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공감하고 융통성 보여야 자녀의 고난 극복 능력 자란다
과연 입학 사정관이 대입 지원서만 보고 학생을 잘 선별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던 적이 있다. 그런데 여러 해 수험생들을 지도하다 보니 대입 에세이를 보면 그 학생이 보인다는 사실이 점점 더 뼛속 깊이 느껴진다. 그중에서 힘들거나 하기 싫은 일을 참고 이겨내는 힘이 부족한 학생이 많다는 것이 요즘 부쩍 눈에 띈다. 학업뿐 아니라 인간관계, 사회관계에도 수많은 도전이 있다. 그래서 대입 추천서 난에도 학생의 고난 극복 능력을 표시하는 난이 있다. 대학 생활 중 맞이하게 될 고난에 굴복하는 학생들은 중도 포기를 하거나 전학을 고려하게 되므로 대학 측은 이런 점들을 알기 원하는 것이다. 왜 어떤 아이들은 힘든 일이 있어도 끝까지 버티고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고 어떤 아이들은 문제 앞에서 좌절하는지 고난 극복 능력을 키워 주는 구체적인 방법을 이야기해 보자. 1. 공감 부모의 공감 능력은 자녀의 마음 상태와 행동을 자녀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능력이다. 부모의 공감 능력과 자녀의 공감 능력은 매우 높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어떤 감정이 발생한 이유, 감정과 행동 간 차이를 인지할 수 있어야 감정을 관리하고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감정을 적절해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은 여기에서 길러진다. 이후에 자신의 감정을 생산적으로 활용하는 능력도 요구되는데 이런 능력은 부모가 자녀의 감정을 충분히 읽고 함께 나누어 줄 때 비로소 자라날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친구에게 맞고 온 자녀를 보니 화가 난다. 하지만 야단을 치거나 화를 내기보다는 자녀를 안아주고 다독여주면서 자녀가 화가 나는지, 창피한지, 슬픈지 등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게 해 준 이후 자녀가 화가 나 때려주고 싶었는지, 누군가 도와줄 사람이 있으면 좋겠는데 엄마가 옆에 없어 속상했는지 그때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 주고, 다음에는 어떻게 대응하면 좋겠는지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해 준다. 2. 격려 및 증진 격려는 기분 좋은 상태일 때는 더욱 강한 의욕을 주고 침울할 때는 다시 시도할 에너지를 갖게 해준다. 격려를 통해 “나는 할 수 있어. 나는 도움이 될 수 있어. 나는 내게 일어나는 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하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게 되는데 이는 사회적 책임감을 가르치는 역할을 한다. 격려는 부모나 교사가 아이를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존중하고 믿고 있다는 것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려움에 부딪히더라도 일어서는 큰 힘을 제공한다. 3. 융통성 융통성은 자녀와의 갈등 문제를 가지고 있을 때 적절하게 합의점을 찾는 과정을 말한다. 자녀에게 정해진 원칙만을 강요하기보다는 자녀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적절한 합의점이나 양보를 할 수 있는 것이 융통성이다. 원칙과 규칙을 양보하거나 타협한다고 해서 결코 그것이 비교육적인 것은 아니다. 부모가 바라는 것과 자녀가 바라는 것이 반대될 때, 해결점이나 중재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때, 부모가 융통성을 발휘하는 유연한 모습을 보면서 자녀들도 유연함과 타인에 대한 관대함을 배울 기회가 된다. 4. 인정하는 말과 행동 부부싸움을 한 날, 남편과 비슷하게 행동하는 아이를 보면 나도 모르게 아이에게 톡 쏘는 말로 아이의 행동에 대해 강한 부정적인 정서를 들어내기 쉽다. 아이의 실수를 보고 고쳐주고 싶은 말을 한다는 것이 지나치게 부정적인 말과 함께 부정적인 정서를 드러내기가 쉽다. 하지만 부모의 감정을 즉흥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아이는 훈계가 아니라 자신에 대한 거부적 태도라고 느낀다. 5. 통제와 합리적 권위 오늘 하겠다고 약속을 지키고 정해진 시간 내에 귀가하게 하는 등 통제 및 규칙 지키기를 가르치는 것은 그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아이의 행동을 통제함에 있어서 공감하기나 융통성을 고려하지 않고 권위적인 태도로 가르친다면 오히려 역기능을 줄 수 있다. 자녀의 행동을 통제해야 할 때 부모의 힘을 이용한 일방적 통제보다는 합리적인 이유와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른을 보면 인사하지 않는 자녀를 가르치기 위해 그때의 상황적 맥락이나 기분에 상관없이 규칙을 강요한다면 이는 융통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권위적인 태도로 통제된 자녀들은 자신보다 약한 사람을 힘을 이용해 통제하려고 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문의: (323)938-0300 www.a1collegeprep.com 새라 박 원 / A1칼리지프렙융통성 부모 공감 능력 자녀 입장 이후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