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몸값 사람값, 그림값

이기희

이기희

물에 물 탄 듯 술에 술 탄들 살면 분별하기 어렵다. 대충 살면 모든 것이 대충 끝난다. 모양이 같다고 속까지 같지 않다. ‘사람’이라고 모두 ‘인간 구실’ 하며 살지 않는다. 사람값을 하고 살아야 인간 대접을 받는다.  
 
인간에게는 목숨을 지탱하는 신체와 마음이 있다. 동물과 달리 인간은 반성하고 자각할 줄 아는 특성을 지닌다. 인간은 삶과 죽음을 고뇌하며 고독을 의식하는 능력이 있다. 인간은 생동하는 물질이며, 심신결합체이고, 독립적이며 사회적이고, 각자 다른 개성과 특성을 지닌 개별적 존재다.
 
예술의 기원은 놀이와 주술이다. 예술활동은 인간 내면의 생명에너지가 자기 존재를 드러내는 본능적 욕구에 의해 자발적으로 발생한다. 
 
이런 활동은 즐거움과 기쁨을 경험하는 유희본능을 유발시켜 모든 문화예술의 창조적 기능으로 발전한다. 인간은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인 자연의 공포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신체나 도구를 사용해 주술적인 염원을 표현한다.  
 


화랑을 경영하면서 구매자가 제일 많이 묻는 질문은 “이 작품 그리는데 얼마나 걸렸나요?”다. “며칠 만에 완성하기도 하고 수 년씩 걸리기도 합니다”라고 대답한다. 고객이 화가의 노동 시간과 작품 가격을 저울질 한다는 것을 안다.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1512, 벽화, 바디칸 시스티니 성당)는 고개를 뒤로 젖히고 누운 자세로 4년 만에 완성한 거대한 천장화다.  
 
‘동굴 속의 성모(1483-1486, 판넬에 유채, 루브르 미술관)’는 밀라노 법정에서 그림값 소송이 벌어진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베네치아 금화 100두카토를 원했지만 구매자가 25두카토만 주겠다고 해서 논쟁 끝에 50두카토로 판결 난다. 르네상스 시대 그림값은 재료비와 인건비의 합산으로 결정됐다. 당시에는 재료비의 비중이 상당히 높았다. 깊은 파란색을 내는 울트라마린(ultramarine) 안료는 금값보다 더 비쌌다. 당시 최고 기술자의 연봉이 대략 50두카토, 현재 가격으로 1억원 정도였으니 만만치 않은 가격이다. 이 작품이 미술시장에 나올 가능성은 없지만 거래된다면 역대 최고가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미술경매 시장에서 최고 거래 가격은 자코메티의 청동 조각상 ‘걷는 사람 1(L’Homme Qui Marche )’으로 소더비 경매에서 약 1197억원에 낙찰됐다. 예나 지금이나 평생 치열하게 작업해도 성공할 가능성이 크지 않은 직업군이 예술 분야다. 르누아르는 생활고를 겪고 비평가들의 조롱을 받았지만 “고통은 지나가지만 아름다움은 남는다”는 말을 남긴다.  
 
아파트는 평수로 따지고 몸값은 재물과 권세, 명예를 합산해서 매긴다. 몸값이 높다고 사람값이 올라가지 않는다. 사람값은 무게로 달지 않는다.
 
세상 돌아가는 것, 사람 사는 것 별 거 아니다. 그림을 사랑하는 것은 그 시대를 이해하고 그 속에 살아 숨쉬는 사람들의 역사와 흔적을 찿아나서는 길이다. 보이는 대로 바라보고, 느끼는 대로 가슴에 새기고, 숨을 쉴 수 없을 정도로 사는 게 힘들면 알타미라 동굴 속 들소를 보라. 1만년 동안 동굴 속에 갇혀있어도 생동하는 모습으로 남아 있지 않는가.  
 
사람값은 스스로 매긴다. 인생이란 일기장에 그 값을 지불한다. 세상 누구도 ‘값을 매길 수 없는(Priceless)’ 나의 모습을 생의 화폭에 담는다. (Q7 Editions 대표, 작가)
 

이기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