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Z세대 주택소유율 M<밀레니얼>·X세대 보다 높다

성인 Z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주택 소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전문업체 레드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Z세대 성인(19~27세)의 주택 소유율이 밀레니얼 세대(28~43세)와 X세대(44~59세)가 24세일 당시 주택 소유율보다 높았다.   24세를 기준으로 Z세대의 27.8%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만 밀레니얼 세대는 24.5%, X세대는 23.5%로 더 낮았다.   지난 2020년 10월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이 2.83%일 당시 뉴저지 벤트너시에 집을 장만한 24세 집주인 도미니크 베리치아는 “집을 구매해서 너무 행복하다. 당시는 집을 사는 것이 옳은 결정인지 몰랐다. 집을 사서 곤란하게 될까 봐 걱정했었다”고 밝혔다.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Z세대는 전체 주택구매자의 3%에 불과한데 이들은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시기에 주택을 구매하고 있으며 기혼 또는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도 드물다.     하지만 Z세대 주택 구매자의 78%는 부모 등 가족으로부터 다운페이먼트 등 경제적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지대출업체 로켓 모기지의 조사에서도 지난해 모기지 이자율과 주택 가격이 고공행진 하는 어려운 상황임에도 Z세대의 4분의 3이 6년 이내에 주택을 구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NAR 수석 이코노미스트 제시카 라우츠는 “주택 매물이 매우 적고 오랜 기간 부족한 상태가 이어지면서 주택 가격이 상승했다. 동시에 높은 금리로 인해 부동산 시장이 더욱 감당하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임에도 Z세대들의 주택소유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 부동산 전문가들은 주택 구매를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경향이 있어 지난 2021년 1월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이 2.96%로 역대 최저였던 상황을 최대한 활용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팬데믹으로 재택근무 등 원격근무가 가능해짐에 따라 중서부 등 보다 저렴한 지역서 집을 구매한 것도 소유율 상승을 견인했다.     실제로 네브래스카 링컨 지역 주택소유자의 27.7%가 Z세대로 지난 2022년 평균 주택가격이 19만9030달러에 불과해 전국 평균 51만6425달러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었다.   한편, 밀레니얼 세대가 젊은 나이였을 때 선호하던 거주 지역은 샌프란시스코, 보스턴, 시애틀, 워싱턴 D.C. 등 주택 가격이 비싼 대도시였다. 게다가 2000년대 말 경기 침체로 밀레니얼 세대가 부모 집에 거주하는 기간이 길었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주택 구매 시기가 1970~80년대였는데 당시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은 18%를 상회해 큰 부담이 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주택소유율 밀레니얼 전체 주택구매자 주택 소유율 밀레니얼 세대

