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독교와 사회물리학] 선교적 교회의 지속가능성 지수

20세기에 들어오면서부터 국제사회는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 일명 '브룬트란드(Brundtland) 보고서'를 통해 미래세대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성에 집중해 왔다. 기업들도 경제 지상주의에서 벗어나 사회적 책임을 공유하여 사회 지속가능성에 공헌하고 있다.   21세기 현대교회는 교회 인구 성장이 멈추고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형국에 놓여있다. 한국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함께 교회 성장을 주도해 왔던 교회 성장원리는 이제 교회 지속가능성 원리로 대체되어야 할 때이다. 교회 성장원리는 유기체인 건강한 교회의 모든 기능이 상호유기적으로 잘 작동하면 양적인 성장이 일어나고 아울러 질적인 성숙이 일어난다고 한다.   그러나 교회 성장학자인 도널드 맥가브란은 교회의 질적 성숙의 척도를 제자도와 교회의 사회적 영향력에서 찾는다. 그동안 교회 성장원리를 통해 교회의 성장을 가리키는 정량적 척도와 성숙의 판단 근거가 되는 정성적 수치를 잘 계수하고 그 크기는 높였지만, 지역사회에 끼친 영향력은 계측 수치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지역사회 발전과 지역주민 계도에 소홀한 교회 성장은 부정적 부메랑이 되어 교회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제는 비신자들은 그리스도인을 친구로 생각하지 않으며 교회에 대한 신뢰도는 바닥으로 떨어졌다. 이런 환경과 상황에서 비신자 전도를 통해 교회 성장을 추구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지역주민의 교회에 대한 신뢰도를 객관적인 정성적 수치로 계측해야 한다.   교회의 지속가능한 성장은 교회의 영향력이 지역사회로 침투할 때 일어난다. 건강하여 지속가능성이 큰 교회의 목회자는 설교를 통해 성경공부와 제자훈련을 통해 양육된 평신도를 지역사회라는 선교지에 파송해야 한다. 이것이 평신도가 감당할 수 있는 선교적 삶의 사역이다. 그동안 비신자들이 교회를 방문해서 교회 성장이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교회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평신도가 지역사회에 묻혀 있는 추수할 비신자들을 방문해야 한다. 교회는 비신자들을 소그룹으로 초대하고 방문한 비신자들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환대해야 한다. 현대의 그리스도인들은 교회가 아닌 공간에서 비신자들을 섬김으로 복음을 듣고 보게 하여 성령 하나님의 임재와 격려를 경험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선교적 그리스도인들은 예배가 없던 곳에서 섬김을 통해 영향력을 발휘하여 하나님을 예배하는 곳으로 변화시켜 하나님 나라가 세워지도록 살아야 한다.   교회가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유지하려면 지역사회의 섬김을 척도로 측정하고 지역사회의 반응을 교회 성장과 성숙의 척도로 삼아야 한다. 지역사회를 섬기는 방법을 찾고 계측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예배당과 부대시설이 있는 교회는 평일에 건물을 지역사회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섬길 수 있다. 즉 다음세대를 위해 방과 후 교실, 주부를 위한 만남의 장소, 노인을 위한 데이 케어(day care) 센터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지역사회를 섬길 수 있다. 재정이 허락되는 교회는 비신자 자녀들에게 장학금을 주거나, 사회진출을 준비하는 실업 및 구직하고 있는 청년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수도 있다. 일꾼이 있는 교회는 지역사회의 싱글 맘, 홀로 사는 노인들에게 도시락 및 반찬을 지원하거나 지방자치단체와 동역하여 노숙자 지원, 주택 수리 및 집 짓기 등으로 섬길 수 있다.   교회의 지속가능성은 개 교회가 지역사회의 신뢰와 존경을 받을 때 유지된다. 예수의 정신을 현대교회가 계승하여 지역사회를 섬기는 그리스도의 몸 된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지역사회를 섬기는 정도를 지속가능성의 척도로 삼아 이를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선교적 교회가 되어야 한다.   goodchul@gmail.com 조철수 / 목사·맥알렌세계선교교회기독교와 사회물리학 지속가능성 선교 교회 성장원리 교회 지속가능성 사회 지속가능성

