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삶과 추억] 전국 한인 간호사들의 대모…임흥옥 여사 별세

전국 한인 간호사들의 대모 임흥옥(사진) 여사가 지난 16일 별세했다. 향년 93세.   한인사회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평생을 헌신한 고인은 한인 간호사 1세대다. 초기 이민사회에서 한인 간호인력 양성과 간호사 권익 보호에 앞장섰다.   1968년, 고인은 ‘북텍사스 한인 간호사협회(North Texas Korean Nurses Association·NTKNA)’를 창립했다. 북미 최초의 한인 간호사 모임이었다.     50여년간을 협회에서 활동한 그는 한인 건강박람회를 처음으로 개최하였고, NCLEX(전국 간호사 면허시험) 대비반을 운영하는 등 한인 이민 1세대 간호사들의 정착과 교육을 위해 헌신했다.   고인은 또한 언어와 의료서비스로 어려움을 겪는 초기 이민 사회의 한인들을 위해서도 꾸준히 봉사했었다. 노약자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등 한인 사회 내 의료 서비스 향상에 기여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7년 텍사스 간호사협회에서 수상하는 ‘위대한 간호사 100인’에 선정되었다.   2000년대 이후엔 후배 간호사 양성을 위한 멘토링과 강연에 집중했다. 특히 간호사 네트워크 구축과 권익 보호에 힘썼다. 재외한인간호사회(OKNA) 부회장으로도 활동하면서 한인 간호사들의 위상 강화에 앞장섰다.   그의 헌신은 한국에서도 인정받아 지난 201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훈하기도 했다.     임흥옥 여사의 장례식은 오는 24일(월) 오후 1시부터 텍사스주 댈러스 인근의 코펠 지역 ‘롤링 오크스 장례식장(400 Freeport Pkwy)’에서 열린다. 강한길 기자삶과 추억 간호사 전국 한인 간호사들 전국 간호사 텍사스 간호사협회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의료서비스 이민 1세대

2025-02-20

[삶과 추억] 뛰어난 음식 솜씨로 사랑 받아…'김치 할머니' 지선희 씨 별세

샌디에이고 한인사회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39년 간 요식업계에서 활동했던 지선희(사진) 여사가 지난 2월5일 자택에서 향년 87세로 별세했다.     일명 '김치 할머니'로 불리던 고인은 빼어난 음식 솜씨로 한인들의 사랑을 받았다. 남편 지옥근(1993년 작고) 씨와 함께 1986년 도미해 당시 샌디에이고 지역에서 제일 큰 한식당이었던 '코리아하우스(지금의 프라임 그릴 자리)'에서 근무하다 1989년 2월 아리랑하우스(지금의 '송학' 식당 자리)를 오픈한 것을 시작으로 '고향식당(지금의 전주집)', '반찬 및 김치 케이터링 전문점' 등을 운영한데 이어 '할머니 순두부' 식당을 운영해 온 한식 요리 전문가였다. 고인은 건강이 악화돼 몸이 힘든 최근까지도 자신의 김치를 찾는 이들을 위해 김치를 담가왔다.     유가족으로는 장남 지현수 씨('할머니 순두부' 대표), 차남 지용철 씨('올레' 대표) 등 2남 1녀가 있다. 고인의 두 아들 뿐 아니라 할머니의 영향을 받은 손녀들도 '두 엔 마이' 베트남 식당 등 5곳의 식당과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한인사회의 맛손인 김치 할머니의 명복을 빈다. 고인의  장례 일정은 미정이다.  케빈 정 기자삶과 추억 할머니 지선희 김치 할머니 음식 솜씨 할머니 순두부

2025-02-06

[삶과 추억] 애드센스 정재윤 대표, 라디오방송·광고 발전에 큰 족적

라디오 방송 진행자로 재치 있는 입담을 뽐내며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은 정재윤(사진) 애드센스(AD Sense) 대표가 지난 1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60세.     그를 떠올리면 ‘팔방미인’이라는 수식어가 가장 먼저 생각난다. 라디오 방송 진행자, CM송 제작자, 음반제작자, 광고사 대표, 짬뽕 전문점 사장, 유튜브 채널 크리에이터, 무역회사 대표. 모두 고인의 직업이었다.     고인은 지난 1989년 LA에 살던 외삼촌의 권유로 도미했다. 그는 지난 1991년부터 1992년까지 ‘LA 지역 KBS 대학가요제’의 행사 프로듀서를 맡고, 지난 1993년 라디오코리아의 진행자 섭외를 받고 방송 마이크를 처음 들었다.     고인은 화려한 말솜씨로 처음 방송을 시작하고 몇 개월 만에 황금시간대인 오전 10시에 방송하는 ‘행복이 머무르는 곳에’의 진행을 맡았다. 이후 26년간 마이크를 잡으며 청취자들과 소통했다.     고인은 광고업에서도 활약을 보였다. 지난 1993년 설립돼 한인사회 대표 종합 광고대행사로 자리매김한 애드센스는 고인의 지휘 아래 수많은 한인 기업의 광고를 도맡았으며, 한때 연 매출 500만 달러를 달성하기도 했다.     고인은 작은 스튜디오를 차려 ‘프로니까 풀어줘요~’, ‘선셋, 선셋 스튜디오’ 등 CM송 50여 곡을, 음반 제작사를 설립해 ‘제노스(Xenos)’라는 4인조 남성 아이돌 그룹을 한국에 데뷔시키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낸시 김씨를 비롯해 자녀 쥴리 정과 저스틴 정이 있다.     고인의 장례식은 오는 8일(토요일) 오전 11시 한국장의사에서 진행된다. 김경준 기자삶과 추억 애드센스 정재윤 정재윤 애드센스 한인사회 대표 광고사 대표

