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트 앤 테크놀로지] 머신러닝이 이해한 뉴욕현대미술관의 아카이브

뮤지엄 오브 모던아트 로비에 일 층부터 이층에 걸친 커다란 벽에 대형 스크린이 설치되었다. 이 특별전은 2022년 11월 19일 시작하여 올해 5월 말까지 계속된다. 로비에 들어서면 압도적인 스크린의 크기가 관객의 관심을 끈다. 무엇을 보아야 하는지 궁금해한다. 보통 작품 옆에 붙어있는 벽면 텍스트는 저 멀리 54가 쪽 출입구 벽에 붙어있다. 건너편 보조화면에서 작품의 이름이 ‘Unsupervised(감독 되지 않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작정 앉아서 보고 있노라면 대강 세 개의 시퀀스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파도 같은 물결이 시시각각 다른 색깔로 펼쳐지는 것이 하나이고 그다음은 드로잉 같은 이미지들이 줄지어 나오다가 마지막으로 컴퓨터 조정화면처럼 인공지능의 현재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는 그래프와 표 등이 나온다.     사람들은 무작정 비디오 아트처럼 쳐다본다. 하지만 이 작품은 인공지능이 현대미술관의 아카이브 소장자료를 ‘학습’하여 깨우친 배움의 내용을 시각화하여 표현하고 있다. 무려 14만장에 달하는 자료를 학습하였다. 정확한 숫자는 138, 151이다.     한편 비슷한 이미지가 펼쳐지지만 오늘 보는 이미지는 어제 본 화면의 흐름과 뭔가 다르다는 것을 느끼는데 이것은 전시 장소에 특정한 상황을 보여주는 설치작품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비슷한 전개과정의 화면이 색채와 조형적 요소에서 시시각각으로 매일매일 어제와 혹은 한 달 전과 다른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은 인공지능에 빛의 밝기, 바람의 세기 등과 같은 날씨 조건, 관람객의 움직임, 주변의 생활 소음 등을 측정하는 센서를 연결하였기 때문이다. 사람들에게 오늘의 삶의 흐름이 한 달 전의 일상적인 하루와 똑같지 않은 환경 조건에서 살아가는 것과 비슷하다. 인공지능 또한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환경 조건과 외부 조건에 반응하여 ‘배움의 내용’을 시각화하는 것이다. 이것이 보통 시퀀스와 시간 한계가 정해진 채로 무한 반복되는 비디오 아트와 다른 점이다.     ‘Unsupervised’는 터키 출신의 현대미술작가 레픽아나돌(Refik Anadol)의 창작이다. 사람들이 인공지능을 경험하는 맥락이 소비자 민원을 해결하는 응답 소프트웨어 등에 국한되어 지극히 기계적인 반응을 기대하는 것과 정반대의 흐름을 적용하였다. 많은 조건과 가상 시나리오 등에 국한된 활동 혹은 사고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머신러닝 응용 프로그램과 달리 이번 설치 작업에서는 최소한의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인공지능이 ‘감독 되지 않은’ 환경에서보다 적응력을 가지고 학습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꿈을 꾸는 인간의 두뇌처럼 ‘상상’ 같은 작용을 하도록 최대한 간섭을 아니 감독을 배제한 것이다. 따라서 부제는 기계의 환각(Machine Hallucination)이다.     StyleGAN2 라고 부르는 프로세스 소프트웨어는 NVIDIA 회사의 연구자들이 만든 것이다. 이 프로세스에 적응형 판별자 증강 adaptive discriminator augmentation(ADA)이라는 훈련용 기법을 적용하여 적은 데이터로 학습해도 원하는 결과가 나오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아나돌 작가의 스튜디오가 맞춤형으로 따로 제작한 Latent Space Browser를 사용하였다. 이 때문에 학습된 GAN의 잠재공간(Latent Space)에서 생산된 이미지들이 끊임없이 화면에 나타나는 것이다. GAN은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라고 풀어쓰는데 한국어로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이라고 번역한다. 비지도 학습에 사용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 2014년 이언굿펠로우(Ian Goodfellow)라는 컴퓨터공학자가 몬트리올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에 발표한 것이다.     원래 머신러닝에서 입력데이터(input data)와 출력데이터(output data)를 연결하는 사고의 구조인 잠재공간(Latent Space)의 작용이 3차원 구체의 모양으로 보조화면에 나타난다. 대형화면에 나타나는 것은 이렇게 사고과정을 거쳐서 학습한 내용이 시각화하여 표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레픽아나돌의 작품이 현대미술관 로비에 전시되었다는 것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시각적 표현물이 현대미술의 범주에 속한다는 개념적 태도의 전환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해외뉴스토픽 등에 나오는 ‘신기하지만 이상한’ 인공지능 미술작품보다← 아무것도 모르는 관람객들이 십 분이 넘도록 화면의 진행을 지켜보도록 시각적 매력을 선사한다는 것도 나름 긍정적이다. 배경음악은 아나돌과 협업하는 작곡자의 사운드 작품이다. 또한 2층에 큐알 코드를 입력하면 아나돌 작품의 NFT를 블록체인 화폐 지갑에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변경희 / 뉴욕주립대 교수·미술사 전공아트 앤 테크놀로지 뉴욕현대미술관 머신러닝 아카이브 소장자료 머신러닝 응용 건너편 보조화면

