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계란 품귀현상에 떡국에 지단도 못 올려”

#. 뉴저지주 홍 모 씨는 최근 황당한 경험을 했다. 매주 장을 보기 위해 향하는 트레이더조 마트에 계란 코너가 사라진 것. 홍 씨는 “계란 코너를 아예 없애고 그 자리에 우유를 채워놨더라”라며 “계란 품귀현상에 지난 설날 떡국에 지단도 못 올렸다”고 한탄했다.   #. 퀸즈의 김 모 씨도 최근 부모님과 함께 대형마트인 코스트코에 갔다가 계란을 구입하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김 씨는 “며칠 뒤에는 들어왔을까 싶어 재방문했지만 역시 빈손으로 돌아왔다”며 “계란이 비싸진 것도 문제지만 이제는 아예 구하기가 어려운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조류독감 확산의 여파로 ‘계란’이 ‘금란’이 됐다. 조류독감에 걸린 닭들이 대량으로 살처분되며 계란 공급이 크게 줄었고, 계란값이 폭등한 데 이어 ‘계란 품귀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A등급 대형 계란 12개 평균 가격은 4달러10센트로, 전년 대비 약 두 배로 오른 수치를 기록했다.     뉴욕의 경우 계란 가격이 전국 평균의 두 배에 가까운 상황이다. 농무부(USDA) 데이터에 따르면 3일 기준 뉴욕에서 팔리는 대형 계란 12개 평균 가격은 7달러67센트로, 전년 동기 3달러20센트의 두 배를 넘어섰다. 지난해 대비 약 140%가 오른 것이다. USDA는 “올해 계란 가격이 약 20% 더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퀸즈의 한 한인마트에서 판매되는 계란 가격은 가장 저렴한 상품이 한 팩(12개)에 6달러99센트였다. 대부분 8달러를 넘어섰고, 가장 비싼 상품은 한 팩에 10달러99센트였다. 계란 한 알에 거의 1달러인 셈이다.     계란 품귀현상에 구매제한제를 시행하는 마트도 있었다. 맨해튼 어퍼이스트사이드의 홀푸드마켓 계란 코너 앞에는 “계란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1인당 3팩으로 구입을 제한한다”는 안내 문구가 붙었다.     맨해튼 거주 김 모 씨는 “계란 구하기 어렵다는 뉴스를 본 후부터 미리 사둔 계란을 아껴먹고 있다”며 “라면에 계란을 넣을까 말까 고민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계란값 급등에 각종 한인 업계들도 진땀을 빼는 상황이다. 맨해튼과 퀸즈에서 한식당을 운영 중인 김재연 사장은 “계란이 들어가는 메뉴들이 대부분인데, 최근 몇 달 사이 계란 가격이 60~70% 정도 올라서 수익이 크게 줄었다”며 “음식 가격을 올리고 싶어도 손님이 떨어질까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플러싱의 한 베이커리는 “버티고 버티다가 2주 전에 결국 빵값을 올렸다”며 “계란이 특히 많이 들어가는 케이크는 2달러, 일반 빵은 1달러, 샌드위치는 1달러50센트 정도 올렸는데 손님 2명 중 1명은 가격에 대해 항의를 한다. 계란값이 떨어지면 다시 가격을 내리려고 따로 가격표를 붙이지 않고 안내문으로 대체하고 있는데, 지금으로서는 내려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맨해튼 미드타운에 위치한 한 델리에는 “계란이 들어가는 모든 샌드위치에는 50센트의 추가 요금이 부과된다”는 안내문이 붙기도 했다.  글·사진=윤지혜 기자품귀현상 계란 계란 품귀현상 계란값 급등 계란 코너