2025-02-02

[삶과 추억] 지식 공유와 한글 교육 앞장…노재민 전 피오피코 도서관장

한인사회 지식공유와 문화진흥에 평생을 바친 노재민(사진) 피오피코 도서관 초대관장이 지난 3일 별세했다. 93세.   고인은 지난 1970년 미국 이민 후 한인사회 등 LA 지역사회 도서관 문화 부흥과 정착에 앞장섰다.   고인은 전주고 졸업 후 서울대 문리대 영문학 학사와 석사를 취득했다. 한국에서 숙명여고 영어교사, 경희대 영문학 강사로 활동하다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1974년 USC 대학원에서 도서관학과 영문학 석사 과정을 밟았다.   이후 고인은 LA시립도서관에 취직해 1974년 한국서적부를 최초로 신설했다. 1976년 LA도서관의 이동도서차(Inner CIty Bookmobile) 관장으로 일하면서 한국서적을 이동도서차에 실어 한인타운 주민이 대여하도록 했다.     1982년 당시 박민수 LA총영사가한국도서 1000권을 기증하면서 피오피코 도서관이 지정되도록 앞장섰다. 1984년 고인은 피오피코 도서관 초대관장에 임명됐다.       고인은 한인사회 뿌리교육에도 힘을 쏟았다. 남가주 한국학원 학부모 회장, 교장, 교육감, 이사로 활동했다. 한국학교 연합회 초대회장 및 고문도 지냈다. USC 한국학 도서관 후원회 결성에 앞장섰고, 2002~2004년에는 피오피코 도서관 등 코리아타운 도서관 후원회장으로 활동했다. 장례식 일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삶과 추억 피오피코 초대관장 피오피코 도서관 초대관장 별세한인사회 노재민 피오피코

2025-01-05

[2024 삶과 추억] 한인사회에 정신적 유산 남기고 떠났다

2024년 남가주 한인사회를 이끌어 온 1세대 시니어들이 안타깝게도 우리 곁을 떠났다. 이들은 저마다의 이야기와 꿈을 품고 미국 땅을 밟았다. 청춘을 다 바쳐 가정을 일궜고 한인사회 공동체를 위한 일에도 앞장섰다. 고인이 된 분들의 ‘삶과 추억’은 사랑하는 가족, 아끼던 지인, 도움받은 한인사회가 기억하고 있다.     ▶최용순 화백 최용순 화백은 2007년 LA에서 홍익민화연구소를 설립하고 한국 민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앞장섰다. 그는 ‘한국 민화를 세계로’라는 기치로 LA 등 미전역에서 한국 민화 전도사로 활동했다. 또 한국 민화협회 LA지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지역사회에 민화를 알리는 여러 활동을 펼쳤다. 그는 USC, 칠레 국립대학, 튀르키예 등에서 한국 민화 전시회도 개최했다.     ▶이철 언론인 한인사회 언론인으로 활약한 고 이철씨는 합동통신·서울신문 기자, LA중앙일보 편집국장 대리, LA한국일보 편집국장·주필·부사장 등을 역임하며 해박한 지식과 삶의 지혜가 담긴 칼럼을 통해 한인사회 독자들로부터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 50년 기자생활을 하면서 쓴 칼럼집 ‘뉴스 속의 뉴스’를 출간했다.     ▶최정택 전 OC한인회 이사장 오렌지 샌디에고 평통 상임 고문이었던 최정택씨는 1983년부터 이민생활을 시작하며 오렌지카운티 한인사회 발전을 이끌었다. 생전 항암 치료를 받으면서도 취미인 사진 솜씨를 발휘해 한인단체 여러 행사를 기록으로 남기며 봉사했다. 2011년 미 대통령 평생봉사상, 2013년 박근혜 대통령 표창장, 제9회 대한민국 세종문화상, 2018년 문재인 대통령 표창장 등 다수의 상도 받았다.   ▶이정근 목사 이정근 목사는 LA유니온교회를 개척하고 미주성결교회 총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인 교계 발전에 헌신했다. 그는 지난 1980년 유니온교회를 개척, 1대, 3대 담임 목사를 역임하고 지난 2010년 7월 은퇴했다. 그는 생전 ‘글목회(writing ministry)’를 중요시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목회 실습의 이론과 실제’를 비롯해 ‘기독교교육원론’ ‘성결교회 기독교 교의’ 등이 있다. 본지 필진으로 삶의 깊이와 철학이 닮긴 글을 공유했다.   ▶김봉건 전 재향군인회 회장 김봉건 자유대한지키기운동본부 미서부지회 대표회장은 1984년 미국으로 온 후 2세와 3세들에게 6·25전쟁의 참상과 교훈을 알렸다. 여러 보수 단체와 군 관련 단체를 주도해 미주사회에 보수의 자유 가치를 심는데도 주력했다. 재미 이북 5도민 연합 회장, 재미 한국 6·25참전 동지회 회장, 재미 대한 무공수훈자회장, 건국대통령 이승만 박사 기념사업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민용순 UC어바인 교수 이민 후 아시안 이민자 정체성을 탐구해 온 민용순 UC어바인 교수는 이민 1세와 2세 작가들이 창작한 디아스포라 미술을 소개하고 알리는 데 앞장섰다. 그는 1980년대 말 미국에 아시안 미술가들의 정체성을 견인한 작가이자 미술을 매개로 사회적 변화를 추구하는 행동주의 미술가이자 전시기획자로 이름을 떨쳤다. 1993년부터 UC어바인 미술과 교수로 재직하면서도 전 세계를 오가며 작품 활동을 해왔다.     ▶김영애 수필가  미주 지역 수필가인 김영애 작가는 평생 글로 삶을 기록해왔다. 지난 7월 출간된 다섯 번째 수필집 ‘포인세티아’는 그의 문학 여정을 집대성한 작품이다. 김 작가는 서울대병원에서 근무하다 지난 1978년 도미했다. 이후 글쓰기를 시작했다. ‘수필시대’, ‘수필세계’를 통해 등단하며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수상 이력도 화려하다. 그는 서울문학 오늘의 작가상, 무원 문학상, 경희 해외 동포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예비 추억 한인사회 독자들 한국 민화협회 민용순 한인사회

