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쌀뜨물 세안
날씨가 제법 쌀쌀해졌다. 습한 여름에서 건조한 가을로 넘어오고 기온도 떨어지면서 피부가 거칠어졌다는 사람이 꽤 있다. 이런 이들에게 추천하는 한 가지 방법이 바로 쌀뜨물 세안법. 쌀을 첫 번째로 씻은 물은 버리고, 두 번째와 세 번째로 씻은 물을 받아 두었다가 그 물로 세안하면 피부가 촉촉해지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그런데 이런 얘기를 할 때 ‘쌀뜨물’이 아니라 ‘쌀뜬물’이라 하는 사람이 있다. 인터넷에도 ‘쌀뜬물 활용법’ ‘쌀뜬물의 다양한 효능’처럼 ‘쌀뜬물’이라 올라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쌀뜨물’ ‘쌀뜬물’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
우리말에서는 보통 ‘어린이(어리-+-ㄴ+이)’ ‘건넌방(건너-+-ㄴ+방)’ ‘눌은밥(눌-+-ㄴ/은+밥)’ 등에서와 같이 용언의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붙어 합성어가 만들어진다. 이런 유형에 익숙하다 보니 ‘쌀뜬물’도 바른 표현이 아닌가 생각하기 쉽다. 즉 ‘쌀을 뜨고 난 물’을 떠올리며 ‘쌀’과 ‘뜨다’, 그리고 ‘물’이 결합(쌀+뜨-+-ㄴ+물)해 ‘쌀뜬물’이 된 것이라 여기기 십상이다.
그러나 ‘쌀뜨물’은 ‘쌀’과 ‘뜨물’이 만나 이루어진 합성어다. 곡식을 씻어내 부옇게 된 물을 ‘뜨물’이라고 한다. ‘뜨물’은 “뜨물에 여물을 쑤어 소에게 먹였다” 등처럼 쓰인다.
‘뜨물’이란 단어를 별로 쓸 일이 없다 보니 대체로 이 단어의 뜻을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쌀’과 ‘뜨물’이 만나 ‘쌀뜨물’이 됐다는 것 역시 알기가 쉽지는 않다. 하지만 ‘쌀뜨물’이 바른말이므로 ‘쌀뜬물’로 적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