2025-02-04

렌트안정아파트 품귀현상에 ‘브로커 수수료’ 천정부지

매년 정해진 비율까지만 렌트를 올려야 하는 뉴욕시 렌트안정아파트 매물을 찾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가운데, 렌트안정아파트를 거래하는 대신 과도한 ‘브로커 피’(Broker Fees·부동산 중개 수수료)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퀸즈 플러싱 등 한인 밀집지역에서 렌트안정아파트를 광고한 뒤, 1만 달러 이상의 브로커 피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8일 지역매체 고다미스트(Gothamist)는 “뉴욕시에서 렌트가 크게 오른 가운데, 저렴한 렌트안정아파트를 찾기 어려워지면서 브로커들이 과도한 수수료를 요구하는 사례가 많아졌다”고 보도했다.   퀸즈에서 아파트를 찾던 크리스티안 가버트(27)는 부동산 정보업체 스트리트이지에서 최근 렌트안정아파트 1베드룸 리스팅을 발견했다. 1베드룸인데도 한 달 렌트가 1450달러밖에 하지 않는다는 정보에 가버트는 즉시 부동산 중개업체에 연락했으나, 이 브로커는 수수료 8000달러를 요구했다.   가버트는 같은 건물에서 또 다른 1베드룸 렌트를 찾았는데, 이 아파트의 월 렌트는 1100달러로 더 저렴했다. 그러나 브로커는 “렌트가 저렴한 만큼 브로커 피는 1만5000달러 수준”이라고 밝혔다. 수수료 인하를 요구하자, 월 렌트를 더 올려야 한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조금이라도 저렴한 렌트를 찾으려는 뉴요커들의 심리를 이용, 브로커 피는 천정부지로 오르는 셈이다.   문제는 뉴욕시에서 현재 브로커 피에 대한 표준이나 법적 상한선이 없다는 점이다. 브로커들은 연간 렌트 금액의 8~15%, 즉 월 3000달러 렌트 아파트의 경우 브로커 피는 5400달러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브로커 피가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에 시의회 등에서는 브로커 피 상한선을 만드는 방안을 여러 번 추진했다. 그러나 매번 중개업체, 집주인 옹호단체 등에 의해 무산됐다.     지난해에는 브로커를 고용한 집주인이 브로커 피를 부담하게 하는 조례안((Int1105)이 시의회에 발의되기도 했으나, 시의회에서 제대로 힘을 받지 못했다. 당시 이 조례안에 반대하는 이들은 “집주인들이 오히려 수수료 부담을 렌트에 전가하면서 결국은 렌트가 더 오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렌트안정아파트 브로커 렌트안정아파트 품귀현상 뉴욕시 렌트안정아파트 브로커 수수료

2024-02-08

인기 핫소스 ‘스리라차’ 당분간 구하기 어려울 듯

여름 동안 핫소스의 대명사인 ‘스리라차’ 대란이 예고된다.     상징적인 녹색 뚜껑과 병에 수탉 그림이 있는 스리라차 핫소스 제조업체인 후이퐁 식품이 생산 중단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후이퐁 식품은 “고추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악천후로 고추 부족에 직면했다”며 “8월까지 새로운 주문을 받지 않고 노동절 이전 주문은 가을에나 공급될 것”이라고 밝혔다.     팬데믹 시작 이후 스리라차 소스 공급 부족 현상이 있었지만 4월 멕시코에서 고추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가뭄으로 인해봄 고추 재배에 실패하면서 공급이 더욱 악화했다.     도나 렘 경영책임자는 “고추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조건으로 고추부족이 더 심각해졌다”며 “필수 재료 없이 스리라차 생산은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스리라차 생산 중단이 알려지면서 스리라차를 사용하는 LA 식당들은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스리라차와 칠리 갈릭, 삼발 올레 등 핫소스를 주로 사용하는 쌀국수 식당은 LA 한인타운에만 15곳이 넘는다.         포24 관계자는 “28온스 1박스에 30달러였지만 최근 60달러로 2배나 올랐다”며 “일주일에 겨우 1박스를 받는 상태다”라고 말했다.     현재 적은 양이 공급되고 있지만 후이퐁식품 스리라차 공급 업체가 많지 않고 재고도 바닥나면 식당과 마켓에 이어 집밥 식탁에서도 당분간 스리라차 소스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 식품 도매업체는 “스리라차 주문이 급증하고 있지만 28온스는 현재 재고가 없는 상태”라며 “17온스도 도매가격이 1박스에 40달러가 넘는다”고 말했다.   지난 2020년 7월에 이어 스리라차 소스 품귀현상이 다시 일어나면서 가격도 꾸준히 인상됐다.     스리라차 소스 28온스가 세일하면 1.99달러였지만 지금은 6.99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시온 마켓 관계자는 “유통업체에서 일주일에 1박스만 주고 있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수입하는 라이스페이퍼도 구하기 힘들고 가격이 인상됐다”고 말했다.       일부 마켓은 스리라차 소스가 이미 동났고 판매하는 마켓에서는 고객들의 사재기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갤러리아 마켓 관계자는 “필요한 고객들에게 동등한 구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1인당 2개로 구매 제한을 실시하고 있다”며 “재고가 한정되어 있어 언제 동날지 모른다”고 말했다.     후이퐁 식품은 베트남계 이민자인 데이비드 트랜이 1980년 LA 차이나타운에서 설립했다.   업체는 2017년까지 벤투라 카운티에서 생산된 고추를 사용했고 최근에는 멕시코에서만 고추를 공급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이퐁 식품이 생산하는 스리라차, 칠리 갈릭, 삼발 올렉 소스 등에 사용되는 고추는 연간 5만톤에 이른다.   이은영 기자핫소스 인기 소스 공급 고추 품질 소스 품귀현상

2022-06-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