2023-08-21

[기독교와 사회물리학] 마이크로교회의 지속가능성

최근 교회 개척 사역을 주도하는 많은 기관은 선교적인 작은 공동체를 추구하는 '마이크로교회 운동(micro church movement)'에 주목하고 있다.     '매크로(macro)' 교회가 예배당과 부대시설을 갖춘 대형 혹은 초대형 교회를 가리킨다면 '마이크로(micro)' 교회는 가정, 사무실, 사업장, 커피숍, 공원 등에서 모이는 작은 교회를 가리킨다.     마이크로교회는 개인의 더 높은 수준의 책임과 참여를 요구하지만, 전통적인 교회 개척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교회를 이룰 수 있어 교회 개척의 패러다임 시프트로 여겨지고 있다.     플로리다주 탬파 지역에서 시작된 마이크로교회 운동은 그 지역에서만 현재 100여 개의 선교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특히 미개발되고 자원이 없는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지역에서 많은 마이크로교회가 탄생하여 유지되고 있다.   마이크로교회는 복음이 필요한 대상을 찾아가 40명 내외로 구성된 모임을 만들어 예배와 제자 삼는 사역을 진행하는 선교적 공동체다. 신학을 공부하고 목사안수를 받은 목회자가 예배당을 마련하여 교회를 시작하는 것이 전통적인 교회 개척이라면 마이크로교회는 이를 역으로 진행한다. 평신도 선교사가 기존의 교회에 나오지 못하는 이들을 찾아가 삶의 현장에서 모임을 만들고 마이크로교회를 시작한다. 그리고 마이크로교회가 전임사역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때 사역자를 신학교에 보내고 안수 받게 하여 설교와 교육을 전담할 수 있도록 임명한다.     마이크로교회는 평신도 선교사가 비슷한 상황과 환경에 있는 이들을 만나 복음을 전하고 가정으로 초대하여 모임을 가져 예수 그리스도의 몸 된 공동체를 이룬다는 면에서 도널드 맥가브란의 '동질집단원리(homogeneous unit theory)'와 부합하는 유기체적 교회의 모습을 보인다. 또한, 마이크로교회는 '3무(無), 3S(simple.slow.smart)' 교회이다. 건물도, 재정도, 사역자도 없다. 마이크로교회가 추구하는 교회의 주요 기능은 예배와 공동체 그리고 선교이다. 마이크로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구원자로 믿는 예배자들의 영적 공동체로서 세상에서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삶을 살도록 서로 격려하는 공동체적 책임을 지고 생활의 선교사 이른바 선교자로서 삶의 현장에서 사역하도록 도전한다.     주일에 혹은 주중에 한두 번씩 소수의 무리가 얼굴을 맞대고 서로 환대할 수 있는 장소에서 모여 예배를 드리고 기도하고 성경을 배우고 서로의 삶을 나누며 먹고 마시며 교제할 수 있는 그리스도의 가족이 된다. 마이크로교회는 숫자상으로 규모 적으로 성장할 수도 있겠지만 교회 성장을 목표로 두지 않고 언제 이루어질지 모르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과 영성이 인격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성숙을 추구하기에 느린 교회이다. 또한, 디지털 시대에 사는 다음 세대가 실제 삶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 성경 말씀을 배우며 진리를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성품과 기질로 새 사람이 되어 디지털 시대를 선교의 장으로 볼 수 있도록 가르친다.     마이크로교회가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재정을 공급하는 하나님의 실질적 은혜를 체험하고 지혜롭게 기획하여 재정의 열매를 맺어야 한다. 모임의 장소를 위해 가정으로 초대하여 섬기는 수고와 헌신의 희생이 필요하다. 전문 사역자가 필요할 때 재정적으로 후원하며 권리를 위탁하고 협력하는 성숙함이 요구된다. 이민 사회에서 여러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 나라 세우기 위해 교회를 개척하고 작은 교회를 어렵사리 섬기며 유지하고 있는 목사, 평신도 사역자들이 마이크로교회를 잘 세워갈 수 있도록 진심으로 응원한다.   goodchul@gmail.com 조철수 / 목사·맥알렌세계선교교회기독교와 사회물리학 마이크로교회 지속가능성 마이크로교회 운동 교회 개척 초대형 교회

