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 광장] ‘충정공’ 민영환을 생각한다
광복절 아침이다. 책을 편다. “모든 것은 변한다. 게으르지 말고 정진하라.” 부처 최후의 말씀을 읽는다. ‘모든 것은 변한다’는 명제는 만고의 진리다. 그런데 ‘정진하라’는 말씀 앞에서는 생각에 잠길 수밖에 없다. 이 아침, 부처님 말씀과 함께 충정공 민영환(1861-1905)의 삶을 되짚어 본다. 광복, 잃었던 나라를 되찾은 날이다. 언제 나라를 빼앗겼는가. 을사년인 1905년 11월 17일, 일본은 군대를 동원하여 대한제국을 압박하고 강제로 조약을 체결하여 외교권을 박탈했다. 을사늑약이다. 일본은 우리의 국권을 빼앗아 갔고, 어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오호, 통제로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전국에서 수많은 애국지사가 이에 항거하여 일어났다. 민영환이 자결했다. 조병세, 홍만식, 이상철, 김봉학 등 사대부들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민영환의 인력거꾼도 목숨을 끊어 일제 침략에 항거했다. 후일, 그가 자결한 방에서 대나무 네 줄기가 자라났다. 사람들은 포은 정몽주의 선죽(善竹)에 빗대어 이를 ‘혈죽’(血竹)‘이라 불렀다. 놀라운 것은 대나무 잎의 개수가 45개로 순국 당시 민영환의 나이와 일치했다. 이 소식이 대한매일신보를 통해 전해지자 이를 보려는 인파가 구름처럼 모여들고 사대부들은 죽음으로 항거한 민영환의 충절을 기렸다. 그런데 세월을 거슬러 그로부터 10년 전으로 올라가 보면 민영환은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역사 앞에 등장한다. 1895년 동학혁명 지도자 전봉준이 갑오농민운동을 일으켰다. ’관리들의 탐학‘을 거사 이유로 들었다. 그는 민영준· 민영환· 고영근을 ’탐관오리 3인방‘으로 꼽았다. 충정공의 이름이 들어있다. 매천 황현(1855~1910)선생은 “민씨 일파는 한결같이 탐욕스러워…중앙 관리는 물론 지방의 수령까지 차지했다”고 ’매천야록‘에서 민씨의 권력 독점과 탐학을 비판했다. 이상하지 않는가. 전봉준에게 ’탐관오리의 대표‘로 낙인 찍힌 분이 불과 10년 만에 망국의 책임을 지고 자결 순국했다니. 필자는 “모든 것은 변한다. 게으르지 말고 정진하라”는 부처의 말씀을 다시 떠올린다. 민영환은 고종과 사촌 사이였다. 열여덟 살에 과거에 급제한 그는 초고속 승진한다. 스물한 살이던 1881년 당상관에 발탁됐고, 스물두 살에 도승지가 되었다. 그는 러시아에 이어 유럽 6개국 특사 자격으로 방문했다. 지구를 두 바퀴나 돌고 돌아왔다.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 조선도 개혁하지 않고는 나라가 유지될 수 없다고 설파했다. ’매천야록‘은 “구라파와 미국을 둘러보고 천하대세를 연구하고 국사를 걱정한 민영환이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다”고 했다. 독립신문도 “민영환이 새사람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광복 79주년이다. 요즈음 서울에서 들려오는 소식들이 심상치 않다. 일본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우리는 진정한 광복을 얻었는가. 부처님 말씀과 함께 국권을 찬탈한 일본에 죽음으로 맞선 충정공의 삶을 되새긴다. 탐관오리에서 애국지사로 변모한 그의 족적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찬열 / 시인열린 광장 충정공 민영환 충정공 민영환 충정공의 이름 맞선 충정공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