2024-12-30

[삶과 추억] 글을 통해 남긴건 깊이 있는 울림…김영애 작가 별세

미주 지역 수필가인 김영애(사진) 작가가 지난 13일 오후 11시 47분 별세했다. 73세.   김영애 작가는 평생 글로 삶을 기록해왔다. 지난 7월 출간된 다섯 번째 수필집 ‘포인세티아’는 그의 문학 여정을 집대성한 작품이다. 이 책은 3부로 나뉘어 35편의 수필을 담았다. 일상과 사회를 깊이 있는 시선으로 풀어냈다.   김 작가는 이화여대 간호대를 졸업했다. 서울대병원에서 근무하다 지난 1978년 도미했다. 이후 글쓰기를 시작했다. ‘수필시대’, ‘수필세계’를 통해 등단하며 작가의 길에 들어섰다.   김 작가는 수필집 ‘몸 연꽃 피우기’, ‘사각지대의 앵무새’ 등을 펴냈다. 그의 글은 일상의 순간에 특별한 의미를 불어넣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일평생 글을 통해 남긴 건 깊이 있는 울림이었다. 숨겨진 아픔과 약자들의 목소리를 담아냈다. ‘포인세티아’에서는 ‘억울한 미투의 고발’을 떠올리게 하는 사연을 전했다.   그는 서울문학 오늘의 작가상, 무원 문학상, 경희 해외 동포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글쓰기는 곧 그의 삶이었다. 김 작가는 생전 글쓰기를 “언어에 혼을 입히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한편, 유족으로는 두 딸과 아들이 있다. 장례 예배는 내달 11일 오후 2시 30분 ‘올드 노스 처치(Old North Church)’에서 진행된다.   ▶연락:(323) 979-1512   ▶올드 노스 처치(Old North Church):6300 Forest Lawn Dr,. LA, CA 90068 정윤재 기자삶과 추억 김영애 별세 김영애 작가 올드 노스 old north

2024-12-17

추억의 정화 오징어, 그래 이 맛이야!

40년 전통, 안주의 지존! 그때 그 맛, 단짠단짠 중독성 있는 오리지널 레시피의 '정화 오징어 세트'가 중앙일보 '핫딜'에 입고돼 화제다.     간단한 맥주 안주로는 물론 입이 심심할 때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정화 오징어는 총 6개의 맛으로 구성되어 있다.     ▶'핫 오징어(35g)'는 쫄깃한 오징어에 적당히 화끈하게 매운 양념을 더해 매콤하게 구워냈다. ▶담백한 맛과 버터의 고소한 맛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해오징어 버터구이(35g)'는 고소한 풍미가 가득하다. ▶맥반석에 껍질째 구워 더 담백하고 쫄깃한 '맥반석 오징어(35g)'는 오징어의 감칠맛을 살려 어떤 소스와도 잘 어울린다. ▶불고기 양념을 만난 오징어의 참맛을 보여주는 '불고기 통오징어(55g)'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좋아하는 불고기 양념과 쫀득한 통오징어의 환상적인 조화를 자랑한다. ▶껍질째 구워 더 부드러운 단짠단짠 '맥반석 통오징어(55g)'는 구수한 맛은 물론 맥주 한 잔을 절로 부르는 맛 그 자체이다.     '치맥' '피맥'도 좋지만 맥주 한 잔에 간단히 곁들이기로는 씹을수록 고소하고 달콤한 오징어만 한 게 없다.     추억의 정화 오징어는 중앙일보 '핫딜'에서 6개 맛에 2개 랜덤 맛이 추가된 총 8종 구성을 43달러에 만나볼 수 있다.   ▶문의:(213)368-2611   ▶상품 살펴보기:hotdeal.koreadaily.com핫딜 오징어 추억 정화 오징어

