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돈의 세계] 젠슨 황의 광속 모험

엔비디아에서 ‘광속’은 일반적인 의미와 다르게 쓰인다. 이 회사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사진)이 “광속으로”라고 지시한다면 그것은 단순히 ‘매우 빠르게’라는 뜻이 아니다.   2023년 12월 4일자 뉴요커 기사 ‘선택된 칩’ 등에 따르면 ‘광속’은 이상적인 속도다. 납기 등을 관리할 때 예산이 무제한이고 모든 것이 완벽하게 진행된다는 가정 하에서 가능한 최고 속도를 가리킨다. 관리자는 그렇게 정한 이상적 목표를 기준으로 변수를 바꿔가면서 성취할 수 있는 현실적 목표를 잡는다. 이 기법은 현재 상태에서 출발해 개선 방안을 찾는 방식에 비해 성과가 컸다. 일본에서 1980년대에 창안돼 국내 업체들도 벤치마킹한 이상목표관리시스템과 일맥상통한다.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가 말했다. “경영은 일을 제대로 하는 것이고, 리더십은 제대로 된 일을 하는 것”이라고. 광속 경영으로 기존 품목의 생산을 제대로 하는 일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변화가 광속으로 진행되는 산업에서는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인력과 자원의 상당 부분을 제대로 된 일, 즉 미래 사업에 투입해 그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 젠슨 황은 제대로 된 일에 도전하는 모험에 누구보다 과감하다. 이미 대기업들이 줄줄이 실패했고 연구자들로부터도 외면되던 병렬 컴퓨팅을 컴퓨터 부분품에 불과한 그래픽 칩에 도입했다. 이후에도 안주하지 않았다. 게임 밖 현실 세계에 눈을 돌렸다. 병렬 컴퓨팅으로 강력해진 엔비디아의 칩은 연구 등에 활용되다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만나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AI 칩 시장에 브로드컴과 AMD가 도전하는 가운데 중국 딥시크가 엔비디아 칩의 성장 탄력을 제한할지 모른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결과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것은 그의 대응으로 AI 산업의 변화가 더욱 빠르고 넓고 깊게 진행되리라는 점이다. 백우진 / 경제칼럼니스트·글쟁이㈜ 대표돈의 세계 젠슨 광속 광속 모험 광속 경영 젠슨 황은

2025-02-16

[글로벌 아이] 젠슨 황의 키노트를 돌려보는 이유

“1000달러짜리 개인용컴퓨터(PC)에 500달러짜리 GeForce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추가하면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됩니다. 데이터센터도 마찬가지입니다. 10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에 5억 달러 상당의 GPU를 보태면 순식간에 인공지능(AI) 공장이 됩니다.”   지난 2일 오후 타이베이의 국립대만대 체육관. 청중 6500여 명 앞에서 AI 구동 원리를 설명하던 젠슨 황(61) 엔비디아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곧 영업사원으로 변신했다.   “속도는 100배 빨라지지만 비용은 1.5배 증가합니다. 더 많이 (엔비디아 GPU를) 구매할수록 당신은 더 많은 돈을 아끼게 됩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꼭 들어맞는 CEO의 셈법입니다.”   이날 젠슨 황의 영어 강연 ‘새로운 산업혁명의 새벽’은 유튜브로 생중계됐다. 중국은 예외였다. 엔비디아는 행사 뒤 한글·중국어·일본어 자막을 서비스했다. 일주일 만에 500만 명 넘게 시청했다.   하이라이트는 2026년 출시할 코드네임 ‘루빈’을 소개할 때였다. 대만 TSMC 등 파트너사를 한계까지 밀어붙여 만들겠다고 했다. 천체의 회전속도를 계산해 암흑 물질을 발견한 미국 천문학자 루빈의 이름을 따 올해 말 출시할 ‘블랙웰’과 연결했다.   시장은 환호했다. 강연 다음 날 나스닥의 엔비디아 주가는 4.9% 급등했다. 시가총액은 3조 달러를 돌파했다. 블룸버그는 미국의 대장 주 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애플 등 3개사의 시총 9조2000억 달러는 중국 증권거래소의 전체 시총 9조 달러를 제쳤다고 집계했다. 황의 재산은 140조 원대로 불었다. 세계 13위 자산가가 됐다.   이날 황은 옴니버스·토큰·물리적 AI·로보틱스 등 미래를 이야기했다. 타이베이의 지인은 “대만은 요즘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문제는 관심 없이 온통 엔비디아와 AI에 푹 빠졌다”라며 “반도체 관련 업체들이 똘똘 뭉쳐 세계 반도체 거물들과 네트워킹에 몰두했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중국은 초조하다. 5~7일 난징(南京)에서 ‘2024 세계반도체대회’를 열었다. 대만 국제컴퓨터전(Computex) 맞불 행사다. 참여사는 지난해 300개 사에서 200곳으로 줄었다. 인텔·퀄컴 총수는 타이베이를 택했다. 심지어 양안을 가른 황의 세계 AI 지도에도 당국은 꿀 먹은 벙어리다.   한국 기업의 총수는 타이밍을 놓쳤다. 한국발 뉴스의 앞자리는 의정 갈등과 풍선 공방 등이 차지했다. AI의 신세계를 주도하는 황의 키노트(keynote)를 계속 돌려보게 되는 이유다. 신경진 / 한국 중앙일보 베이징 총국장글로벌 아이 키노트 젠슨 엔비디아 gpu 엔비디아 창업자 엔비디아 주가

2024-06-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