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 편지] 신화를 정말 믿었을까
그리스인은 계절의 변화를 신화로 설명한다. 그 유명한 페르세포네의 이야기다. 들판에서 꽃을 모으던 페르세포네는 하데스에게 납치돼 저승의 여왕이 됐지만, 이승의 어머니 데메테르에게는 딸이 죽은 것이나 다름없었다. 곡식의 여신인 데메테르가 딸을 찾아 헤매는 동안 지상의 곡물이 시들어갔다.데메테르는 제우스신에게 딸을 되돌려 달라고 애원했지만 이미 페르세포네가 ‘저승의 음식’인 석류알 6개를 먹었기에 1년 중 6개월은 저승에 거주할 수밖에 없었다. 나머지 6개월은 페르세포네가 친정에 돌아와 살게 되었고, 딸과 재회하는 데메테르의 행복은 지상의 식물을 다시 자라게 했다.
이렇듯 자연현상을 우화적 인과관계로 설명하는 방식이 고대 그리스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전래동화도 7월 칠석날 견우(Altair)와 직녀(Vega)가 까치다리(은하수)를 건너 1년 만에 한 번씩 만나는 기쁨의 눈물로 보슬비를 설명한다. 어린 시절 해마다 칠석이 돌아오면 한결같이 보슬비가 내리는 것을 보고 신기해한 기억이 난다. 그렇다고 이를 진심으로 믿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그리스 신화는 그들의 종교에 직결되어 성격이 좀 다르다. 그들이 신화 이야기를 정말로 믿었을까 궁금하다. 농사를 지으면서 데메테르에게 정기적으로 제물을 바치는 것은 물론, 미혼의 딸이 요절했을 경우 페르세포네에게 바치는 석류를 든 모습으로 장례 석상을 만든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를 비롯한 많은 철학자는 신화를 대할 때 의외로 현실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프랑스의 역사학자 폴 베이(1930∼2022)는 신앙에 대해 재미있는 관찰을 했다. 무언가를 믿고 동시에 안 믿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독실한 기독교인이 성경을 받들면서 다윈의 진화론과 현대 우주론을 연구하는 과학자일 수도 있듯이.
김승중 /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