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이스라엘 수도는 예루살렘" … 들끓는 중동
아랍단체들 '분노의 날' 선포
국제사회도 한목소리 비난
굳이 지금 강행 배경에 관심
수세 정국 돌파 전략 해석
예루살렘 문제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중동평화협상의 가장 예민한 부분으로 그 폭발적 후유증을 고려해 역대 행정부들도 쉽사리 결단을 내리지 못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을 공식화하면서 중동 정국은 유혈 충돌을 넘어 혼란의 소용돌이에 휩싸일 가능성이 커졌다.
당장 국무부는 이날 세계 각국에 있는 미국 공관에 발송한 전통문에서 오는 20일까지 정부 공직자들이 이스라엘과 요르단강 서안을 방문하지 못하도록 금지령을 내렸다.
이스라엘을 제외한 전세계가 한목소리로 예루살렘 수도 인정은 국제법과 유엔 결의에 위배된다며 비난을 쏟아내고 있음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굳이 예루살렘 수도 인정과 대사관 이전을 강행하자 그 배경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예루살렘 수도 인정은 공화당 주류인 기독교 복음주의 세력이 강력히 요구해온 것이다. 게다가 사위 재러드 쿠슈너가 유대인이고 장녀 이방카가 남편을 따라 유대교로 개종할 만큼 친유대 인사들이 트럼프 대통령 주위에 포진해있다. 가족이 친이스라엘 정서를 공유하고 있는 점이 작용했겠지만 일부에선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은 공약을 지키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부각시키면서 정권의 발목을 잡고 있는 러시아 스캔들에서 관심을 돌리기 위한 정치적 도발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예루살렘 문제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협상의 마지막 단계에서 합의돼야 한다는 것이 그동안 국제사회의 원칙이었고 역대 미국 행정부들도 이를 존중해왔다.
특히 중동평화협상이 답보상태에 있는 현 상황에서 이스라엘 지도층도 예루살렘 수도 인정과 같은 자극적 사안의 필요성을 절박하게 느끼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서둘러 이를 추진하면서 수세에 몰린 정국을 돌파하기 위한 정치적 전략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 나오고 있다.
중동과 아랍권은 물론 유럽 각국에서도 이날 비난과 규탄이 봇물을 이뤘다.
요르단 정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은 국제법과 유엔 헌장 위반에 해당한다고 규정했고 카타르의 셰이크 모하마드 빈압둘라흐만 알타니 외교장관은 "평화를 추구하는 모든 이들에게 내려진 사형선고"라고 비유했다. 이집트 외교부도 미국의 이스라엘 주재 대사관 이전 계획을 거부한다는 성명을 냈고 시아파 맹주인 이란은 아랍권 민중봉기가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이 유감스럽다"면서 "프랑스는 그 결정에 동의하지 않으며, 국제법과 유엔 안보리 결의에 역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팔레스타인 내 여러 아랍 단체들은 6~8일 사흘간을 '분노의 날'로 정하고 격렬한 저항을 예고했다.
'수도 예루살렘'은 중동의 뇌관
유대교는 물론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공동 성지인 예루살렘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과 함께 이스라엘이 서쪽을, 요르단이 동쪽을 통치하며 마치 베를린장벽처럼 동서로 분단됐다.
그러다 1967년 이스라엘이 전쟁을 통해 동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까지 점령하면서 예루살렘 전체를 자신들의 수도라고 천명했지만 국제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인정하는 것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적 공존을 추구하는 2국가 해법에 따라 팔레스타인 독립국이 들어설 경우 그 수도가 동예루살렘이 되어야 한다는 팔레스타인 측 요구와 정면으로 충돌하기 때문이다. 2국가 해법은 1967년 이전에 정해진 경계선을 기준으로 각각 국가를 건설해 분쟁을 없애자는 구상이다.
또한 예루살렘을 수도로 인정할 경우 정착촌을 비롯해 이스라엘 측이 그동안 국제사회 비난에도 불구하고 감행해온 모든 점령정책을 추인하는 결과가 된다.
동예루살렘 주민의 대다수는 팔레스타인인으로 이들은 이스라엘의 통치를 받고 있다.
신복례 기자 shin.bonglye@koreadaily.com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