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회복할 기회가 없는 재정보조의 손실 [ASK미국 교육/재정-리차드 명 재정보조 전문가]

살다 보면 아이러니컬한 삶의 측면이 많다. 그중의 하나가 자녀를 대학에 진학하면서 발생하는 실질적인 비용이다. 어쩌면 집을 장만하는 일보다 더욱 큰 재정 부담이라 할 수 있다. 살아가면서 수입과 자산 손실이 가정에 간혹 발생하지만 이는 다시 회복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가 많다. 그러나, 자녀가 대학 진학에 소요되는 총비용은 자녀의 미래를 준비해 가는 과정에서 반드시 필수적이며 대학의 총경비에 대한 실질적인 Net 비용에 대해 준비를 얼마나 사전에 잘할 수 있을지에 따라 자녀의 미래는 달라진다. 이러한 준비의 마비 상황으로 발생하는 기회비용이야말로 다시는 회복할 수 없는 손실이기 때문이다. 마치, 인생에 U턴이 없는 이치와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재정보조 신청을 하게 되는 시즌에 학부모들은 재정보조 문제의 심각성과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다. 자녀의 대학입시를 맞아 입학원서 제출에도 정신이 없는데 재정보조 신청서 내용에 치중하기보다는 재정보조 신청서를 어떻게 마감 일자에 맞춰 제출할 것인지가 더욱 중요한 관심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확실히 유념할 사항이라면 재정보조 신청서는 신청서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제출 정보가 재정보조 계산에 반영되어 가정 분담금(EFC) 계산에 적용되고 이로 인해서 대학에서 해당 연도의 대학의 재정보조 평균치로 재정보조 지원이 된다는 사실이다.
 

학부모들은 아직 대학의 합격 발표가 나오기에는 시간이 멀었고 지금은 신청서 제출에 초점을 맞추고 나중에 지원받는 내역을 검토하겠다는 식의 발상으로 그 사고방식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문제이다. 이는 자녀가 지원한 대학들의 합격 발표 후에 재정보조금 내역서를 받으며 많은 고민에 빠지게 될 것이다. 자녀가 진학을 가장 원하는 대학에서 재정보조금이 매우 적게 나와 연간 수만 달러 이상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 있는 반면에 안정권으로 지원 수위를 낮춘 대학에서는 보다 많은 재정보조를 제의해 올 때에 과연 자녀들의 미래를 위한 판단이 매우 현실적인 재정 부담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는 상황도 있다는 점이다. 인생은 도박이 아니라 누가 말했지만, 이러한 재정 부담으로 인해 자녀의 미래를 도박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이는 학부모들의 잘못된 판단에 의한 결과이다.
 

사전에 조금만 더 신경을 써도 재정보조에 대한 사전설계와 준비를 잘할 수 있는데 그리고 입학원서를 낼 대학의 선택도 보다 전략적인 사전 검증을 통해 재정보조 지원을 잘하는 대학들만 선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준비는 합격한 대학들과 제의해 온 재정보조 내역서를 견주며 재정보조 Negotiation을 보다 효율적으로 잘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으므로, 자녀가 원하는 대학에 충분한 재정보조를 받으며 진학할 수 있을 확률은 보다 높아질 것이다. 자녀의 대학 진학 문제와 재정보조에서 발생하는 손실은 다시 회복하기 힘들다. 이유는 공부도 때가 있고 한번 방향을 정하면 돌이키기 힘들기 때문이다.
 

자녀들에게는 인생의 진로가 바뀔 수 있는 큰 결정이다. 그러므로 일 년에 어느 시점을 막론하고 학부모들의 고정관념과 신념 등을 내려놓고 보다 현실적으로 어떠한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또한, 자녀들의 프로필에 대한 검토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대학들은 대학 등록을 선호하는 지원자에게 재정보조 공식보다 우선순위로 추가적인 많은 장학금과 기금을 제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전설계와 준비는 금전적인 이익으로 환산하기 어려운 매우 값진 기회 이윤이라 할 수 있다. 실질적인 재정 부담은 모두 After Tax 달러로 대학에 지불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비용 부담을 하려면 더욱 많은 수익을 창출해야 하고 이는 도미도 현상과 같이 다음 연도의 수입 증가로 이어져 가정 분담금의 증가를 불러오게 된다. 재정보조 손실을 불러오는 현 수입과 자산 상황의 재검토는 기회비용을 줄일 수 있고 어느 시점이든 바로 준비를 시작해야 할 것이다.
 

▶문의: (301)213-3719 / [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