2024-12-01

[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추억의 항아리 껴안고

‘돌아오지 않기 위해 혼자/ 떠나 본 적이 있는가/ 새벽 강에 나가 홀로/ 울어 본 적이 있는가/ 늦은 것이 있다고 / 후회해 본 적이 있는가/ 한 잎 낙옆같이/ 버림받은 기분에 젖은 적이 있는가 (중략) 증오보다 사랑이/ 조금 아프다고 말한 적이 있는가./ 그런 날이 있는가./ 가을은 눈으로 보지 않고/ 마음으로 보는것/ 보라/ 추억을  통해 우리는 지나간다. – 천양희 ‘오래된 가을’ 중에서   모든 것은 지나간다. 어제도 오늘도 떠나간다. 무성한 초록으로 아름드리 서 있던 나무들도 찬란한 옷을 벗고 하나 둘 흩어진다. 낙엽은 아침 이슬로 눈물을 감추고 밟힐 때마다 바스락 신음 소리 내며 작별을 서두른다. 계절은 등을 돌이며 빛바랜 정원에 추억의 꽃 씨 한 알 떨어트린다.     묵은 것들은 농익은 맛을 낸다. 상큼하진 않지만 감칠 맛으로 다가온다. 겉절이는 풋풋하고 신선한 맛을 내지만 오래 두고 먹을 수 없다. 추억의 정원에는 오래 되고 빛이 바랜, 콤콤한 냄새 나는 해묵은 기억들이 켜켜이 쌓여 있다.     묵은지는 오래된 김장 김치로 양념을 강하지 않게 해 담근다. 저온에서 6개월 이상 숙성시켜야 제 맛이 나는데 오래 숙성 저장 할수록 맛있고 깊은 맛을 낸다. 추억의 창고에 묵은지가 많은 사람의 하루는 가을 햇살처럼 따스하다. 묵은지는 일반 김장김치보다 조금 짜게 담궈야 긴 겨울을 버틴다. 인생의 짠 맛, 신 맛, 험한 맛을 많이 본 사람은 엄동설한을 버틸 힘과 용기를 얻는다.     너무 빨리 숙성된 김치는 금방 신맛이 나지만 묵은지는 서서히 오랜 기간 발효되기 때문에 시어지지 않는 게 특징이다. 짧은 시간 한 방에 날리는 성공은 쉽게 사그러들지만 오랜 시간 각고의 노력으로 일군 삶은 묵은지처럼 오래 지속된다. 묵은지 배추는 속이 덜 차고 푸른 잎이 많으며 단단한 것으로 골라야 한다. 사는 게 마음에 덜 차고 적게 가져도 늘 푸른 잎새로 마음 단단히 먹고 살면 묵은지처럼 깊은 맛을 낼 수있을까?     김장은 배추를 소금물에 담군다는 침장(沈藏)에서 나왔는데 김장으로 바뀌게 됐다. 김치는 침채(沈菜)에서 유래됐는데 딤채→김채→김치로 변형을 거듭했다. 김치가 제 맛을 내려면 배추가 다섯 번 죽어야 한다. 땅에서 뽑힐 때 죽고, 통배추의 배가 갈라지면서 또 한 번 죽고, 소금에 절여지며 다시 죽고, 매운 고춧가루와 짠 젓갈에 범벅 돼 죽고, 장독에 담겨 땅에 묻혀 마지막으로 죽는다. 김장 담그는 일은 다가올 험난한 엄동설한을 맞을 준비를 하는 의식이다. 익숙한 손 맛으로 오래된 정원에서 해묵은 추억의 불씨 하나 지피는 일이다. 난로가에서 톡 톡 튀는 밤톨 까먹던 유년의 시간으로 연어처럼 거슬러가는 일이다.   오늘이 허전한 그대여. 계절의 끝자락 붙잡고 허우적거리는 그대여! 사무치게 그리운 날은 마음 속 깊은 곳에 묵은지로 남아있는 추억의 항아리를 꺼내 보세요. 못 견디게 힘든 날만 열어보세요. 너무 자주 열어 보면 그 아름답던 날들이 빨리 시어질지 몰라요. 추억의 항아리는 우거지로 단단히 덮어 땅 속 깊이 묻어 두세요. 찹쌀 풀 섞은 물에 고춧가루와 고추씨를 개고 멸치액젓 다진 마늘과 생강 소금을 넣듯 생의 모든 슬픔과 기쁨, 황홀한 추억들 모두 담아 꼭 꼭 봉해 묻어 두세요. 외로울 때면 오래된 정원에서 은근하게 잘 익은 묵은지 항아리 꺼내 빛바랜 어제를 이지러지게 껴안아 주세요. (Q7 Fine Art 대표, 작가)             이기희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항아리 추억 묵은지 항아리 일반 김장김치 추억들 모두

2024-11-05

[이 아침에] 추억의 옛 가요

돌아가신 아버지는 운동하거나 산보를 하며 노래 듣기를 좋아하셨다. 허리에 워크맨을 차고 카세트테이프에 담긴 옛노래를 헤드폰을 끼고 듣곤 하셨다. 카세트는 30분 한 면이 다 돌고 나면, 테이프를 바꿔 끼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번 충전에 몇 시간이고 중단 없이 노래를 들을 수 있는 아이팟을 여동생이 사 드렸는데, 그 자그마하고 생소한 기기가 불편하셨던지 얼마 후에는 다시 워크맨으로 돌아갔다.     20여 년 전, 한국에 갔을 때 있었던 일이다. 한창 유행하던 해바라기의 노래를 좋아한다고 했더니, 지인이 CD를 선물하겠다고 했다. 한데 그때 내 차에는 CD 플레이어가 없었다. 카세트테이프를 사달라고 했다.     그 후 장만한 차에는 CD를 6장 넣고 들을 수 있는 CD플레이어가 있었고, 지금 타는 차에는 USB를 꽂아 노래를 들을 수 있다. 하지만 그것도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요즘은 블루투스로 스마트 폰을 연결하여 노래를 듣는다. 노래를 전화기에 담을 필요도 없다.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에 연결해서 듣는다. 음원 사이트에 들어가서 내가 좋아하는 노래만 모아 플레이 리스트를 만들 수도 있고, 남들이 만들어 놓은 것을 연결해서 들을 수도 있다.     요즘 미국 음원 사이트에는 웬만한 한국노래는 다 있다. 최근에 애플 뮤직에서 ‘추억의 옛 가요’ 음반을 찾았다. ‘목포의 눈물’, ‘애수의 소야곡’ 같은 옛 노래가 원곡 그대로 들어 있다. 아버지가 즐겨 듣고 부르시던 노래다.     내가 ‘세시봉’의 노래를 즐겨 듣던 무렵, 아버지는 나이 든 가수들이 등장하는 가요무대를 즐겨 보곤 하셨다. 재미없는 노래를 지그시 눈을 감고 듣는 아버지가 멀게만 느껴지곤 했었다.     음악은 취향이라 사람마다 좋아하는 노래가 다를 수 있지만, 대개는 젊은 시절 들었던 노래, 또는 이와 유사한 성격의 노래를 즐겨 들을 것이다. 나 역시 7080 노래를 즐겨 듣는다. 하지만 최근 발견한 ‘추억의 옛 가요’도 이제 즐겨 듣는 플레이 리스트에 올려놓고 가끔 한 번씩 듣곤 한다.     처음 이 음반을 듣던 날의 감동을 잊을 수 없다. 나는 잊고 있었지만 내 몸은 이 노래들을 기억하고 있었다. 아버지가 그리워서, 지난 세월이 아쉬워서 그랬던 것은 아니다. 50-60년 전에 들었던 노래가 전해주는 편안함이 좋았다.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이런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내 몸 어딘가에 숨어 있던 과거의 기억을 되새기는 것.     봄날 파랗게 싹을 틔워 나오던 새싹이 어찌 가을을 알고 낙엽을 알겠는가. 뜨거운 여름을 지내고 비바람을 겪어야 다가올 가을을 예감할 수 있을 터. 사회적으로 성공해서 유명해지고 돈을 많이 벌어 온갖 호사를 누린 사람이나, 허름하고 소박한 삶을 산 사람이나, 결국 가을이 되면 다 비슷한 길에 들어선다.   옛 노래를 들으며 과거를 추억하고, 지금은 사라진 이들을 생각하고, 내게도 다가올 마지막 잎새를 기다린다. 가을은 그렇게 깊어 간다.  고동운 / 전 가주 공무원이 아침에 추억 가요 노래 듣기 음원 스트리밍 cd 플레이어

