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에] 시방 그곳이 바로 꽃밭이니라
시인 구상은 사람이 사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가진 ‘자리’ 앞에 ‘꽃’을 붙여 누구나 바라는 평안한 삶의 자리라는 뜻의 ‘꽃자리’라는 말을 만들고는 같은 제목의 시를 썼다.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 앉은 자리가 꽃자리이니라 / 네가 시방 가시방석처럼 여기는 / 너의 앉은 그 자리가 / 바로 꽃자리니라’.
‘꽃’이 앞에 붙는 말이 좋고, 아름답고, 순탄한 형편을 말한다면, ‘가시’라는 말은 어렵고, 힘들고, 험한 처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그런데, 지금 ‘가시방석’처럼 여기는 그 자리야말로 향긋한 꽃내음이 복욱한 ‘꽃자리’라고 시인은 단언했다.
‘가시방석’이 ‘꽃자리’가 될 수 있다는 시인의 상상력을 거울삼아 우리의 삶을 비추자, 이런저런 일로 험하디험한 인생의 ‘가시밭길’도 ‘꽃길’이 되리라는 희망이 생겼다. 내친김에 ‘꽃자리’라는 시의 2절을 만들었다.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 가는 길이 꽃길이니라 / 네가 시방 가시밭길처럼 여기는 / 네가 가는 그 길이 / 바로 꽃길이니라’.
사람은 누구나 ‘꽃길’만 걷길 원하고, 삶의 자리는 항상 ‘꽃자리’가 되길 기대한다. 미국에 오면 ‘꽃길’만 걸어 ‘꽃자리’에 이를 줄 알았다. 그런데 이민자의 삶은 ‘꽃길’보다는 ‘가시밭길’일 때가 더 많았고, ‘꽃자리’보다는 ‘가시방석’에 앉을 때가 더 잦았다.
구상 시인의 ‘꽃자리’라는 시에서 시작된 ‘가시방석’이 ‘꽃자리’가 된다는 문학적 상상이 나래를 펴 ‘가시밭길’이 ‘꽃길’이 될 때쯤, 이번에는 ‘가시덤불’이 떠올랐다. ‘가시덤불’은 가시나무의 넝쿨이 어수선하게 엉클어진 수풀로, 일이나 삶에 어려움을 주는 역경을 비유해서 쓰는 말이다.
가시밭길을 걷는 사람과 가시방석에 앉은 이들이 뭉쳐 신세 한탄을 하면 그 자리는 순식간에 가시덤불로 바뀐다. 그뿐이랴 세상에서 받은 상처가 독설과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라는 가시로 돋아 가시덤불을 만든다.
‘가시방석’이 ‘꽃자리’가 된다는 구상 시인의 시에 덧붙여 ‘가시밭길’이 ‘꽃길’이 된다는 ‘꽃자리’ 2절을 외람되게 쓴 김에 이번에는 ‘가시덤불’을 주제로 ‘꽃자리’의 3절마저 써 보았다.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 서 있는 곳이 꽃밭이니라 / 네가 시방 가시덤불처럼 여기는 / 네가 서 있는 그곳이 / 바로 꽃밭이니라’.
가시방석처럼 거칠고 낯선 땅을 꽃자리로 여기며, 이민자의 삶이라는 쉽지 않은 가시밭길을 꽃길인 양 달려왔다. 그렇게 괜찮은 척하던 마음이 속으로는 엉겨 붙었고, 겉으로는 얽히고설켜 가시덤불이 되었다. 그렇다고 인생을 홀로 살 수도 없는 노릇이다. 여전히 가시덤불 같은 세상이지만 서로의 꽃내음을 맡으며 살 때 ‘시방 그곳이 바로 꽃밭’이 될 것이다. 한 번 사는 인생인데 꽃밭 하나 정도는 만들어 놓고 가야 하지 않겠는가?
이창민 / 목사·LA연합감리교회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