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시오네]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이란 우리가 선조로부터 물려받아 오늘날 그 속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자산이다. 자연유산과 문화유산 모두 다른 어느 것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우리들의 삶과 영감의 원천이다. (중략) 세계유산이라는 특별한 개념이 나타난 것은 이 유산들이 특정 소재지와 상관없이 모든 인류에게 속하는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유산소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그동안 일본 정부에서 심혈을 기울이던 니가타현의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당분간 미뤄질 전망이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려면 유네스코에 추천서를 내고 자문기관의 심사를 거치게 되는데, 일본의 경우 추천서 일부가 미비한 것으로 판단되어 심사단계까지도 가지 못했다고 한다. 일단은 숨 고르기에 들어간 모양새지만 2024년을 목표로 다시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라서 우리의 국민적 관심과 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불현듯 몇 년 전 기억이 떠오른다. 논리와 주장까지 너무나 똑같아서 연상을 안 하는 것이 오히려 이상할 정도다. 2015년 우리에게 군함도로 익숙한 하시마섬이 유네스코 유산으로 등재될 때 일본은 하시마섬을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으로 한정, 1940년대 약 800여 명의 조선인 강제 징용의 현장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외면했다. 이번 사도광산 등재 추진 과정에서도 일본 에도시대(16~19세기) 전통적 방식으로 금을 채집한 산업유산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 일제강점기 약 1000여 명의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현장이라는 사실을 피해가려는 꼼수를 부렸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유네스코 측에서는 한·일의 역사적 문제를 일본이 세계유산위원회에 가지고 들어오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고 한다. 실제로 2015년 일본은 하시마섬의 유산등재가 확정되자마자 하루 만에 말을 바꿔 조선인 노역이 있었다는 사실이 강제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망언으로 외교적 마찰을 빚었다. 그뿐만 아니라 2020년 도쿄에 문을 연 정보센터를 통해 일본은 하시마섬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약속했던 조선인 강제징용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려는 시도를 보이며 유네스코 측으로부터 경고를 받기도 하였다. 사도광산과 하시마 탄광은 그들에게는 빛나는 산업혁명의 현장일지 모르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들에는 수많은 피해자가 속출한 전쟁 피해 현장이다. 그들이 이 사실을 외면하는 한 이 장소의 의미 또한 끝나지 않은 역사의 가해 현장일 뿐, 인류 보편적 가치에 준하는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는 그 어디에도 없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유산은 2021년을 기준으로 약 1154점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무형 문화유산이 498건(2020년 기준), 세계기록 유산이 432건(2017년 기준)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우리나라는 2020년부터 문화재청 공모를 통해 세계유산 축전을 개최하고 있는데, 이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국내 유산의 가치를 널리 홍보하려는 취지다. 올해에는 제주도와 경상북도, 수원 화성이 선정되었는데 세계유산으로서 자연과 문화를 융합한 복합 콘텐트를 개발해 유산축전 기간 동안 선보일 예정이다. 수원 화성은 역사적 기록에 담긴 ‘의궤’를 주제로 다양한 콘텐트를 준비할 예정이며 경상북도는 건축가 승효상이 설계를 맡은 주제관을 비롯한 안도 다다오의 기조강연으로 축전의 문을 연다. 제주도는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을 통한 글로벌 연대에 초점을 맞출 예정인데 세계자연유산인 만장굴 탐사에 성공한 김녕초등학교 학생들과 부종휴 선생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뮤지컬 ‘부종휴와 꼬마탐험대’가 만장굴에서 공연될 예정이다. 제주 유산 축전 관계자는 제주 어린이들의 도전정신이 만장굴을 발견한 것처럼 우리에게 꿈과 용기를 줄 수 있는 작품이 되길 희망한다고 전하며 실경공연으로서 관객의 직접 체험이 가능한 복합 콘텐트로서의 가능성을 선보이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유네스코 측의 설명처럼 세계유산이란 우리의 삶과 영감의 원천이 되는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우리가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자산을 뜻하기도 한다. 세계 각국은 유네스코 유산 등재를 통해 인류가 공동으로 지향해야 할 문화적·자연적 가치를 공고히 하며 그 보편적 가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는 8월 15일은 광복 77주년이 되는 해이다. 전범국가인 일본이 하시마섬과 사도광산을 통해 후대에 남겨야 할 유산은 산업혁명 유산이 아닌 역사 앞에 참회하고 반성하는 모습일 것이다. 강혜명 / 성악가·소프라노파시오네 일본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 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