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마켓 나우] 생성형 AI, 폐쇄형이냐 개방형이냐

세계 최대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WS)가 9월 25일 ‘대형 언어 모델(LLM)’을 만드는 스타트업 앤스로픽(Anthropic)에 최대 4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는 올해 초 마이크로소프트(MS)의 100억 달러 추가 투자 덕분에 기업 가치 300억 달러를 인정받았다.
 
2019년 MS가 오픈AI에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투자하며 파트너십을 맺을 때, 필자를 포함해 현장의 연구원들 누구도 이런 미래를 상상하지 못했다. 글로벌 경제와 IT산업이 얼어붙었지만, 생성형 AI 시장만은 전례 없는 폭발적 성장세를 누리고 있다. 최근 두드러진 대결 구도를 살펴보자.
 
최신 LLM 기술을 선도하는 오픈AI는 챗GPT서비스를 기점으로 기존의 기술 공개 전략을 버리고 올해 폐쇄형 GPT-4를 선보였다. 이 회사는 최근 챗GPT 엔터프라이즈(기업용 챗봇) 같은 자체 모델을 직접 제공하는 대신 기업 데이터에 맞춰 서비스를 미세 조정해주는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다.
 
지금까지 자체 기술을 공개하던 구글도 자사의 검색 서비스 바드(Bard)에 들어간 팜2(PaLM2)는 폐쇄형으로 출시했다. 폐쇄형 서비스는 초대형 AI 모델을 직접 운영하기 위한 컴퓨팅 자원을 마련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차세대 AI 기술을 둘러싼 이같은 주도권 경쟁은 광범위한 산업군에 영향을 미칠 패권 다툼의 시작이라고 업계는 보고 있다. 물론 그 이유는 막대한 경제 효과 때문일 것이다.
 


반대로 페이스북으로 유명한 메타는 개방형 LLM인 ‘라마’ 시리즈를 선보이며 학계와 업계의 호응을 얻고 있다. 라마를 연구 목적으로 사용하는 이들에게 소스 코드를 모두 제공해 세부 기술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고, 용도에 맞게 맞춤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메타버스 프로젝트가 주춤하고 있는 메타는 강력한 LLM 기술력을 공개함으로써 분위기 반전을 꾀하고 있다.
 
아부다비의 첨단기술 연구소 TII도 파라미터 1800억 개 규모의 새로운 LLM 팰컨(Falcon) 모델을 공개하며 오픈소스와 오픈 액세스를 강조하고 있다. 개방형 전략을 통해 학계와 함께 기술 발전을 가속하고, 폐쇄형 기술을 채택하기 어려운 산업군의 기술 생태계를 선점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생성형 AI를 개발 중인 기업들은 높은 경쟁력을 가진 기술 연구와 마켓 전략에 막대한 투자와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 한국의 AI 기술이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자생 기술의 연구와 산업 생태계 개발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이문태 / LG AI연구원 어드밴스트 ML 랩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