지적, 문화적 세계관을 더욱 살찌우는 도구가 될 수도 있다.  
 
재미 한인들이 모국과의 관계성에 대해 진지한 사유를 할 수 있을 때, 그들의 디아스포라 적 정체성, 온전한 이중성은 더 존중받을 것이다.

전후석 / 다큐멘터리 감독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