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조급한 낙관론

스탁데일(Stockdale) 장군은 미 해군 중장이었다. 중장은 별이 세 개다. 그는 베트남전에 참전했다가 8년동안 포로생활을 한다. 일리노이 주 출신이었던 그는 베트남전에 잡힌 미군포로 중에, 가장 높은 지위에 있었던 사람이었다.     그는 포로생활에서 풀려난 뒤에 미국으로 돌아와서 정치에도 잠깐 손을 댄다. 세계적인 갑부기업가 로스 페로(Ross Perot)가 1992년에 무소속으로 미국의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을 때, 러닝메이트로 부통령 후보로 출마했던 것이다.   스탁데일 장군은 포로생활 중에 극심한 고문과 고통을 오랫동안 이겨낼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나는 결국에는 모든 것이 다 잘될 것이라는 믿음을 버린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나는 이 포로 생활에서 반드시 벗어나리라는 확신이 있었다. 게다가 언젠가는 이곳에서의 경험이 반드시 내 인생에 운명 지어진, 보다 나은 일을 하는데 중요한 경험으로 쓰일 것이라는 것을 굳게 믿었다.”   스탁데일 장군은 어떤 사람들이 포로생활을 견디지 못하고 중간에 죽어나갔는지 하는 질문에는 이런 대답을 한다. "포로생활 중에 한 명씩 죽어나가는 것은 조급한 낙관론자들이었다. 조급한 낙관론자들은 ‘이번 크리스마스만 되면 풀려날 수 있을 거야’라고 기대를 한다. 하지만, 크리스마스에 아무 일도 생기지 않고, 한 해가 지나가면 실망을 한다. 그랬다가 다시 ‘부활절까지는 풀려날 수 있을 거야’라고 새로운 기대를 한다. 하지만 다시 부활절에 아무 일도 생기지 않으면 더 큰 실망을 한다. 그러다가 ’Thanksgiving에는 풀려날 수 있겠지’라고 다시 한번 기대를 한다. 하지만 Thanksgiving에도 아무 일이 벌어지지 않으면 절망을 하면서 시름시름 앓다가 결국 죽어나간다.”   그의 말에 따르면 조급한 낙관론자들은 위기에 약하다. 그들은 위기가 계속되면 쉽게 포기한다. 그의 말을 곱씹어 보면, 두 가지 단어가 나온다. ‘조급한’과 ‘낙관론’이다. 그는 자기 자신이 포로생활을 견뎌 낸 것이 ‘낙관론’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문제는 ‘조급한’ 것이다. 미래가 불투명할 때, 위기상황에 빠졌을 때, 낙관론이 위험한 것이 아니라 ‘조급한’ 것이 위험한 것이다. 그가 이야기한 조급한 낙관론자는 너무 쉽게 기대를 했다가 너무 쉽게 실망을 하는 ‘성질이 급한’ 사람이었던 것이다.   위기 상황에서는 문제가 잘 해결될 것이라는 강철 같은 믿음과 낙관론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조급하지는 말아야 한다. 위기는 계속해서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다. 위기는 그렇게 시간이 가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해결되는 것이다.     물론 그 위기를 극복하려는 꾸준한 노력이 있어야만 한다. 게다가 위기가 끝나가는 시기에 또 다른 위기가 우리를 맞이할 것이다. 하지만 그때 위기를 견뎌낸 우리의 맷집은 한층 두꺼워져 있을 것이다.   투자에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도 ‘조급함’ 때문이다. 너무 조급하게 투자를 결정하거나, 너무 서둘러서 투자를 철회하기 때문이다. 사랑에 실패하는 이유도 조급함 때문일 때가 많다. 준비가 안된 상대방을 기다리지 않고 혼자 설레발을 떨다가 번번이 당한다.     아무리 긴 터널도 끝이 날 것이다. 사업도, 투자도, 사랑도 조급함을 버려야 한다. 언제인 지는 모르지만 그날은 반드시 온다. (변호사, 공인회계사)     손헌수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낙관론 조급 8년동안 포로생활 위기 상황 그때 위기

2024-04-11

[우리말 바루기] ‘조급해하다’

“기다리면 기회는 온다. 조급해하지 마라!” 경기가 안 풀릴 때 감독이 건네는 이 한마디가 선수들에겐 초심으로 돌아가 다시 뛸 수 있는 힘을 준다. 일상에서도 종종 듣는 이 조언 속의 ‘조급해하다’는 붙이는 게 맞을까? “조급해 하지 마라”와 같이 띄어 쓰면 안 된다.   ‘조급해’ 뒤의 ‘하다’는 보조용언이다. 본용언의 뜻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하다’는 앞말이 의미하는 대상에 대한 느낌을 가짐을 나타낸다. 보조용언도 하나의 단어이므로 본용언과 띄어 쓰는 게 원칙이다. 경우에 따라 붙이는 것을 허용하나 띄어서 틀릴 일은 별로 없다. 예외가 있다.   ‘조급해하다’처럼 ‘-아/-어하다’ 꼴은 앞말에 붙여야 한다. 형용사(조급하다)에서 동사(조급해하다)로 품사가 바뀌어 하나의 단어로 취급한다. ‘궁금해하다’ ‘예뻐하다’도 마찬가지다.   다만 ‘-아/-어하다’가 구(句)에 결합할 때는 띄어 쓴다. ‘마음에 들어 하다’ ‘내키지 않아 하다’와 같은 경우 ‘하다’를 뒷말에 붙이면 구 전체에 ‘-아/-어하다’가 결합한 것이란 점을 제대로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다.   보조용언을 앞말에 붙여 쓰는 것만 허용하는 경우론 ‘-아/-어지다’도 있다. “서로 친해지다”에서 ‘지다’는 형용사 뒤에 사용해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보조용언이다.우리말 바루기 조급 보조용언도 하나

2022-10-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