2024-10-30

[삶과 추억] 45년간 사랑 실천한 목회자, 고 이종범 목사

샌디에이고 기독교계의 큰 별이 졌다.   샌디에이고 영락장로교회의 담임목사(1979~2005)로 청빙을 받은 1979년 이후 45년간 지역에서 예수님의 제자로, 겸손과 헌신으로 이웃들을 섬겼던, 이종범(사진) 목사가 지난 9월11일 운명했다. 향년80세.   고인은 2005년 비기독교 지역에 대한 선교 사명을 갖고 당시 기독교 불모지였던 우즈베키스탄에 들어가 7년이나 비밀 선교활동을 하다가 그곳 당국으로부터 선교사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강제 추방을 당하기도 했다.   2012년 샌디에이고로 돌아와 은퇴한 고인은 양로원과 너싱 케어 등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들과 환자들을 위해 매주 예배와 집회를 인도해 왔으며 통역이 필요한 이웃들과 노인들을 위해 병원과 민원업무 등을 도맡아 처리해 주기고 했다. 온화한 성품으로 이웃들에게 곁을 내주며 사랑을 실천해 왔던 목회자로 기억되고 있다.     고인은 대광고등학교와 숭실대학을 나왔으며 한국장로교단 통합 측에서 안수를 받았고 한경직 목사의 비서로 사역을 시작했다. 샌프란시스코 신학대학과 남가주신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 이종범 목사의 장례예배가 오는 10월12일 오전 10시 글렌아비 메모리얼 파크(3838 Bonita Rd. Bonita)에서 올려진다.     ▶연락처:(619)772-7043삶과 추억 목회자 이종범 이종범 목사 한경직 목사 샌디에이고 기독교계

2024-10-08

[삶과 추억] 한국인 최초 히말라야 등정 도전 산악인 송윤일씨 별세

  한국인 최초로 히말라야 등정에 도전했던 송윤일(사진)씨가 지난 28일 오전 11시 별세했다. 향년 88세.   유가족에 따르면 그동안 LA지역에서 살던 송씨는 요양원에서 심장마비로 눈을 감았다.   송씨는 지난 1962년 경희대산악회 히말랴아 다울라기리2봉 원정대(대장 박철암) 소속으로 2명의 대원들과 함께 한국 산악인 역사를 새로 썼던 인물이다.   당시 송씨가 대원들과 함께 히말라야 원정에 나섰던 날은 광복절이었다. 송씨는 본지와의 인터뷰〈본지 2016년 1월16일자 A-11면〉를 통해 당시 다울라기리의 눈 쌓인 모습을 회상하기도 했다.   송씨는 평양에서 나고 자랐다. 중학교 때 송씨는 한국 전쟁을 겪으며 부산까지 내려갔다가 이후 서울에 정착했다.     광성고등학교에서 아이스하키 선수로 활약했던 그는 1958년 경희대학(당시 신흥대학)에 입학했다. 운동을 좋아했던 송씨는 당시 7명의 친구들과 함께 산악회를 만들엇다. 본격적으로 산을 오르게 된 계기였다.   산을 오르 내리기 시작하면서 도전에 대한 열망이 꿈틀대기 시작했다. 한국인이 한번도 가보지 않은 산을 오르고 싶었다. 히말라야 등정을 그때부터 계획했다.    물론 그 당시 히말라야에 대한 정보는 전무했다. 등산 장비와 자금도 부족했다. 남대문시장을 뒤져 군용텐트 2개를 사고 침낭 15개를 사서 뜯은 뒤 방한점퍼로 만들어 히말라야로 향했다.   물론 정상정복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송씨는 히말라야 원정의 초석을 만든 영원한 기록을 갖게 됐다. 이를 발판 삼아 후배 산악인들이 이후 히말라야를 정복했다. 그 이후에도 송씨는 1993년 단장으로 히말라야 등정에 도전했다.   송씨가 LA에 온건 지난 1999년이다. 이후 미주 지역 한인 산악회 모임 등을 다니며 산에 대한 이야기, 등정 노하우 등을 전하며 후배들을 키웠다. 도전 정신을 갖고 산을 오르내리던 그는 이제 인생의 무대에서도 내려왔다.    송씨의 장례 미사는 오는 11일 오전 10시 그레고리성당에서, 하관 예배는 이어 홀리크로스 묘지(하관예배)에서 진행된다. 유족으로는 2남(석근. 택근), 1녀(원경)가 있다.    ▶연락처:(818) 307-6366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히말라야 추억 히말라야 등정 히말라야 원정 등정 도전

