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되살려야 할 장인정신
인공지능은 이미 우리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예술 각 분야도 마찬가지다. 인공지능이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작곡을 하고, 노래를 부르며 인간 예술가를 겁주는 세상이다. 예술과 인공지능을 연결지어 생각할 때 가장 기본적인 것은 기술과 정신, 형식과 내용의 문제다. 예술과 기술은 아주 오래전부터 있어 온 미학의 근본적 주제다. 인공지능에는 마음이나 정신이 없으므로, 아무리 발달해도 인간 예술가와 비교할 수 없다는 식의 친절한 설명도 뒤따른다. 하지만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인공지능 때문에 인간 예술가들이 설 자리가 없어질 것이라는 걱정이 나온 것은 이미 오래전의 일이다. 물론 반대의 긍정적 의견도 있다.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겠지만, 많이 줄어들 것은 분명해 보인다. 정말로 인간이 인공지능을 두려워해야 하는 걸까? 내 생각에는,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이쯤에서 쟁이, 장인정신 같은 우리 전통의 가치관을 진지하게 되새겨보면, 많은 부분이 명확해질 것 같다. 길게 말할 것 없다. 석굴암 본존상, 에밀레종, 금관, 미륵반가사유상, 고려청자 같은 작품과 그것을 만든 이들을 떠올리면 된다. 기술과 정신이 완벽하게 하나로 승화된 위대한 문화유산들…. 오늘날의 ‘쟁이’라는 낱말은 긍정적인 의미가 아니다. 개구쟁이, 심술쟁이, 욕심쟁이, 겁쟁이, 욕쟁이 등 좋지 않은 행동거지나 버릇을 일컫는 말이다. 예술 쪽에서도 환쟁이, 글쟁이, 풍각쟁이 등 낮춤말로 쓰인다. 역사적으로 보면, 예로부터 우리 사회는 쟁이를 높이 대접하지 않고 낮잡아보며 하찮게 취급했다. 선비 사회가 빚어낸 편견인데, 그런 사고방식이 오늘날까지 내려왔다. 이어서 현대화 바람이 불고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시대가 되면서, 장인에 대한 푸대접이 심해진 건 일본이나 한국이나 마찬가지였다. 아무튼, 오늘날 예술하는 사람들을 쟁이라고 부르면 모욕으로 느끼며 화를 낸다. 예술가, 작가, 아티스트라고 높여 불러야 만족한다. 예술가가 되어야지 기능공이나 기술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의 말씀도 많다. 하지만 조금만 깊이 생각하고 공부해보면 사실은 그렇지 않다. 쟁이, 장인정신, 장인 기질 등은 근본적 의미를 갖는 말이다. 기술과 정신세계에서 두루 어느 경지에 오른 예인(藝人)을 이르는 말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옛 장인들은 결코 단순한 기술자나 기능공이 아니었다. 삶과 기예를 따로 떼어서 생각하지 않고, 숭고한 정신세계, 철저한 완성도를 함께 갖춘 예인들이었다. 실제로, 우리는 지금 ‘예술’ ‘예술가’라는 말을 당연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사실은 생긴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낱말이다. 예술이라는 낱말은 현대화 과정에서 일본 사람들이 만들어낸 말이다. 그걸 아무런 저항감 없이 그냥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예술가라는 말 이전에 장인, 쟁이라는 낱말이 있었고, 여기에 인공지능이 도저히 넘볼 수 없는 본질적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다. 사라져가는 장인 정신을 매우 안타까워한 일본의 방송인 에이 로쿠스케는 “나는 장인(匠人)이라는 것을 직업이 아니라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살아가는 방식에는 귀천이 있다”라고 말했다. 기술이나 직업이 아니라 ‘살아가는 방식’이라는 말, 참 무서운 말이다. 인공지능의 솜씨는 흠잡을 데 없이 완벽하다. 감탄스럽다. 하지만 감동이 없다. 바로 이 지점, 감탄과 감동 사이에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닐까? 인간과 인공지능이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는 세상이….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장인정신 인간 예술가들 장인정신 장인 예술과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