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청소년에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KYCC 패밀리소스 센터 오픈
공과금 할인·세금 보고 상담
구직·창업 상담·과외도 무료

11일 열린 KYCC 패밀리소스 센터 오픈 기념식에서 관계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진행하고 있다. (왼쪽부터) KYCC 스티브 강 대외협력 디렉터, 웰스파고 로빈 최 디렉터, LA시 지역사회 투자부서(CIFD) 애비게일 마르케즈 총괄 매니저, 유니세스 헤르난데즈 1지구 시의원, 송정호 관장, 오드리 카실라스 지역 경제개발 서비스 조감독.
패밀리소스 센터는 LA시에 거주하고 있는 저소득 가정과 19세 미만 청소년들에 무료로 ▶보조 혜택등록 ▶세금보고 ▶공과금 할인프로그램 등록 ▶유아용품 지원 ▶자영업 및 창업 상담 ▶중고등학교 튜터링 ▶청소년 맞춤형 집중 상담 ▶예술 및 과학 교실 ▶대학 입시 준비 ▶구직 활동 및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센터 운영을 위해 LA시 산하 가족을 위한 지역사회 투자부서(CIFD) 등 관계 부처에서 150만 달러를 향후 5년간 지원한다. 시정부 외에 웰스파고 은행이 파트너십을 통해 센터를 돕는다.

KYCC 패밀리 소스 센터
송정호 KYCC 관장은 11일 기자회견에서 “16년 동안 KYCC가 꿈꿔오던 비전이 눈앞에 펼쳐졌다”며 “저소득 가정에 경제적 지원은 물론 교육·취업면에서도 자원을 제공하는 패밀리소스 센터를 열게 돼 영광이다. 한인타운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은 물론 지역사회에 거주민을 위해 다각적인 도움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현재 이 건물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60유닛 중 절반이 홈리스 생활을 경험했던 주민”이라며 “KYCC는 더 많은 한인타운 거주자들에 도움의 손길이 닿도록 지역사회의 경제·사회적 권한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니세스 헤르난데즈 시의원은 “LA시 주민들에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년간 싸우고 협상하고 밀어붙인 결과, 오늘 이 자리에 패밀리소스 센터가 생겨 뜻깊다”며 “센터의 특별한 점은 LA통합교육구(LAUSD) 직원이 상주해 자세하고 밀접한 학교 상담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센터의 여정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CIFD의 애비게일 마르케즈 총괄 매니저에 따르면 LA시 내 빈곤율은 LA카운티 내 두 번째로 큰 도시인 롱비치시 주민 수보다 높다. 그는 “우리의 미션은 가난 대물림(generational poverty)을 끝내는 것”이라며 “패밀리소스센터를 통해 주민들이 최대한 많은 혜택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KYCC에서 약 6년간 도움을 받아온 한인타운 주민 정연도(52)씨는 “개척교회 목사로 아이가 5명이다 보니 경제적인 여유가 없다”며 “KYCC를 통해 무료 텍스 보고 등 항상 경제적인 도움을 많이 받았다. 패밀리소스 센터를 통해 아이들의 학업 및 교육 관련 도움도 많이 받을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된다”고 말했다.
센터는 신분 상관없이 연방빈곤선 기준 LA시 내 저소득 가정에 다양한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신분증, LA시 거주지 증명 및 소득 증명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센터는 한인타운 내 KYCC 먼로 패밀리 하우징(1230 S. Menlo Ave. Suite 100, LA 90006)에 있다. 자세한 내용은 전화(213-365-7400)로 문의할 수 있다.
한편 KYCC는 한인 청소년 문제를 돕기 위해 1975년 비영리 단체로 시작됐지만, 현재는 한인사회를 넘어 인근 지역 커뮤니티를 아우르는 대표적인 단체로 성장했다.

KYCC 패밀리 소스 센터

KYCC 패밀리 소스 센터

KYCC 패밀리 소스 센터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