2024-08-30

[문예 마당] 슬픔과 함께 고향의 추억 속으로

어릴 적 친정아버지가 꾸민 서재에는 보물단지 책상 하나가 있었다. 큰오빠가 이 책상에서 열심히 공부해 서울대 의예과에 수석으로 입학했기 때문이다. 그 연유로 고등학생이던 나의 두 사촌 오빠가 교대로 우리 집의 그 책상에서 공부하다 가는 날들이 있었다. 이들은 어머니 오빠의 아들들이었다. 그런데 큰집의 막내아들인 오빠는 서울대에 들어갔고 작은집의 오빠는 후기 대학에 합격했다. 최근 큰집 오빠의 부음을 작은집 올케로부터 들으며 둘은 가장 친한 친구 사이기도 했다는 사실도 알았다. 올케는 남편이 장례식에서 서럽게 울더라는 이야기도 전했다.     고인이 된 오빠는 자기 형처럼 유명한 농대를 졸업했지만 다른 길을 갔다. 그는 잘 난체도 열등의식 같은 것도 없는 사람이었다. 목소리도 좋고 까무잡잡한 피부의 미남이었다.     큰 외갓집은 어머니 집안의 제사를 물려받은 양자로 들어오신 삼촌이다. 외조부가 돌아가신 1928년은 딸에게는 유산을 물려주지 않는 시절이었다. 하지만 어찌어찌 어머니는 그 삼촌과 공동명의로 논밭 조금을 받았다고 했다.     그런 불편한 관계가 있었지만 나는 큰 외사촌 언니와 오빠를 좋아했다. 시청 근처인 광산동에서 외삼촌은 삼천리 자전거 대리점을 오래 운영했다. 그리고 외삼촌 댁 이층에서 제사가 있는  날이면 초중고생 사촌들이 모였다. 차례로 교자상에 앉아 저녁을 먹으며 추억을 쌓았다. 당시 오빠는 대학 졸업 후 서울의 유명회사에 지원했지만 잘 안 된다는 소문도 있었다. 오빠는 결국 외삼촌처럼 자전거 대리점을 양동 상가에 차렸고 부모님이 시키는 대로 결혼했다. 올케는 우리 동네 이웃의 착한 딸이라며 어머니는 기뻐하셨다.     당시 올케도 나처럼 교사여서  퇴근길에 오빠네 가게에 들러 올케랑 이야기도 종종 나누며 정도 들었다. “아가씨, 오셨수?” 얼마나 듣기 좋은 말인지. 고향에 가면 꼭 하루 자고 싶은 그 다정한 오빠와 올케네 집.     얼마 전 한국의 한 지인이 나에게 공진단을 보내준다기에 대신 그 오빠에게 선물해 달라고 했다. 오빠는 그때 간암 투병 중이어서 본인이 먹지는 못했지만 다른 사람에게 주겠다며 기뻐했던 기억이 난다. 오빠는 공진단을 보내준 지인에게도 감사 인사를 갔었다고 한다.     오빠의 병환 중에 가끔 안부를 전하곤 했는데 최근 내가 병원에 다니느라 잠시 소홀했더니 그사이에 별세한 것이다. 언제나 다정한 목소리로 “그래그래 잘 있냐, 애 아빠 잘 계시냐”고 말했던 오빠였다. 그가 나에게 남긴 마지막 문자는 “예쁜 동생아, 좋은 글 많이 써라”였다.  보고 싶은 오빠, 우리가 모르는 고민 다 떨구시고 좋은 세상으로 가시구려. 최미자 / 수필가문예 마당 고향 추억 어머니 오빠 막내아들인 오빠 오빠네 가게

2024-08-29

[독자 마당] 모내기의 추억

우연히 유튜브를 통해 한국 어린이들의 모내기 체험 영상을 봤다. 그들은 고운 색깔의 옷에, 허벅지까지 오는 빨간 장화를 신고 모내기를 했다. 나는 그들이 신고 있는 긴 장화에 눈길이 가면서 옛날 생각에 가슴이 두근거리기까지 했다.   일제 강점기가 끝날 무렵 초등학교 3~4학년 때 모내기를 다녔던 곳의 모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우리는 무논에 이르면 바지를 무릎 위까지 걷어 올리고 저벅저벅 걸어 논에 들어갔다. 어른들이 양쪽에 서서 밧줄로 라인을 만들면 우리는 그 앞에 일렬로 나란히 섰다. 그리고 왼손에 모종을 잡고 오른손으로 조금씩 떼어 무논에 꾹꾹 꽂아 넣었다.   누군가 “좋았어”라고 외치면 한 발씩 뒤로 물러섰고 줄도 옮겨졌다. 이런 방식으로 모내기는 계속 진행됐다. 이렇게 무논은 파랗고 아름다운 푸른 농원으로 변했고, 그 모습을 보는 우리도 즐거웠다. 그런데 어느 날은 거머리가 다리에 붙어 떨어지지 않아 질겁을 한 적이 있다. 지금 생각해도 거머리는 징그럽다. ‘그때 우리에게도 장화가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이런 엉뚱한 생각을 하면서 그때 모내기 현장이 그리워진다. 모내기를 자주 했던 까닭인지 지금도 잘할 수 있을 것 같다.   무엇이든 되풀이하면 연습이 된다. 우리 생활에서도 옷 만들기, 책 읽기 그리고  글 쓰기 등도 마찬가지다. 그뿐만이 아니다.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과의 사랑도 계속 연습을 한 후에 실행에 옮긴다면 세상은 얼마나 아름다울까.   모든 것을 처음부터 잘할 수 없다. 부단히 연습해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원만한 관계를 위해 모내기하듯 다양한 방식으로 연습한 후 이를 실행에 옮긴다면 분명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영순·샌타클라리타독자 마당 모내기 추억 신고 모내기 모내기 체험 그때 모내기

2024-06-11

[이 아침에] 추억의 ‘99센트 온리 스토어’

