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부조리와 반항

알베르 카뮈는 1957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백인이지만, 프랑스의 지배를 받던 알제리에서 태어났다. 사람들은 그를 말할 때 ‘부조리’를 떠올린다. 부조리는 원래 ‘이치에 맞지 않거나 도리에 어긋난다’는 말이다. 합리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카뮈의 부조리는 조금 다르다. 그의 부조리는 세계와 인간은 아무런 목적 없이 존재한다는 말이다. 우리의 삶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그럼 살 필요가 없는 것인가?   그를 유명하게 만든 소설 ‘이방인’은 1942년 작품이다. 그가 29세에 나온 작품이다.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일 때다. 이 책을 읽어보지 않은 사람도 한번은 들어 봤다는 첫구절은 이렇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모르겠다.”     소설은 1부와 2부로 나뉜다. 주인공 뫼르소는 어머니의 죽음을 무심하게 받아들인다. 눈물 한 방울 없이 어머니의 장례를 치른 다음날, 우연히 오랜만에 만난 여인과 데이트를 하고 영화를 본다. 그리고 그녀와 함께 잔다. 그는 건달에 포주였던 이웃남자와 친하게 지낸다. 이웃남자는 자신의 아랍인 여자친구가 외도를 한다는 이유로 엄청나게 폭행한다. 그리고 여자 친구의 오빠인 아랍인과 다툰다. 이때 우연히 싸움에 말려든 주인공 뫼르소는 아랍인 오빠를 총으로 죽인다. 여기까지가 1부다.   2부는 법정공방이다. 법정에서 뫼르소는 살인의 이유를 말한다. 보통 사람 같으면 “아랍인 오빠가 칼을 빼들었기 때문에 총을 쏜 것”이라고 말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강렬한 햇빛’ 때문에 아랍인을 죽였다고 말한다. ‘아랍인이 빼든 칼에 비친 태양빛’이라는 말도 하지 않는다. 그리고 법원이나 교도소에서 살려달라고 애원하지 않는다. 당시에 프랑스인이 아랍인을 죽이는 것은 큰일도 아니었다. 하지만 자신을 적극적으로 변호하지 않은 그는 사형을 받는다. 사형집행을 기다리는 동안 감옥에 신부가 찾아온다. 그는 신을 부정하며 신부를 내쫓는다. 그리고 한숨 잔다. 잠에서 깨어난 그는 평화를 얻는다. 자신의 삶이 의미가 없는 것처럼 세상도 의미가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세상과 자신의 동질감을 발견한 순간, 그는 더 이상 외롭지 않게 된다. 그리고 단두대에서 처형된다.     카뮈는 인생과 세상의 부조리를 이야기 한다. 계속되는 세계대전과 비이성적인 세상 속에서 당시의 젊은이가 부조리를 느끼는 것은 당연했다. 부조리를 느끼는 인간은 결국 “왜 사는가?”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 그에 대한 카뮈의 대답이 “반항하는 인간”이다. 카뮈 스스로가 가장 좋아했다는 1951년 작품, ‘반항하는 인간’에서 그는 부조리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이야기 한다.     어떤 사람은 인생에 회의를 느끼고 자살한다. 대부분은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와 그저 습관처럼 하루하루를 의미 없이 살아간다. 하지만, 부조리하고 의미 없는 세상에서도 운명에 도전하며 삶의 의미를 찾아내는 반응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것이 반항적인 반응이다. 누구에게 반항할 것인가? 그는 독재자와 이토록 무의미한 세상을 신이 만들었다면 신에게 반항하라고 이야기 하는 것 같다.     그렇다면 어떻게 반항할 것인가? 독재자에게 아니라고 말하고 행동해야 한다. 어린아이가 아무 이유 없이 죽어가는 세상을 만일 신이 만들었다면 신에게 반항해야 한다. 그리고 그런 신을 조롱하듯 평범한 일상을 즐기고 의미를 찾으란다. 그는 ‘반항하는 인간’에서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를 이렇게 바꾼다. ‘나는 반항한다, 고로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는 외롭다.’ (변호사, 공인회계사)         손헌수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부조리 반항 아랍인 여자친구 아랍인 오빠 알베르 카뮈

