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삶과 믿음] 정신수양의 필요

탁월한 수학자, 철학자들의 머리는 비싸고 성능 좋은 스포츠카와 같습니다. 스포츠카에 브레이크가 없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 차는 반드시 사고가 납니다. 수양 없는 현대인이 불안증, 강박증 등을 가지는 근원은 정신을 잘 쉬지 못하는 생활 습관에 기인하며, 이 같은 인생은  브레이크 없는 차를 모는 것과 같습니다. 쉬임 없는 우리 인생에서 일어나는 차 사고가 원불교 경전에는 다음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결국은 가패 신망도 하며, 번민 망상과 분심 초려로 자포자기의 염세증도 나며, 혹은 신경 쇠약자도 되며, 혹은 실진자도 되며, 혹은 극도에 들어가 자살하는 사람까지도 있게 되나니….”   어떤 학자의 통계에 따르면 현대인들의 수많은 근심과 염려 중 40%는 실지 현실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것이며, 30% 정도는 돌이킬 수 없는 과거의 실책 등 생각해도 소용없는 것이며, 20%는 아주 하찮은 것이며, 4% 정도는 날씨, 경제 상황 등 우리가 컨트롤하기 힘든 것에 관한 염려라고 합니다.    시험을 치기 전 긴장, 염려를 안 하겠다고 마음먹는다고 우리 마음이 바로 그렇게 되나요? 그 사람 이제 용서하고 미워하지 않겠다고 결심한다고 우리 마음이 바로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과 이제는 비교 안 하고 마음 편안히 살겠다고 생각해도 우리 마음이 바로 그렇게 작동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정신수양으로 마음의 ‘힘’을 길러야 우리 마음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대인에게 정신은 쉬면 쉴수록 그 힘이 강해집니다. 정신을 멈추어서 잘 쉬게 하고 그 힘을 양성하는 방법이 바로 기도, 좌선, 명상입니다. 이 방법은 마음에 힘을 불어넣는 길이며, 원불교 창시자 소태산 대종사께서 “예로부터 큰 도에 뜻을 둔 사람으로서 선(禪)을 닦지 아니한 일이 없느니라” 하시며 선과 명상의 주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 조선 시대 서화담 선생이 어느 날 불교 선방에 가보니 좌선을 하는 스님이 거의 없는 것을 보시고 앞으로 백 년 후에 한국에 명재상, 명장군이 나오지 않겠다고 하고 한탄했다는 말이 있습니다. 염불, 좌선 등의 명상은 우리에게 마음의 힘을 길러 줄뿐더러 그것을 통해 우리는 큰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원불교 3대 종법사였던 대산 종사님께서 “발로도 하는 수양, 눈과 코로 하는 수양도 알아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수양을 ‘반달, 반개’로 비유하셨습니다. 보름달보다 반달이 좋고 활짝 핀 꽃보다 반쯤 핀 꽃이 더 좋다는 이 말은 수행인들의 중도(中道) 생활을 말합니다. 우리가 평상시에 보고 듣는 것을 가능한 한 자제하며 육근문(六根門) 즉 우리의 몸과 마음 특히 보고 듣고 이야기하는 것을 잘 조절하라는 말씀입니다.   수양의 힘이 약하면 외부 경계가 올 때, 작고 약한 나무처럼 바람에 금방 꺾입니다. 수양으로서 우리 마음의 힘이 강해지면 심한 경계와 어려움 즉 태풍이 와도 우리 마음은 흔들리지 않습니다. 수양으로서 우리 마음이 차차 강해지고 성장하는 것을 대산 종사님께서는 얼음 강도에 비유하셨습니다.   “멈추긴 멈추는데 훌렁훌렁하다 꺼진다. 내가 다시 한번 말할 테니까 생각해 보자. 살얼음 같은 수양력인가? 강얼음 같은 수양력인가? 강얼음은 석 달은 가지 한강은 석 달이면 풀리는가? 단단은 하나 그래도 여름이 되면 바그르 한다. 셋째는 철석같은 수양력인가? 쇠와 돌 같은 수양력 그것도 천년만년이 되면 용해되고 분해되어서 없어진다고 그런다. 그러기 때문에 부처님께서 얻으신 대 정력이 수양력이란 것은 녹으면 다 사하기 때문에 억만년을 가더라도 그 수양력은 없어지지 않는단 말이다. 한번은 물어봐라. 지금 너 수양이 어느 정도인가? 우리 교학과 학생들 하루에 몇 번을 멈추는가? 열번입니다. 교도에게 물어봐라. 40번입니다. 계속해서 천만 경계를 당할 때마다 멈추고 또 멈추면 그것이 쌓이고 싸여 정력이 된다. 또 금년도 신년 법문에 고질적인 몹쓸 습관 하나씩을 떼자 했지! 실행하는 분 있으면 실행하려고 애쓰는 분 있는가? 물어봐라. 그리고 수양을 할 것 같으면 간단히 무엇을 하자는 것이며 무엇을 모으자는 것인가?”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삶과 믿음 정신수양 수양력 그것 우리 마음 원불교 창시자

2022-03-1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