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돈 벌 기회" 타운에만 검사소 50여곳 난립

포커스 / 한인 코로나 검사원 임금 체불
불투명한 비용청구·허술한 고용관계 원인
관계자 "한인 검사원만 1000명 넘었을 것"

오미크론이 확산하는 기간에 코로나 검사소에서 일한 한인이 남가주에서 1000명을 넘었던 것으로 추산된다. LA 한인타운 내 검사소 모습. 김상진 기자

오미크론이 확산하는 기간에 코로나 검사소에서 일한 한인이 남가주에서 1000명을 넘었던 것으로 추산된다. LA 한인타운 내 검사소 모습. 김상진 기자

한인 코로나 검사원들의 임금 체불 사태는 팬데믹 사태의 이면을 담고 있다.
 
팬데믹을 이용한 마구잡이식 검사, 불투명한 비용 청구, 허술한 고용 관계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기 때문이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오미크론이 확산하는 시기에 한인타운 등에서 검사원으로 일한 한인들만 수백 명에 이른다.
 
지난 7일 본지에 입장을 밝힌 검사원 모집책 P씨는 “검사 업체가 몇 번 바뀌기는 했지만 그동안 한인타운에서 우리와 일한 검사원만 200여 명 정도 된다”며 “기존 감염 검사 업체부터 팬데믹 때문에 급조된 업체까지 수많은 회사가 생겨나고 사라졌다”고 말했다.
 


팬데믹 기간 남가주 지역에만 수십 개의 검사 업체가 운영됐다. 검사 기관 관계자들은 “오미크론 확산 때 너도나도 검사원으로 일하려고 했다. 각 업체에 소속된 한인들만 추려도 1000명은 족히 넘을 것”이라고 전했다.  
 
오미크론의 확산은 곧 돈으로 직결됐다. 지인을 통해 신원 확인 과정만 거치고 코로나 검사 방법만 교육 받으면 곧바로 검사원이 될 수 있었다.      
 
LA한인타운 웨스턴 애비뉴 등에서 M업체의 코로나 검사원으로 일했던 A씨는 “오미크론의 확산은 떼돈을 벌 수 있는 기회였다”며 “매니저가 간이 천막, 검사소 배너를 주면서 ‘사람 많은데 가서 무조건 많이 받아오라’고 하더라. 건당 15달러를 받기로 했는데 우리 입장에서는 검사를 받으러 오는 사람들이  다 ‘돈’이었다”고 말했다.
 
코로나 검사 업체와 검사원들은 다단계 회사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검체를 많이 채취할수록 검사 업체가 보험사나 정부에 청구할 수 있는 돈 역시 늘어난다. 쉽게 말하면 검사자가 많을수록 돈을 버는 구조다.  
 
검사원들에 따르면 먼저 코로나 검사 업체가 있다. 그 다음 ‘매니저’라 불리는 중간 브로커들이 검사 업체들과 계약을 맺는다. 이 매니저들은 지인 등을 총동원해 검사원을 모집한다.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확산할 때 길거리에서 흔하게 보이던 천막 검사소의 직원들이 바로 ‘검사원’들이다.
 
한 예로 A업체와 계약한 중간 브로커 B씨는 10여 명의 검사원을 보유하고 있다. 1명의 매니저(중간 브로커)와 10여 명의 검사원을 ‘라인’이라고 지칭한다.  
 
검사원 B씨는 “우리 같은 검사원은 사실 검사 업체에 대해서는 거의 모른다. 내가 속한 ‘라인’의 매니저가 임금, 장소 등을 정해주고 모든 것을 관리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오미크론이 확산할 때 검사소들은 모두 ‘무료’를 내세웠다. 검사원들은 “당시 한인타운에서만 50개 이상의 코로나 간이 검사소가 운영됐다”고 전했다.  
 
두 달간 검사원으로 일했던 C씨는 “오미크론이 확산할 때 검사를 받는 한인들이 ‘무료 검사’ 여부를 많이 묻던데 솔직히 세상에 공짜가 어디 있겠느냐”며 “검사 업체가 보험사나 정부에 다 청구한다. 건당 최소 수백 달러다. 우리 같은 검사원은 검사 업체, 매니저가 다 떼고 남은 몇십 불 받는 것”이라며 “정말 많은 사람이 검사를 했다. 그 비용을 다 청구하는 과정에서 눈먼 돈도 많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검사 비용 청구는 크게 보험사(검사자가 보험을 소유했을 경우)와 정부(무보험 검사자 등)를 상대로 진행된다.
 
검사원 모집책 P씨는 “청구를 하려면 검사 당시 적었던 개인 정보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데 그 양이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그걸 전담하는 데이터 입력 회사도 있다”며 “게다가 보험회사, 정부 등에 청구, 정산 등을 전담해주는 회사도 있다. 여기저기서 돈을 다 떼면 35달러 정도 남는다. 나는 거기서 검사원들에게 17달러 정도를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검사원은 “앞으로도 길거리 검사소는 없어질 것 같지 않다. 코로나가 존재하는 이상 누군가는 계속 돈을 벌기 때문”이라며 “잠깐 일하다 돈을 제때 받지 못해 그만둔 검사원도 많다. 전례 없는 사태였기 때문에 이런 폐해가 발생한 것”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지난해 8월 본지는 한인 코로나 테스트 업체의 검사 비용 허위 청구 논란을 보도한 바 있다. 〈본지 2021년 8월26일 A-1면〉 당시 한인이 운영하는 검사 업체는 날짜까지 허위로 작성한 뒤 보험사에 검사 비용을 3번(건당 약 1000달러)이나 허위로 청구해 논란이 됐었다. 이때 보험사가 검사 업체에 지급한 비용은 건당 약 398달러였다.

장열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