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마음 문 여는 글쓰기와 말하기
소설은 이야기다. 이야기는 어떤 사물이나 사실, 현상에 대하여 일정한 줄거리를 가지고 하는 말이나 글로 자신이 경험한 일이나 마음 속 생각을 남에게 전달한다.
소설과 이야기가 다른 점은 소설은 작가가 있다는 점이다. 소설은 작가 자신의 인생을 구성적으로 서술한 창조적이면서 현실적인 이야기다. 창조적이란 ‘사실이 아닌 상상의 산물’이란 뜻이다.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의 지도를 읽을 수 있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었던가? 그리고 별빛이 그 길을 훤히 밝혀주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중략) 영혼 속에서 타오르고 있는 불꽃은 별들이 내뿜고 있는 빛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게오르크 루카치 ‘소설의 이론’ 서문 중에서
그럭저럭 매주 칼럼을 쓰게 된 지 19년이 됐다. 기쁠 때도, 슬프거나 아플 때도 칼럼을 썼다. 자전에세이 ‘여왕이 아니면 집시처럼’ 출간되고 신문사로부터 칼럼 제안을 받았다. 학점 받으려고 논문 몇 편 쓴 경력 밖에 없어 긴장했다.
평소 절친(?)이던 유명 작가에게 조언을 구했는데 일언지하 만류했다. 칼럼 쓴 경험 미숙, 긴 타국 생활로 언어 및 현실 감각 부족, 작가들도 매주 쓰는 것이 고역이라며 고작 몇 달 버티기도 힘들 거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태어날 때부터 펜 들고 나온 사람 있냐’는 비장한 각오로 시작했다. 나는 운동을 못해도 축구공 체질이다. 그냥 두면 때굴때굴 굴러가지만 발로 차면 멀리 간다.
시작도 못해 보고 퇴짜 맞을까 노심초사, 담당자에게 심사 받듯 원고 3편을 보냈다. ‘글은 괜찮은데 A4용지 한 장 기준으로 반으로 줄여서 보내주세요’라는 답신이 왔다. 초보자는 무엇을 덜어내고 어디서 멈출 지 모른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 백지 한 장에 삶의 맺히고 설킨 한을 매주 토설 하는 것은 내게는 죽음의 강을 건너는 환희다.
글쓰기는 행동이다. 생각을 늘어 놓는 건 글쓰기가 아니다. 글쓰기는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가슴이 맺힌 말들을 가장 쉽고 익숙한 말들로 적는 일이다. 주접 떨지 말고, 감정에 치우치지 말고, 가르치려 하지 말고, 내세우지 말고, 간결하고 침착하게 정곡을 찌르는 언어 선택이 중요하다. 글쓰기의 준비 운동은 마음을 비우는 일이다.
소설은 사건의 실마리가 되는 발단과 전개를 펼치며 반전의 위기를 거쳐 절정에 도달해 결말로 치닫는다. 갈등과 위기가 반복될수록 긴장감이 높아진다. 글쓰기는 서론은 짧게 풍부한 자료로 본론으로 치고 들어가야 문맥이 단단해진다.
말을 할 때 소설 쓰듯 길고 장황하게 자기 이야기를 늘어놓는 사람은 지루하다. 대화의 공통분모 찿고 서로 공감하며 가슴을 터는 언어 선택이 중요하다.
나이 들면 모든 것을 줄이는 게 상책이다. 부피와 무게를 줄이고 넓이와 폭은 넓히는 게 좋다. 타인은 내 과거지사에 관심 없다. 말을 할 때는 소설 쓰듯 길게 나열하지 말고, 재밌고 달달하게 대화를 주고 받아야 마음의 문이 열린다.
마음 밭을 넓게 가꾸면 영혼의 곡식이 여기저기 주렁주렁 열린다. (Q7 Editions 대표, 작가)
이기희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