이리나‘99센트 온리 스토어(99 Cent Only Store)’는 좋아하는 가게다. 아이들이 어렸을 때는 이 가게 단골손님이었다. 하루는 작은 아이가 넘어져서 무릎이 까진 일이 있었다. 비누로 깨끗이 씻기고 연고도 바르고 마지막엔 그 당시 한창 인기 있었던 TV 아동용 애니메이션 여자 주인공 도라 디 익스플로러가 선명하게 프린트된 반창고를 붙여줬다. 조금 깊은 상처여서 쓰라리고 아팠을 텐데 도라를 좋아해서 아프다는 말도 하지 않았다.     그 뒤로 딸은 도라가 새겨진 반창고를 모든 인형의 팔과 다리, 얼굴에 붙여주었다. 인형이 아파서 붙여줬다며 안쓰럽다는 표정까지 지었다.  그리 비싼 반창고도 아니고 딸이 좋아해서 아기자기한 동물 그림이 그려진 반창고를 몇 개 더 샀다. 딸은 한동안 그것들을 가지고 놀았다. 그 모습이 너무 사랑스러웠다.   ‘99센트 온리 스토어’에서 파는 많은 품목 중 딸은 스티커를 제일 좋아했다. 꽃 그림, 동물 그림, 위니 더 푸 캐릭터, 헬로키티 등 크고 작은 스티커는 항상 사는 물건이었다. 퇴근해서 집에 오면 아이들은 으레 내 핸드백에 먼저 눈길을 줬다. 스티커를 핸드백에서 꺼냈을 때 볼 수 있는 아이들의 기뻐하는 모습과 환한 미소, 웃음소리 때문에 아이들이 싫증 낼 때까지 샀다. 벽과 유리창, 의자 다리에도 스티커를 붙여서 한동안 우리 집은 인형의 집처럼 스티커로 치장됐다.   주로 생필품을 파는 곳이지만 의외로 선물용품, 공구류, 애완동물 용품, 미용 보조식품 등과 무슨 용도로 쓰는 제품인지 모르는 물건도 의외로 많다. 아이들 학교에서 내주는 프로젝트가 있을 때마다 ‘99센트 온리 스토어’를 찾곤 했다.     어떤 선생님은 창의력을 발휘하는 프로젝트를 요구해서 여느 가게에서는 팔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야 했다. 여기에 먼저 들러서 아이디어를 얻고 그에 걸맞은 물건을 사고 크래프트 가게인 마이클스에서 나머지 필요한 재료를 사서 프로젝트를 끝내곤 했다. 이렇게 만든 프로젝트는 아이들보다 선생님이 더 좋아했다.   내가 어렸을 적에도 저렴한 가격으로 동심을 부풀리는 가게가 있었으면 했는데, 그런 ‘99센트 스토어’가 사업 부진으로 모든 매장의 운영을 중단하고 청산 절차에 들어갔다. 금리와 물가도 올랐지만 무엇보다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이 컸던 것 같다.       못내 서운해서 며칠 전에 마지막으로 방문했다. 가게 안에 있는 텅 빈 선반을 보니 내 마음이 다 휑했다.     아이들의 손을 잡고 오던 때가 생각난다. 좋아하는 스티커를 손에 꼭 쥐고 사달라며 나를 보고 씩 웃던 모습이 그립다. 이제 가게는 없어졌지만, 거기서 아이들과 함께했던 행복한 추억은 내 마음에 연전히 고이 담겨있다. 이리나 / 수필가이 아침에 스토어 추억 온리 스토어 선물용품 공구류 캐릭터 헬로키티