2023-03-13

[기독교와 사회물리학] 교회의 지속가능한 발전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대한 개념은 사회, 경제, 정치에서 사용되지만 상세한 의미는 다르다. 일반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은 1987년 세계환경발전위원회에서 밝힌 ‘우리 공동체의 미래’ 보고서의 정의에 따르며 한국의 지속가능한 발전법에는 지속가능성에 기초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미래세대가 사용할 경제 사회 환경 등의 자원을 낭비하거나 여건을 저하시키지 아니하고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발전으로 이해한다.     즉 지속가능한 발전은 현세대의 발전 노력이 다음 세대의 삶의 질을 높일 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가 누릴 환경도 지키는 발전을 추구한다. 2002년 유엔이 마련한 세계정상회의에서 요하네스버그 선언문이 채택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은 환경보존, 경제발전 및 사회발전이 균형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18세기 중반 산업혁명으로 시작된 경제발전은 과학기술발전과 보조를 같이하며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하여 식량 생산력 향상, 인구증가, 의학의 발전을 이루었다. 인류는 경제발전이 풍요로운 삶의 양과 좋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성장의 한계를 경험하면서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빈곤과 가난의 사회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의료의 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하고 환경은 오염되고 생태계는 파괴되어 통제할 수 없는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지속가능성 논의는 무차별적 경제성장이 부의 소유와 소비에 대한 인간의 탐욕에서 비롯되어 현대사회의 사회문제 및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반성과 비판에서 출발하였다.     지속가능성은 다음 세대를 위해 경제와 사회 및 환경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미래지향적 개념이다.   이와 같은 지속가능성 개념을 한인교회에 적용해 볼 수 있다. 그동안 교회의 부흥을 비전으로 양적 수적 성장을 추구해 온 한인교회는 이제 성장의 한계를 경험하고 양적으로 질적으로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교회 수와 신자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기독교인에 대한 사회적 평가도 매우 부정적이다.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이후에 한국교회의 신뢰도는 20%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10명 중 2명만이 교회를 신뢰하고 있다는 뜻으로 낯선 사람에게서 경험하는 신뢰도 보다도 떨어지는 평가이다. 또한, 가나안 교인이라 불리는 교회 도피 신자가 100만 명이 넘었다. 교회 주일학교의 어린이와 청소년은 사라지고 있으며 오히려 학부모들이 학업을 이유로 교회 출석을 막고 있다. 이제 한인교회는 지속가능성 개념을 적용하여 교회건축, 선교적 사역 같은 양적 성장과 신자의 수적 성장도 추구하되 이타적이고 겸손한 인격적 성숙을 조화롭게 이룩하여 이기적이고 독선적인 이미지를 벗어버리고 긍정적인 사회적 호감도를 끌어내야 한다.     현대교회는 다음 세대가 자유와 평등을 기반으로 행복추구가 보장된 사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며 복음이 필요한 이들을 섬기고 돌볼 수 있는 선교적 환경과 복음적 교육 생태계를 유기적으로 조성하여 교회의 지속가능성을 발전시켜야 한다. 교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은 다음 세대가 경험할 하나님 나라를 기대하며 성장과 성숙, 부흥과 섬김, 교육과 선교가 조화롭게 추구될 때 이루어진다.   goodchul@gmail.com 조철수/ 목사·맥알렌세계선교교회기독교와 사회물리학 지속가능 교회 지속가능성 개념 환경보존 경제발전 지속가능성 논의

2022-08-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