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임철호 하이젠 대표] "좋은 제품 재구매·입소문 타고 성장"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건강’이 화두다. 특히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코로나19를 겪은 영향이다.       면역력의 핵심인 잠, 물, 유산균 관련 제품의 소비자 수요가 늘면서 건강종합기업 하이젠(대표 임철호)은 매년 30%씩 성장하고 있다.     임철호 하이젠 대표는 “좋은 제품력에 따른 재구매와 입소문이 성장의 동력”이라며 “최근 매출에 가속력이 붙었다”고 설명했다.       텔레트론과 리본전자를 30년 가까이 운영하며 가전제품이 전문 영역이었던 임대표는 건강제품으로 선회했다. 솔고 바이오메디칼의 의료 매트리스를 사용한 가족의 지병이 나아지는 것을 경험한 것이 계기가 됐다.     솔고바이오메디칼의 건강한 삶의 철학에 매료된 그는 건강과 웰빙 제품에 몰두했다.       2012년 한국 솔고바이오메디칼의 의료용 매트 체험관을 열고 2018년부터는 로컬 브랜드 백금천수로 판매하며 대표 제품으로 성장시켰다.     임대표는 “수면 과학과 의료기술이 집약된 온열 의료기기인 백금천수는 온돌에서 자는 것과 같은 효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숙면과 통증 완화, 면역력 극대화 효능으로 베트남과 중국 시장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며 “주류시장 확장 가능성을 엿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2016년 미주지역에 수소수 정수기를 처음 선보였고, 최근 수소수 상온수기와 수소 흡입기 개발에도 나섰다.     매출이 성장세로 돌아서는 시점에서 임대표는 시장 확장과 제품 업그레이드를 구상했다.     이 두 가지 코드에 맞춰 출시한 신제품이 수소수 보습 미스트와 수소수 텀블러다. 수소수가 항산화 효과로 한국에서 인기를 끌며, 하이젠 수소수 보습 미스트는 피부 보습과 트러블 완화 효과로 인정받았다.   2022년에는 건강보조식품 하이젠 유산균과 뇌 건강보조제인 레시틴 출시로 제품군을 넓혔다.     하이젠은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LA 한인타운 코리아타운 갤러리아에 매장을 열었다. 커머스 시티에 위치한 본사 및 웨어하우스에 이어 LA 한인타운과 오렌지카운티 가든그로브점에 세일즈 거점을 구축했다. 지난해 밸리에 4번째 매장을 열며 시장 확장에 나섰다.     임대표는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가치와 효용성을 알리며 회사가 성장했다”며 “한국의 기술력과 전통적인 건강 노하우를 접목한 검증된 제품을 지속해서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은영 기자임철호 하이젠 대표 재구매 입소문 대표 제품 제품 업그레이드 수소수 보습

2025-02-12

셀러 10명 중 8명 “집값 더 받았어야”

처음으로 집을 매매한 셀러 10명 중 8명은 가격 흥정이나 리스팅 시기 조정 등을 하지 않은 걸 후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정보업체 질로(Zillow)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처음으로 주택을 판 셀러 중 84%는 주택의 판매 시기, 가격 흥정, 스테이징을 두고 더 좋은 결정을 하지 않은 걸 후회했다.     또한 첫 주택 판매자 10명 중 9명은 다른 선택을 했을 때 주택을 더 비싼 가격에 판매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답했다.   질로가 분석한 데이터에 의하면 셀러가 가장 유리하게 가격을 흥정할 수 있는 시기는 4월 중순부터 5월 전까지였다.     이에 그 시기가 가까워짐에 따라 업계의 전문가들은 셀러들이 흔히 범하는 실수를 방지해 판매 이득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 4가지를 소개했다.   ▶가격 승리 전략   적정한 판매 가격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격 경쟁력이 있는 주택은 일반적으로 리스팅 후 31일 이내에 계약이 성사됐다는 게 질로 측의 설명이다. 반면 그렇지 않은 주택의 리스팅 기간 중간값은 73일이었다. 너무 비싸게 리스팅하면 집이 팔리지 않고 제 가격도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판매가 선정 시 좋은 방법은 최근 6개월간 인근 또는 동일 지역에서 판매된 비슷한 크기의 집값을 알아보는 것이다. 정확한 주택 감정을 요청하는 것도 방법이다. 오랜 기간 매물로 내놓는 건 가격 협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주택 외관 관리   주택 판매에서 첫인상도 중요하다. 집 앞 꽃밭이나 나무를 잘 가꿨거나 외벽에 새로 페인트칠을 했다면 더 높은 가격에 협상할 수 있다. 외형이 잘 관리된 주택은 잠재적 주택 구매자들에게 매력 요소로 다가오기 마련이다.     온라인 리스팅에선 특히 더 강점이 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온라인으로 매물을 찾는 바이어가 늘면서 잘 꾸민 외관으로 승부를 보려는 판매자들이 느는 추세다. 질로는 버추얼 3D 홈투어 기능을 업데이트한 주택이 대체로 조회 수 등 관심도가 더 높다고 했다.   ▶타이밍   주택 판매자 4명 중 1명은 잘못된 시기에 주택을 팔았다고 답했다. 하지만 부동산시장에서의 흐름을 정확히 예측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만약 최근 주택 가격이 하락할 것을 예상하고 주택을 처분했다면 현재 6% 후반대를 유지 중인 모기지 이자율에 주택 재구매 부담이 늘어났을 것이다. 항상 저가에 매입해 고가에 매각하는 것만이 부동산 재테크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집수리   스테이징과 집수리에 돈을 투자하는 것도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좋은 방법이다.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집 가치를 올리는 인테리어 방식으로 홈 스테이징(home staging)을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우리말로 ‘주택 공간 꾸미기’로 해석하면 무난하다. 리모델링도 굳이 주방 리모델링과 지붕 교체같이 큰 규모보다는 실내 벽 페인트칠, 카펫 클리닝, 조경 등이 투자대비수익률(ROI)이 가장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셀러 집값 주택 판매자 주택 외관 주택 재구매

2023-04-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