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NYT, 한국 ‘학폭미투’ 조명…“경력 파탄, 자업자득으로 인식”

문화·체육·정계 등 광범위한 확산 주목
과도한 징벌 논란·‘누명사례’ 등도 소개
대중문화내 학폭 소재 비중 확대 거론
드라마 ‘더 글로리’ 인기몰이 언급도

3일 뉴욕타임스(NYT) 온라인판에 게재된 기사. 한국에서 번지는 유명인사의 학창 시절 폭력에 대한 폭로와 관련, 사례와 논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온라인 캡처]

3일 뉴욕타임스(NYT) 온라인판에 게재된 기사. 한국에서 번지는 유명인사의 학창 시절 폭력에 대한 폭로와 관련, 사례와 논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온라인 캡처]

한국에서 번지는 유명인사의 학창시절 폭력에 대한 폭로가 외신의 주목을 받았다.
 
뉴욕타임스(NYT)는 3일 ‘유명인사가 싫어하는 관심: 괴롭힘 고발’ 제하의 기사에서 폭로가 사회 각계에서 광범위하게 이뤄진다는 점을 주목했다.
 
NYT는 한국에서 괴롭힌 사실이 드러나면서 한순간에 소속 공동체에서 퇴출당하는 경우를 나열했다.
 
2021년에는 프로배구 선수 이재영, 이다영 자매가 중학교 시절 동료들에게 폭언과 협박을 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내 리그에서 퇴출당했다.
 


작년에는 하이브 신인 걸그룹 르세라핌의 멤버 김가람이 학폭 의혹 속에 계약 해지를 당했다.
 
공직자 자녀의 학교폭력이 정치권에 논란을 일으켰다는 점도 거론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자녀 학교폭력 문제가 드러난 정순신 변호사의 국가수사본부장 임명 결정을 하루만에 전격 취소했다.
 
NYT는 한국인들이 학교폭력 폭로 가해자에 대한 지탄 내지 ‘사회적 매장’을 응당한 ‘자업자득’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해자 끌어내리기가 대중적 지지를 얻고 있다는 취지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전했다.
 
앨라배마대에서 범죄학을 연구하는 김지훈씨는 NYT에 “많은 한국인은 학교 폭력이 피해자의 삶을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파괴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학교 폭력 가해자들의 커리어를 망가뜨린다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자업자득이라고 여기기 때문”고 덧붙였다.
 
NYT는 지난 20년 동안 학교 폭력 및 괴롭히기에 대한 국민적 지탄이 한국 대중 문화에서도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며 학교폭력 문제를 주제로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의 최근 인기몰이를 언급하기도 했다.
 
NYT는 학교폭력 폭로가 온라인에서 익명으로 이뤄지는 까닭에 진위확인이 어렵고 과장되는 경우도 있다고 경계했다.
 
그러면서 개그맨 홍현희가 2년 전 학폭 의혹에 연루됐다가, 피해자라고 주장한 동창생이 자신의 기억이 잘못됐다고 번복하며 온라인상에 올린 게시글을 삭제하는 일이 있었다는 사례를 소개했다. NYT는 학창 시절에 저지른 잘못은 이유로 인생 전체를 재단하는 것은 지나치다는 주장도 소개했다.
 
그런 논란의 사례로 KBO리그에서 최고의 투수 중 하나로 꼽힌 안우진(23·키움 히어로즈)을 들었다.  
 
안우진은 휘문고 재학 시절 학교 폭력으로 징계를 받은 사실이 알려졌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KBSA)는 그의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출전을 금지하는 등 태극마크를 박탈했다.
 
안우진은 야구 국가대표에게 꿈의 무대 가운데 하나인 월드베이스볼틀래식 출전명단에도 올해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그러나 안우진의 변호사 백성문씨는 인터뷰에서 국제대회 출전금지가 안우진이 저지른 가해가 알려진 것보다 더 심각하다는 생각에 토대를 두고 있다고 부당성을 지적했다.

심종민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