2024-05-06

엄마 손 잡고 함께 ‘추억 여행’ 떠나요

마더스데이에 선물도 좋지만, 어머니가 가장 원하는 것은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닐까. 가정의 달이자 마더스데이가 있는 5월을 맞아 가주관광청이 추천하는 가주지역 여행지를 소개한다.   ▶델마 어머니들이 자식들을 세상 높이 날아오를수록 헌신했으니 어머니께도 창공을 날아다니는 멋진 경험을 선사해 드리자. 매직 어드벤처 벌룬 라이드(hotairfun.com)의 수석 조종사 데니 바렛은 샌디에이고 노스 카운티의 델마(sandiego.org/explore/things-to-do/beaches-bays/del-mar.aspx) 상공에서 열기구를 타고 날아오르면 “새로운 시각으로 스카이라인과 시원하게 탁 트인 태평양을 보게 될 것”이라며 열기구 체험을 강추했다. 새를 좋아한다면 야생 앵무새들의 보금자리인 델마의 프리 플라이트 버드 생추어리(freeflightbirds.org)을 방문하는 것도 좋다. 델마빌리지에는 중세 유럽에서 영감을 받은 튜더 양식의 건물에 자리 잡은 산책하기 좋은 레스토랑과 토요일 오후에 열리는 농산물 직거래 장터가 있다. 멋진 바다 전망을 즐기고 싶다면 어머니와 함께 제이크스델마(jakesdelmar.com)에서 브런치, 런치, 디너 타임을 가져보자.   ▶오하이 LA에서 90분 거리에 있는 토파 토파 산맥에 자리한 토니 오하이(ojaivisitors.com)에는 아트 갤러리와 픽시 귤 농장 외에도 많은 볼거리가 있다. 어머니가 독서를 좋아한다면 13만여권을 보유한 야외 서점인 바트 북스(bartsbooksojai.com)가 마음에 들 것이고 공예를 좋아한다면 피그(figojai.com)에서 엄선된 수제 공예품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오하이 올리브 오일 컴퍼니(ojaioliveoil.com)에서 농장 투어를 하고 어머니의 지친 몸과 마음을 힐링할 수 있도록 럭서리한오하이 밸리 인(ojaivalleyinn.com)에서 따뜻한 히말라야 소금 스크럽 마사지 선물을 준비하자. 특히 더 팜하우스(ojaivalleyinn.com/farmhouse)에서 열리는 연례 마더스데이 브런치 행사에 참석해 보자.   ▶아발론, 카탈리나섬 도심을 떠나 섬에 가고 싶다면 샌페드로 또는 롱비치항에서 보트(catalinaexpress.com)를 타고 한 시간여 만에 쉽게 도착할 수 있는 카탈리나섬(catalinachamber.com)이 안성맞춤이다. 데스칸소 비치 클럽(visitcatalinaisland.com/dining/avalon/descanso-beach-club-dining)에서 푸른 태평양바다를 바라보며 휴식을 취할 수도 있고 바닥이 투명한 유리로 돼 바닷속을 들여다볼 수 있는 보트 투어를 통해 오렌지색의 가리발디 물고기들을 만날 수 있다. 리글리 기념관 및 식물원을 방문해 남가주 토종 식물과 아발론 베이의 탁 트인 전망도 감상해 보자. 블루워터 그릴(bluewatergrill.com/locations/catalina-island)에서 저녁 식사를 하고 아르데코 양식의 아발론 카지노 극장에서 어머니와 함께 무비 타임도 가져보자.   ▶모스랜딩 중가주 샌타크루즈와 몬터레이 중간에 위치한 모스 랜딩(seemonterey.com/things-to-do/itineraries/moss-landing)에서 어머니에게 눈앞에서 회색 고래나 혹등고래가 바다에서 튀어나와 수면과 부딪히며 우렁찬 소리를 내는 박진감 넘치는 모습을 볼 기회를 선사하자. 블루 오션 웨일 워치(chttps://blueoceanwhalewatch.com)가 2~4시간의 고래 투어를 제공하기 때문에 항구의 아트 갤러리와 도자기 전문점을 둘러볼 시간이 충분하다. 초보자도 쉽게 도전할 수 있는 카약 투어에 참여해 엘크혼슬라우(seemonterey.com/things-to-do/parks/elkhorn-slough)의 잔잔한 바다에서 노를 저어보자. 먹이를 먹고 장난치는 귀여운 해달과 하버 물개와 바다사자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필스 피시 마켓(philsfishmarket.com)에서 싱싱한 광어 타코를 맛보며 하루를 마무리하자.   ▶프리스톤 북가주 소노마 카운티의 서쪽 가장자리에 자리 잡은 목가적인 소도시 프리스톤(sonomacounty.com/cities/freestone)에서 하루, 이틀 머물며 어머니와 함께 스마트폰에서 벗어나 디지털 디톡스를 해보자. 오스모시스(osmosis.com)의 삼나무 효소 욕조에 몸을 담그면 스마트폰 보고 싶은 생각이 사라져 버릴 것이다. 근육이 풀리면 와일드플라워 브레드(wildflowerbread.com)를 찾아가 장작불 벽돌 오븐에서 갓 구워낸 사워도우와비스코티를 맛보자. 프리스톤 아티잔 치즈(freestoneartisan.com)에서는 소노마 카운티 치즈 장인이 만든 수제 치즈도 맛 볼 수 있다. 도란 비치 지역 공원(parks.sonomacounty.ca.gov/Visit/Doran-Regional-Park)의 모래사장은 가족 피크닉을 즐기기에 완벽한 장소다.   ▶네바다시티 새크라멘토에서 북동쪽으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네바다시티(nevadacitychamber.com)에서는 가족들 뒷바라지에 바쁜 어머니들에게 여유로움을 체험할 수 있게 한다. 이 골드러시 마을은 진저브레드 빅토리아 양식의 주택과 느긋한 농장에서 식탁까지 이어지는 문화가 매력적이다. 트리츠(treatsnevadacity.com)에서루바브 또는 라벤더 아이스크림을 맛보고 네바다시티 와이너리(ncwinery.com)에서 와인을 시음해 보자. 웨이워드 걸 크리머리(wheywardgirlcreamery.com)에서는 염소 및 버펄로 우유 치즈를 살 수 있다. 가주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하거나 크리스털에르미타지(crystalhermitage.org)의 고요한 정원에서 만개한 각양각색의 꽃들도 감상할 수 있다.   박낙희 기자엄마 추억 가주지역 여행지 가주관광청 마더스데이 특집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CA US NAKI KoreaDaily

2024-04-30

[삶과 추억] 나눔 실천의 삶 살아온 기업인

앨라이드 테크놀로지 그룹 창립자 및 고문인 이덕선(사진) 한국외대 해외동문연합회 이사장이 지난 11일 별세했다. 향년 84세.     이덕선 이사장은 한국외대 해외동문연합회를 설립하고 초대 회장을 지냈다. 이덕선 이사장은 1966년 미국으로 건너가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시작, 1986년 앨라이드 테크놀로지 그룹(ATG)을 설립, 미국 국무부 전산망을 책임지는 기업인으로 성장하며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줬다고 평가받는다.   또한 '나눔은 결국 더 큰 결실을 맺는다'는 평소 철학에 따라 자신과 아내의 이름을 딴 재단인 'Matthew D. & Katherine H. Lee Foundation'을 설립하여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해왔다.   이러한 공로로 2004년 한국외대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8년에는 메릴랜드 주 정부가 수여하는 '최우수 기업 100대 경영자상(Top 100 Minority Business Enterprise's Business Legend Award)'을 수상했다.   또 인류에 공헌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을 염원하며 12년간 거액의 장학금을 후원해왔다. 지난 2022년 한국외대에는 장학금 100만 달러를 추가로 기탁해 이덕선 이사장이 출연한 장학금 총액은 40억 원에 달한다.   유가족으로는 아내 캐서린 이씨와 두 딸 소피, 퍼트리샤씨가 있다. 장례미사는 지난 13일 오전 11시 메릴랜드주 성 유다 성당에서 열렸다.   ▶연락:(301)946-8200삶과 추억 나눔 외대해외동문회 한국외대 해외동문연합회 이덕선 이사장 나눔 실천

2024-04-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