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 5]새해 워싱턴지역 일자리 전망 “봄부터 급증”
연방정부 일자리 증가 예상
2차 PPP로 민간고용도 회복
여행, 교육분야도 회복 기대
연방노동부 노동통계국(BLS)과 버지니아와 메릴랜드, DC 노동당국 보고서를 종합하면, 지난 3월 총고용인원은 전년동월 대비 1.0% 증가하고 일부 워싱턴 지역은 2% 안팎의 사상 최저수준의 실업률을 구가하고 있었다. 하지만 4월부터 총고용인원이 전년동월 대비 -8.9%, 5월 -9.4%로 급락했다.
6월부터 -7.7%, 7월 -7.2%, 8월 -6.1%, 9월 -5.3%, 10월 -5.1% 등으로 간격을 좁혀나가고 있다. 침체가 가장 심했던 5월 대비 10월 실적은 45%나 개선되는 등 그 증가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특히 워싱턴지역은 불황에도 연방정부 등 정부부문 고용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고용탄력이 빠르다. 10월 총고용인원을 정부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눌 경우 정부부문은 전년동월 대비 -1.0%에서 -2.0% 수준이지만, 민간부문은 -6.0%를 기록했다. 정부는 올해 초부터 연방정부 고용인원을 대폭 늘려 부진한 민간부문 고용을 대체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어떤 행정부가 들어서든 고용증가를 위해 정부부문 고용을 확대할 수밖에 없는데, 연방정부 기관이 밀집한 워싱턴지역이 가장 큰 혜택을 입을 수밖에 없다. 현재 민간부문 고용 상황을 조금만 들여다보면 코로나 사태 진정과 함께 고용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현재 민간부문 고용은 전년동월대비 17만3000개가 부족한데, 이중 레저 및 요양업 분야의 고용감소인원이 7만7800개로 40% 이상을 차지한다. 10월 총고용인원이 전년동월대비 -6.0%인데 레저 및 요양업은 -23.2%에 이른다.
백신접종이 본격화되고 정부지원이 집중되면 여행수요가 급격하게 살아나 관련업종 고용이 폭증하고 빠른 고용증가세를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사태로 억눌렸던 여행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 부문이 오히려 고용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교통 및 유틸리티 부문도 감소율이 -15.4%(1만1600명 감소)로 부진한 상황이지만, 빠른 회복이 기대된다. 교육 및 건강분야도 7.5%가 감소(3만3800명)해 평균감소율을 상회하고 있으나 K-12 공립학교 대면수업이 증가하고 대학등록률이 정상화되면서 빠른 회복세가 기대된다.
급여보호프로그램(PPP)에 대한 기대감도 고용증가에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워싱턴지역 기업에 집행된 PPP 자금은 모두 123억달러로, 2019년 워싱턴지역 민간 기업 총급여액의 6.6%에 달한다.
최근 통과된 경기부양법률에도 2840억달러 규모의 제2차 PPP 자금이 풀리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해고를 억제하고 새로운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새 행정부가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접종과 함께 최소 2조달러 규모의 새로운 경기부양법률을 통해 고용회복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것이라는 예상을 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극심한 불황 국면이었던 2009년 취임 이후 모두 20차례 이상 양적완화와 각종 경기부양조치를 단행한 바 있다. 새 행정부도 고용회복세가 가시화될 때까지 지속적인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김옥채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