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살며 생각하며] 그들의 목소리 귀 담아 들을 필요있다

지난 월요일은 미국의 독립기념일 (Fourth of July. Independence Day)로 Memorial Day와 함께 미국이 가장 귀하게 지키는 연방공휴일이다. 이날 아무 생각없이 아침 일찍 근처 Costco를 찾았던 나같은 사람은 비싼 개스비만 낭비했을 정도로 쇼핑몰은 썰렁했고 도로들은 모처럼 한산했다.
 
사실 미국이 ‘4th of July’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날과는 거리가 멀다.
 
파리에서 영국과 협상을 통해 독립을 공식승인받은 파리조약(Treaty of Paris) 체결일은 1783년 9월 3일이고 효력을 발휘한 날은 1784년 5월 12일이니 오히려 이날들이 독립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하겠다.
 
흔히 미국 독립하면 보스턴 차 사건 이후 북미 13개 식민주 중 조지아를 제외한 12개주 대표 56명이 1774년 9월 5일 필라델피아에서 모인 제1차 대륙회의(Continental Congress)를 거론한다. 그러나 57일간 이어진 1차 회의의 결론은 영국왕실에 강압법의 반대와 식민지의 권리를 어느정도 인정해달라는 읍소문을 전달하자는 정도라 독립전쟁이라 이름붙이기는 민망하다.
 


그후 1776년 7월 2일 조지아 포함 13개주 대표가 독립을 선언하는 ‘리 결의안’을 채택한 것이 그나마 실제적 시작이라 할 수 있다. 그후 조항 및 문구수정 작업을 거쳐 7월 4일 독립을 선포하지만 어떻게 보면 이날은 미합중국 독립선언문을 공포한 날에 불과하다.
 
그런 면에서 한국의 광복절도 마찬가지다. 1945년 8월 15일은 일본왕 히로히토가 미국이 투하한 두 발의 원자탄 세례를 받고 ‘앗 뜨거! 이게 무슨 날벼락?’ 하며 라디오방송을 통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한 날이지 한국이 광복한 날은 아니다. 그후 9월 2일, 일본 외무상이 미주리함에서 항복문서에 서명하고 이어 9월 9일 미군이 한국에 상륙, 일본의 지배권을 인도받지만 여전히 한국의 주권은 미군정이 갖게 된다.
 
그런 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건국되면서 명실상부한 진정한 광복이 그 땅 가운데 찾아온 것이다.
 
미국의 공휴일은 우리의 경우와 많이 다르다. 청교도의 화합과 협력 공생의 경우를 제외하면, 250년 역사 대부분이 치고, 점령하고 빼앗은 폭압이나 전쟁에 기반하여 생성된 날을 축하 기념하는 경우가 많다.  개척 초기 원주민을 수없이 학살해 땅을 차지했고 그것을 지키고 넓히고, 더 얻기 위해 끊임없이 영국, 프랑스, 스페인 및 멕시코 등과 싸웠다. 한때는 남·북군으로 나뉘어 싸워야했고 지금은 인종차별과 진영갈등이 극심한 속에 중국과 매일 싸우고 있다.  
 
그래서 나온 운동이 공휴일 개명운동이다. 이 운동은 폭력으로 얼룩진 아픈 과거사를 없앨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그것을 미화하거나 정당화함으로써 또다른 갈등을 조장하고 반대편의 아픈 상처에 소금까지 끼얹을 필요는 없지 않느냐는 데에 방점이 있다.
 
한 나라의 독립운동은 ‘필요악’ 같은 선하고 의로운 싸움이라 그 정신을 후손들에게 전하고 선조들의 나라사랑을 기림하자는 것으로 우리도 그렇게 하고 있다. 그러나 단일 민족국가인 우리와 ‘멜팅팟’ 국가인 미국은 다르다. 폭력이나 무력 전쟁을 연상시켜 ‘팟’을 금가게 하는 표현 대신 화합과 상생, 사랑같은 말로 바꿈으로 ‘팟’의 동요를 막고 함께 기뻐하자는 그들의 목소리에 경청하면 어떨까 싶다.

김도수 / 자유기고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