2023-01-27

클랩, CES 2023에서 유기박막트랜지스터 (OTFT) 응용 기술 선보여

          유기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소재부품 전문기업인 클랩 (CLAP, 대표이사 김성호 www.clap.co.kr)은 1월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 정보기술 전시회인 ‘CES 2023’에 참가해 유기반도체 (Organic Semiconductor) 재료 기반의 유기박막트랜지스터 (OTFT :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응용 시제품을 전시한다고 5일 밝혔다.   클랩은 독일 BASF로부터 OTFT 재료 원천 특허와 기술을 인수한 이후, 자체적으로 유기반도체 연구 Fab을 갖추고 재료 합성에서부터 응용 제품 설계 및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응용제품 개발을 추진 중에 있으며 국내외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사업협력 파트너십도 구축해가고 있다.     OTFT는 고가의 증착 장비 없이 다양한 코팅 공정으로 (용액 재료) 저렴하게 소자를 제작하는 장점이 있고, 저온 공정 (120℃ 이하)에서 PET, COP, PEN등 플라스틱 필름상에 소자 제작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휘거나 쉽게 깨지지 않는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차세대 TFT이다. 유연한 기능이 요구되어지는 제품군 (Flexible Electronics)의 구동 기판으로서 OTFT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Flexible한 특성 외에 Bendable, Rollable, Wearable등 다양한 폼팩터 (Form Factor) 및 IoT Infrastructure를 위한 다양한 센서 솔루션도 제공 가능하다.   특히, OTFT 제조 공정은 친환경적이다. 공정상에서 유기반도체 및 절연체에 클랩이 자체 보유한 광반응 물질 (Crosslinker : XL-100)을 함유하게 되면 TFT를 직접 패터닝(Direct Patterning)이 가능하게 되는데, 기존에 포토레지스트 및 RIE (반응성 이온 식각, Reactive ion etching)를 활용한 방법 대비 공정을 1/3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저탄소 배출 등의 친환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클랩 OTFT의 차별적인 솔루션중의 하나이다.   이번 CES 2023에서 클랩은 IoT Infrastructure Sector에 전시부스를 마련하여 (한국센서관, 부스번호 10824), 유기반도체재료 기반의 OLED Mobile 대화면 지문인식센서 솔루션 및 투명 Micro LED용 Active Matrix 구동  시제품 등을 선보인다.     클랩의 김성호 대표는 "보유하고 있는 유기반도체 소재부품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대화면 지문인식센서, 투명하고 유연한 Micro LED Display를 위한 TFT 구동 기판 사업화를 최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CES 2023 전시 참가를 통해 기술을 더욱 알리고,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 파트너십도 확대 강화할 예정이다. 궁극적으로 클랩은 유기반도체재료 기반으로 더 적은 에너지, 더 적은 폐기물, 더 적은 유해물질을 사용하는 친환경 기업으로 계속 나가고자 하며, 유연 전자 (Flexible Electronics) 응용사업에서 세계 최고의 기업이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클랩 (CLAP) 소개] 클랩은 유기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30년 이상 경험을 가진 핵심인력으로 설립된 벤처 스타트업이다. 관련분야에서 700여개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개발 (R&D) 전문기업이다.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으로 인증받았고, 보유하고 있는 유기물반도체 기술을 인정받아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에도 선정되었으며 K-Display 2022 정보디스플레이대상에서 산자부장관상을 OTFT 기반의 지문인식솔루션 기술로 수상하였다. 국내외 기업들과 사업 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도전과 함께 미래 성장을 준비 중에 있다.    이동희 기자 (lee.donghee.ja@gmail.com)유기박막트랜지스터 응용 공정 기술 응용제품 개발 유기반도체 연구