2023-10-12

[글마당] 뜻밖의 선물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살다 가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이따금 자신에게 한다.     답변을 찾기 위해 책을 읽는다. 한 귀로 듣고 다른 한 귀로 빠져나가는 내 머릿속에 책에서 읽은 지식이 남아있을 리 없다. 사람들과 이야기할 때마다 기억나지 않는 지식을 표현할 수 없어 불편하다. 굳이 말할 필요도 느끼지 않지만.     다행히도 요즈음은 색바랜 오래된 사진처럼 희미해져 가는 기억을 구글링하면 볼 수 있다. 그래도 많은 시간을 들여 책을 읽었는데 뭔가는 얻어야 하지 않을까?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골똘히 생각하다가 작가의 지혜를 내 생활에 오버랩시켜 응용하곤 한다. 그럴 때마다 꽤 삶이 재미있고 즐겁다.     책에 빠져 아이들을 제대로 돌보지 않으면 일생을 후회할 것 같아서 한동안 책과의 거리가 멀어졌었다. 아이들이 크고 난 후 책을 읽으려 했지만 무슨 책을 읽어야 할지 몰라 동네 도서실 북클럽을 기웃거리며 방황했다. 영어로 주절대는 노인들의 독후감을 듣는 것도 짜증이 날 즈음 한국말로 하는 북클럽에 들어갔다. 한국말은 버벅대던 영어로 마지못해 참석하며 축 늘어졌던 나를 짜릿짜릿 쑤셨댔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인지도’로 시작하는 카뮈 소설 ‘이방인’ 첫 문장이 나를 쳤다. 평생 아파서 병원을 들락거리던 엄마가 곧 죽을 것이라는 불안감은 사형수가 죽을 날을 받아 놓고 기다리듯 늘 가슴 한편에 웅크리고 나를 짓눌렸었다. 유학 시절 엄마의 죽음을 안 것은 돌아가신 지 두 달 후였다. 아픔을 기억하고 표현하기 두려워 파묻어 버리고 모른 채 방황했던 나는 이방인 책에서 굳이 엄마의 죽음을 변명하려 하지 않는 주인공 뫼르소에게 빠졌다.     카뮈의 단편 ‘손님’에서도 황량한 광야에서 점보다 작은 살인자와 그 살인자를 죽음 아니면 삶으로 인도해야 하는 주인공의 갈등은 하루도 안 되는 동안 일어난 일이다. 그러나 나에게는 그들 스스로 옳은 길을 찾으려는 고통의 시간이 왜 그리 몇 갑년이 지난 듯 길게 느껴졌는지?     북클럽 회원들과 머리 맞대고 책이나 적당히 읽어야지 했다. 하지만, 늪에 빠지듯 책에 빠져든다. 나 혼자라면 그 많은 책 중에 어떤 것을 읽어야 할지 몰라 헤맬 텐데, 북클럽을 이끄는 회장님은 강사를 초대해 읽을 책을 정리 정돈해서 밥상을 차려주는 식이다. 나는 수저를 들고 잘 먹고 건강하게 내일에 몰두하면 된다.     인생에서 만남은 매우 중요하다. 인간의 행복과 불행은 만남으로 결정된다.   북클럽의 회장님, 서로 주고받고 밀고 당기며 성장하는 회원님들 그리고 강사님들과의 만남은 기대하지 않았던 뜻밖의 선물이다. 나는 한 달에 한 번 북클럽에서 선물을 풀고 새로운 세상에 눈을 떠 삶에 응용한다. 그리고 또 다른 신세계를 볼 수 있는 다음 달 북클럽을 기다리며 마음을 설렌다. 이수임 / 화가·맨해튼글마당 뜻밖 선물 북클럽 회원들 오늘 엄마 카뮈 소설

2022-09-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