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5분, 뉴욕은 일주일…‘본인인증’ 삼만리
[기획] 인증 또 인증, 재외동포는 지친다(상)
한국 셀폰 없는 비대면 본인인증 ‘불가능’
‘공동인증서’ 받으려면 영사관 직접 가야
2020년 폐지된 공인인증서 불편함 그대로
#. 영주권자인 B씨는 인터넷으로 가족관계증명서를 발급받으려다 포기했다. 한국 대법원 홈페이지에 제시된 11개 인증 서비스 중 B씨가 쓸 수 있는 건 하나도 없었다. 모두 한국 셀폰 번호가 필요했다.
2020년 12월 공인인증서가 폐지된 지 3년 가까이 흘렀지만, 재외동포의 불편함은 여전하다. 한국 셀폰이 없다면 공공·금융·민간에서 비대면으로 발급하는 모든 본인 인증서가 ‘그림의 떡’이다.
한국 번호가 없는 재외동포가 인증서를 받으려면 영사관에 직접 방문하거나 순회영사 기간 등을 노리는 수밖에 없다. 문제는 모두 평일 오후 일찍 종료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기자가 직접 공동인증서를 발급해봤다. 주뉴욕 대한민국 총영사관의 경우 평일 오전 9시~오후 3시 안에 방문해야 한다. 평범한 직장인이라면 휴가를 낼 수밖에 없다.
반드시 온라인 예약을 거쳐야 하는 점도 부담이었다. 공동인증서 발급 업무는 워크인이 불가한데, 접수일인 10월 20일 기준 가장 빠른 예약은 일주일 뒤인 26일이었다.
신청서와 개인정보 동의서 등을 출력·작성한 뒤 여권을 챙겨 영사관에 갔다. 서류는 금방 처리됐지만, 이걸로 끝이 아니었다. 이메일로 전송된 공동인증서 다운로드 주소에 접속하고 직접 컴퓨터에 설치해야 했다.
거동이 불편하거나 디지털에 친숙하지 않다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과정이다.
한국 번호가 있다면 어땠을까. 애초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을 필요가 없다. 네이버, 카카오 등의 아이디와 전화번호로 인증이 가능하다. 시중은행 계좌가 있다면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넉넉잡아 5분이면 된다.
수많은 재외동포가 소외감을 느끼는 지점이다. 이에 외국 이주 선배들은 이주를 앞둔 이들에게 “한국 번호를 없애지 말라”고 씁쓸히 조언한다.
뉴욕 이주 10년 차인 영주권자 C씨는 “한국엔 해외 체류자용 셀폰 요금제가 넘쳐난다”며 “한국 번호가 외국에서도 꼭 필요하다는 걸 모두 알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어 “간단한 서류 하나 발급 못 해 발만 동동 구르는 사람이 주변에 널렸는데 인증문제는 수년째 답보 중”이라며 “이마저도 미국 시민권자라 인증서 발급이 안 돼 매번 영사관까지 가는 어르신들을 보면 안타깝다”고 털어놨다.
이하은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