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아트 앤 테크놀로지] 재스퍼 존스와 테크놀로지

1930년대 태어난 재스퍼 존스는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동안 아흔 번째 생일을 맞이하였다. 뉴욕의 휘트니 미술관과 필라델피아 미술관에서 동시에 진행 중인 대규모 회고전은 사망 후 유작전이 될 수도 있었겠지만 행운은 언제나 존스와 함께하였다. 전시장에 걸린 생일 케이크에 촛불을 끄는 존스의 모습은 평안하고 여유로워 보였다. 게르하르트 리터가 1932년생이므로 이 둘은 거의 백 세를 바라보는 최고령 미술 작가가 되었다. 존스와 리터는 페인팅이라는 아주 전통적인 기법으로 종횡무진 창작의 에너지를 발산하였다.  
 
195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기나긴 창작의 여정을 살펴보면 재스퍼 존스의 작품은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전혀 연관이 없이 나름대로 고고한 시간을 견뎌온 것처럼 보인다. 애플 컴퓨터의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와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1955년생임을 생각해보면 당시 재스퍼 존스라는 젊은이는 재현이라는 창조 행위가, 그리고 회화 작업이 이토록 테크놀로지의 영향을 받으리라고는 짐작하지 못했을 것이다. 여든이 넘어서 아이패드로 화려한 색감의 정물화와 풍경화를 손가락으로 그리는 데이비드 호크니와 달리 재스퍼 존스의 회고전에는 디지털 시대 혹은 미디어 아트에 관한 언급이 거의 없다. 의도적인 침묵이라고 보일 만큼 50년대 시작한 왁스를 녹여 칠하는 밀랍 기반의 엔코스틱(encaustic) 기법을 중심으로 패널에 붓질하면서 그리고 또 그렸다.  
 
우리나라의 한국전쟁이 막 끝난 무렵 제작된 가장 대표작으로 꼽히는 플래그는 1954~1955년에 제작된 작품이다. 세  개의 나무 패널에 천을 씌우고 밀랍과 유화 물감을 섞어서 일부러 손으로 그린 티가 마구 묻어나는 엉성한 미국 국기라는 상징물을 그렸다. 당시 플래그 작품에 별은 48개였다. 하와이와 알래스카는 1959년에야 미국의 영토에 편입되어 연방정부의 주로 인정되었기 때문이다. 냉전 시대에 미국 국기는 어떤 이들에게 희망을 주었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타도의 대상이었다. 형태를 도무지 알아볼 수 없는 추상화가 유행하던 당시 미술계에서 아주 뻔한 시각상징물인 미국 국기와 미국 지도 등을 그리던 재스퍼 존스는 특이한 작가였다. 그의 친구 라우센버그의 영향으로 시각상징물과 일상생활의 오브젝트 등을 회화의 소재로 삼았지만 테크놀로지의 힘을 빌려 멀티미디어 작품을 제작하거나 설치미술을 시도하지 않았다. 1928년생 앤디 워홀이 영화, 비디오, 실크스크린 등의 상업적 매체를 자유자재로 쓰고 대중매체에 자신을 자주 등장시킨 것에 비하면 재스퍼 존스는 은둔적이며 보수적이었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미국 국기라든가 지도 같은 사실적인 상징물을 회화로 드로잉으로 또 프린트로 제작하고 또 제작하는 존스의 우직한 외길 인생은 놀랍게도 이미지가 넘쳐나는 디지털 공간에서 가장 많이 재현되고 전송되는 미술 작품이기도 하다.  
 


영국의 거리 미술가 뱅시의 작품 또한 회화일 따름이지만 소셜미디어에서 엄청난 양으로 재생산되어 유명 작가가 되었다. 2021년 11월 9일 예정된 크리스티의 경매에서 뱅시의 ‘주유소의 해바라기꽃(Sunflowers from Petrol Station)’은 1200만 달러 정도로 경매 시작 추정가격이 책정되었다. 어느 주유소 가게에서 산 해바라기 꽃이 시든 모습으로 화병에 담긴 장면을 반고흐의 스타일로 그린 뱅시의 작품은 재스퍼 존스가 20세기 중엽에 시작한 사실적인 상징물이 회화로 재현되는 아이러니를 반복해서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은 재스퍼 존스 작품을 직접 본 적은 없다. 포스터를 보았거나 스크린에서 보았을 뿐인데 상징물이 갖는 명백한 기호적 가치 때문에 분명히 알고 있다고 눈으로 보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로고를 달고 그들의 디자인으로 각인된 소식, 뉴스, 보도자료가 디지털 공간에서 무수히 생산되고 재생산되고 퍼져나가는 것과 재스퍼 존스의 시각상징기호의 회화적 재현품이 스크린으로 감상 되는 것이 별개의 현상은 아닌 것이다. 뱅시의 작품을 실제로 본 사람들보다는 보도자료에서 ‘소식’으로 들은 이들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재스퍼 존스의 유명세 또한 인터넷의 전파와 더불어 무한확장 중이다.

변경희 / 뉴욕주립대 교수·미술사 전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