2023-01-04

[골프칼럼] <2191> 기교가 아닌 용기로 샷을 만들라

샷 메이커(shot maker), 이른바 낮거나 높은 탄도의 구질과 훅(hook), 슬라이스(slice), 페이드(fade)와, 드로(draw) 구질을 스스로 만들어 치는 것을 뜻하는 용어이다.     스윙의 실수로 인한 구질이 아닌 본인이 의도하여 인위적으로 만들어 치는 샷, 즉 해당 홀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휘어져 있거나 장애물을 피하여 목표물을 공략할 때 샷을 만들어 친다.     이외 앞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백 스핀(back spin)을 걸어, 볼을 그린에 세울 때와 나무 밑에서 낮은 탄도의 구질로 빼내거나 휘어지게 치는 방법 등 응용 방법도 가지각색으로 상황에 따라 클럽 선택이나 그 적용 방법도 다양하다.     만들어 치는 샷은 거리와 방향조절이 쉽지 않고 볼의 구름이나 꺾여 지는 각도를 예측해 볼을 쳐야 하기 때문에 설계를 하듯 정확한 수치와 상상력을 토대로 실행해 나가야 한다.     여기에는 실전과 같은 연습이 필요하고 자신의 구질이 파악돼야 이를 실전에 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슬라이스나 페이드 샷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스탠스(stance)와 그립(grip) 형태가 필수적이며 볼의 위치 또한 기본적으로 갖춰져야 한다. 훅이나 드로우, 즉 왼쪽으로 볼을 꺾이거나 휘어지게 치려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슬라이스나 페이드 샷과 비교할 때 훅이나 드로우가 까다롭고 어렵다. 특히 왼쪽으로 휘어진 홀(dog leg)을 공략하거나 장타로 승부를 걸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볼에 구름(run)이 많은 드로우 샷이 적격이다.     드로우 볼을 치기 위해서는 먼저 스탠스를 목표를 향할 때 직각 상태에 있던 양 발 중 오른발을 왼발보다 약간 뒤로 빼내(closed stance)선다.     그리고 임팩트를 한 후 팔로 스루(follow through)가 끝날 때까지 왼발의 무릎 각도를 유지하며 팔로 스루까지 오른발 뒷꿈치를 절대 들지 말아야 드로우 샷이 만들어진다.     이때 필수적으로 지켜야 할 사항은 헤드 업(head up)과 스웨이(sway), 즉 볼을 치는 순간 목표 방향으로 머리나 상체가 딸려 나가거나 시선이 볼을 따라가면 허사로 돌아가 각별한 주의도 필요하다.     아이언 샷 역시 그 방법은 동일하다. 이 때 볼 위치는 중앙의 위치에서 왼쪽으로 옮겨질수록 볼에 휘어짐이 많다는 것을 감안하여 볼 위치를 정해야 한다.     만약 왼쪽으로 심하게 휘어지는 샷을 구사하려면 클로즈 스텐스와 함께 훅 그립을 쥐어야 왼쪽으로 완전히 휘어지는 샷을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훅샷(hook shot)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볼을 치는 순간 자신의 머리위치가 볼 보다 오른쪽에 오랫동안 남아 있어야 의도하는 샷을 만들 수 있고 기교보다는 자신감이 있어야 샷을 성공시킬 수 있다.     ThePar.com 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기교 용기 응용 방법 오른발 뒷꿈치 적용 방법

2022-04-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