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글로벌 아이] 중앙사회공작부는 왜 부활했나

지난 16일 중국 SNS에 항일전쟁을 다룬 역사 드라마 한 장면이 올라왔다. 중국 당국이 ‘당과 국가 기구 개혁방안’을 발표한 뒤였다. “서창(西廠)” “커눙 동지” “민원 부처로 특공(特工) 신분을 숨기려는 건 아닌가” 등의 댓글이 달렸다.
 
이번 당정 기구 개혁을 앞두고 홍콩 언론은 공안과 정보를 총괄하는 ‘중앙내무위원회’의 등장을 예고했다. 막상 뚜껑을 열자 민원[信訪]을 지도할 ‘중앙사회공작부’를 만드는 데 그쳤다. 그러자 외신은 금융위와 과학기술위에 초점을 맞췄다.
 
중국인들은 중앙사회공작부에서 리커눙(李克農·1899~1962)의 그림자를 봤다. 그는 70년 전 판문점 한국전쟁 휴전협상을 막후에서 지휘했다. 앞서 마오쩌둥(毛澤東)은 아들 마오안잉(毛岸英)의 후계 교육을 그에게 맡겼다. 마오의 심복이자 ‘스파이의 왕’으로 불린 그가 1939년 옌안(延安)에서 중앙사회부 신설을 주도했다.
 
당시 중일전쟁이 한창이었다. 국민당과 공산당의 첩보전이 치열했다. 국민당이 먼저 반당(反黨) 활동 처벌법을 만들어 공산당의 스파이 방어에 나섰다. 옌안의 공산당은 중앙사회부를 만들어 대응했다. “최근 일본 침략자·매국노·완고분자가 온갖 방법을 동원해 당 내부로 스파이를 침투시켜 파괴 음모를 진행하고 있다.… 중앙과 지방 당 위원회는 정치 감각과 능력이 뛰어난 간부로 각각 사회부를 조직하라”는 문건을 하달했다.
 


84년이 흘렀다. 중일전쟁을 미·중 충돌과 신냉전이 대체했다. 안으로 사회 갈등과 충돌이 빈번해지고 격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미 백지시위와 백발시위가 벌어졌다. 당은 ‘색깔 혁명’ 방지를 강조한다.
 
중앙사회공작부의 실제 임무는 사회의 여론 변화를 민첩하게 파악하고, 잠재적인 위험이 정권의 위기로 확대되는 것을 미연에 막는 데 있다.
 
중앙사회공작부는 중앙조직부·중앙선전부 등과 동급의 조직이다. 부국(副國), 즉 부총리급 권력기구란 의미다. 부장 인사는 공개되지 않았다. 적어도 중앙서기처 서기 이상이 맡을 가능성이 있다.
 
덩위원(鄧聿文) 시사평론가는 이번 개편을 “시진핑 주석의 위기감을 반영한다”며 “스스로 초래한 정권 안보의 곤경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시 주석은 권좌에 머무르는 동안 끊임없이 기구개혁을 시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시진핑 3기는 “시진핑파(派) 일색의 상무위원회와 ‘베스트 앤 브라이티스트’ 정치국”이 이끈다. 정책 집행력에 있어 ‘글로벌 서구’와 비교 불가한 효율을 갖췄다. 내부 감시통제를 전담할 기구도 부활했다.  
 
중국이 명실상부 ‘새로운 시대(新時代)’에 들어섰다.

신경진 / 베이징총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