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엘살바도르 젊은이들의 갈림길
얼마 전 일주일간의 선교 여행을 떠나기 전 빠짝 긴장했다. 엘살바도르는 한인타운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MS-13’이라는 낙서의 주인공인 MS-13 갱단의 본거지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나라의 실상은 걱정과는 조금 달랐다. 수도 산살바도르 도심에는 스타벅스, 맥도날드 등 유명 브랜드 업소들이 있었다. 하지만 차를 타고 조금만 외곽으로 나가자 벽돌집, 판잣집들이 줄을 이었다. 2시간 남짓 차로 들어간 산속 한 교회는 벽돌로 엉성히 지어져 마치 기초공사만 끝낸 듯한 모습이었다. 창틀이랄 것도 없이 벽에 난 큼지막한 구멍이 창문이었다. 물을 떠다변기물을내려야 하고불을 때는 아궁이도 있었다.
이런 곳 주변에 사람이 살까 했지만 한 자리, 한 자리 채워지더니 금세 200명이 넘는 아이들과 엄마들이 모였다. 그런데 어째서인가 엄마들만 있고 아빠들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현지 선교사의 말로는 대부분 아빠가 가정을 버리고 도망간 경우라 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생계 문제가 컸다.
엘살바도르의 경제 상황은 거의 붕괴 상태다. 오랜 내전으로 핵심 산업이던 커피 농업 등 산업 전반이 망가졌다. 그렇다 보니 미국 등 해외 거주 엘살바도르인들이 보내는 해외송금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2020년 기준 미국 거주 엘살바도르인들의 송금액이 6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엘살바도르 국내총생산(GDP)의 23%에 이른다. 현재 엘살바도르 국민 70%가 해외 송금을 수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갱단도 내전으로 경제가 무너지면서 생겨났다. 1980년대 우파 군사독재 정권과 반정부 좌파 세력 간의 내전이 시작되면서 거리엔 시신이 뒹굴었고 굶주린 사람들은 쓰레기통을 뒤졌다. 끝나지 않을 것 같던 내전은 유엔(UN)이 개입하면서 1992년 양측의 평화협정 체결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12년간의 내전은 7만5000명의 사망자를 냈고, 당시 인구의 20%에 달하는 100만여 명이 난민이 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갱단 범죄가 고개를 들었다. 내전 탓에 무기가 흔했던 탓에 무장 갱단원들이 도시를 휘젓고 다녔다.
안타깝게도 지금도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오히려 더 열악해졌다. 갱단 조직들이 연합해 정부에 맞서기 시작하면서 사실상 제2의 내전이 벌어지고 있다.
최근 미국 정부의 보수적 이민정책도 엘살바도르의 현실을 더 가혹하게 만들고 있다. 연방대법원은 지난해 12월 무단 입국한 이민자를 국경에서 즉시 추방하도록 한 ‘타이틀 42’정책을 당분간 유지하라고 판결했다. 최종 결정은 6월에 나올 전망인데 이때까지 국경에 온 이민자들은 즉시 추방된다. 이로 인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공약인 국경에서의 망명 신청 절차 복원도 당분간 어려워지게 됐다. 지난해 1년 동안 무려 240만 명이 밀입국을 시도했으며, 절반 이상이 멕시코, 과테말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등 중남미 출신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엘살바도르는 미국의 이라크전에 파병까지 했던 중미의 대표적 친미 국가다. 하지만 망가진 엘살바도르의 현 상황은 모른채 하는 모습이다.
엘살바도르 젊은이들에겐 갱단 가입이냐, 불법 이민이냐의 비참한 선택만이 남았다. 그렇게 아빠가 없어진 가정에서 아이들은 엄마의 손에 크고 있다. 미국은 엘살바도르의 기여를 잊어선 안 된다. 그들의비참한 현실에는 미국의 책임도 있기 때문이다.
장수아 / 사회부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