2024-09-11

젊은세대 주택구매 빨라졌다

팬데믹 이후 급증한 주택 수요와 부족한 공급으로 렌트가 폭등하며 임대난이 심해지자 젊은 세대의 첫 집 구매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센서스국 통계에 따르면, 2016~2022년 사이 전국 주택소유율이 증가했으며 특히 35세 미만 주택소유←율은 4.5% 증가하는 등 타 연령에 비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 부동산 정보업체 렌트카페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 주택소유자는 지난 5년 사이 710만 명(64%) 증가했고, 해당 세대의 52%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뉴욕시의 젊은 세대도 ‘렌트 구하기’에서 ‘집 구매’로 눈을 돌리고 있다. 전국 규모 부동산 중개업체 ‘컴패스(Compass)’의 한인 리얼터 레이 유(Ray Yoo)씨는 “5년 전만 해도 첫 집 구매 평균연령은 30대 중반이었다. 결혼을 앞두고 구매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는데 요즘은 20대 후반~30대 초반으로 구매 연령이 하향됐다”고 전했다. 렌트가 고공행진하면서 모기지 페이먼트와 가격이 비슷해졌고, 렌트 매물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 매년 새로 이사갈 곳을 찾는 부담이 커지며 일찍부터 집 구매를 고려하게 됐다는 분석이다.       32세 한인 남성 엔지니어 A씨(연봉 15만 달러)는 지난달 완공된 아스토리아 신축 콘도 1베드 유닛을 74만 달러에 구매했다. ▶다운페이먼트 14만8000달러 ▶모기지 59만2000달러(월 3664달러) ▶월별 커먼 차지 403달러 ▶월별 재산세 545달러를 계산하면 매달 4612달러를 지불하는 셈이다. 현재 롱아일랜드시티의 1베드 평균 렌트가 약 4500달러인 것을 고려했을 때, 비슷한 금액으로 본인 소유의 집을 가질 수 있기에 내린 결정이다.   33세 프리랜서 에디터 한인 여성 B씨(연봉 8~9만 달러)도 올해 모기지를 받아 4년 전 완공된 브루클린 콘도 2베드 유닛을 89만 달러에 구매했다. 다운페이 18만 달러에 모기지 71만 달러를← 합쳤고, ▶월별 모기지 4396달러 ▶월별 커먼 차지 838달러 ▶월별 재산세 914달러를 포함해 매달 6147달러를 내고 있다. 맨해튼 어퍼이스트사이드 렌탈스튜디오에서 8년 동안 살던 B씨는 매년 급등하는 렌트와 브루클린·맨해튼의 신축 콘도 2베드 유닛 평균 렌트가 6300~6800달러인 것을 고려했을 때, 월← 지출 비용을 줄이고자  집 구매를 결정하게 됐다.       전문가들은 “20대 후반~30대 초반의 12~16만 달러 연봉을 받는 직장인들이 ▶퀸즈 아스토리아 ▶브루클린 ▶어퍼 맨해튼의 60~95만 달러 신축 콘도를 많이 구매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유 리얼터는 “15만 달러 연봉을 받는 직장인의 경우 크레딧이 좋다는 전제 하에 연봉의 다섯 배 정도 금액을 모기지로 받을 수 있다. 약 80만 달러 모기지를 받으면 20만 달러 자금으로 100만 달러 콘도를 구매할 수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윤지혜 기자주택구매 주택소유율 구매 평균연령 구매 연령 브루클린 콘도

2023-08-06

가주 주택 소유율 54.8%, 2019년 수준

가주민의 주택소유율이 54.8%로 전국에서 세번째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전국 평균 역시 54.8%로 가주와 동일하며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을 유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치솟은 주택 가격으로 주민 절반 가까이가 여전히 렌트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번 조사는 질로(Zillow) 자료를 바탕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과 2022년 9개월간의 평균을 비교한 것이다. 가주의 주택소유율은 2019년과 비교해 변화가 없었다.     가주의 경우 집값이 비싼 해안 지역의 주택소유율은 대체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으며, 내륙 지역은 대부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국 메트로 상위 75개 가운데 인랜드 엠파이어(65.2%)의 주택소유율이 가주에서 가장 높았으며, 새크라멘토(64.3%), 샌프란시스코(55.5%), 샌호세(52.7%)가 뒤를 이었다.〈표 참조〉   한인 밀집 지역이자 주택가격이 높은 LA와 오렌지카운티는 47.7%로 가주 평균에 비해 7%정도 낮아 최저 수준을 보였다.     2019년과 비교했을 때 남가주 해안 지역의 주택소유율은 대부분 감소했으며, 북가주와 내륙 지역은 큰 차이가 없거나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주 지역 중 2019년과 비교해 주택소유율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프레즈노로 5.3%포인트 증가했으며, 샌디에이고는 5.3%포인트 감소해 자가 비율이 가장 많이 떨어졌다. LA와 오렌지카운티 역시 소폭 하락(-0.5%)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상승으로 주택 접근성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며 “주택 소유율이 낮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렌트가 이 지역의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평했다.     전국적으로 가장 높은 주택소유율을 보인 주는 웨스트 버지니아로 78.4%에 달했으며, 사우스 캐롤라이나(75.8%), 메인(75.4%), 아이오와(75.1%) 순으로 자가 비중이 높았다. 주택소유율이 가장 낮은 곳은 워싱턴DC(43.1%) 였으며, 뉴욕(54%), 가주(54.8%), 하와이(59%) 순으로 평균 집값이 높은 지역이 자가 비중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지역의  평균주택가격은 42만7000달러로 주택소유율이 높은 지역(30만7057달러)에 비해 약 12만달러 정도 높았다. 주택 가치 역시 이 기간동안 평균 41% 상승해 주택소유율이 높은 곳(31%)에 비해 약 10%정도 더 상승했다.     가주나 뉴욕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택가격 급등으로 구매력이 약화돼 주택소유자로 돌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석이다.   양재영 기자소유율 주택 가주의 주택소유율 주택 소유율 이후 주택가격

2022-12-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