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책 덮은 사람들, 책은 왜 읽어?
“가을은 독서의 계절!” 옛날에 그런 명언이 있었다. 뒤를 이어서 “독서를 왜 가을에만 하느냐. 독서는 근육운동과 마찬가지로 매일 해야 한다”는 근엄한 가르침도 있었다. 여기에는 반드시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혓바늘이 돋는다”는 안중근 의사의 말씀이 따라붙곤 했다. 그리고 세월이 흐르고, 세상이 바뀌어 바야흐로 ‘아무 때도 독서를 안 하는 시대’가 되었다. ‘책 덮은 대한민국’이라는 비판이 심각하게 나오고, ‘지성의 사막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걱정의 목소리가 크다. 그냥 짐작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가 입증하는 확실한 사실이다. 한국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1년 국민독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1년간 만 19세 이상 성인층에서 1권 이상 책(교과서나 참고서를 제외한 일반도서)을 읽은 이의 비율(연간 종합독서율)은 47.5%로, 전체 국민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1년 동안 책을 한 권도 안 읽은 사람이 전체 성인의 절반이 넘는 셈이다. 전년보다 8.2%포인트 줄었고, 독서량은 4.5권으로, 3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 독서율’이란 종이책과 전자책(웹소설 포함), 오디오북의 연간 이용률을 모두 합한 것이다. (참고로, 국민 독서실태 조사는 국가 승인 통계자료로 격년 단위 2년에 한 번 실시한다. 올해 2023년 통계도 곧 발표될 것으로 기대된다.) 짐작하건대 아마도 우리 미주 한인사회의 현실도 한국과 비슷할 것이다. 이 통계 자료를 자세히 살펴보면, 생각할 점들이 한층 분명하게 드러난다. 가령, 매체별 독서율(복수응답률)은 종이책 40.7%, 전자책 19.0%, 오디오북 4.5%로, 직전 조사에 비해 종이책 독서율은 크게 추락한 반면, 전자책과 오디오북은 더디게 증가했다. 종이책을 안 읽는다는 이야기다. 더 길게 보면, 2013년에는 성인 10명 중 7명이 적어도 1년에 한 권 이상 종이책을 읽었지만, 2021년에는 10명 중 4명 수준으로 무려 3명이 증발했다. 그 8년 사이 전자책과 오디오북까지 합한 종합 독서율은 24.7%p 하락했다. 한편, 2017년 발표한 OECD 국가별 성인 1인당 월간 독서량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의 한 달 평균 독서량은 0.8권으로 미국 6.6권, 일본 6.1권, 프랑스 5.9권, 중국 2.6권 등에 비해 크게 낮다. 독서량 순위에서도 세계 166위로 하위권이다. 독서율 하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다른 매체, 콘텐트 이용’이 많았다. 학생들은 ‘스마트폰, 텔레비전, 인터넷 게임 등을 이용해서’를 가장 큰 독서 장애 요인으로 꼽았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국민의 92%가 스마트폰을 통해 정보나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변화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편향성이다. 미디어 전문가들은 독서량 감소가 장기적인 담론 형성, 사회 통합 등 건강한 민주주의가 작동하는 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독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능동적으로 정보를 선택하는 방식이지만, 온라인에서만 정보를 얻으면 각자 입맛에 맞는 것만 받아들이는 ‘확증편향’이 강화돼 사회 통합을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인터넷으로 접하는 정보는 연령, 성별, 계층별로 담론이 파편화되고 있다는 염려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의 결론은 독서를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는 말씀이다. 손가락으로 검색만 하지 말고, 머리와 가슴으로 사색을 하라는 말씀이기도 하다. 가을은 독서의 계절, 책 읽는 계절이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연간 종합독서율 종이책 독서율 매체별 독서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