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문화산책] 훌륭한 한글 서예작품의 어려움

한국의 국정원 건물은 사진으로 봐도 위풍당당하고 매우 위압적이다. 그 앞에 커다란 돌덩어리가 놓여 있고, 거기에 원훈(院訓)이라는 것이 새겨져 있다.     그런데 얼마 전, 그 원훈이 새겨진 돌을 바꿨다는 뉴스를 접하고 어리둥절했다. 그동안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한없는 충성과 헌신’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는데, 이것이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라는 글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 문구는 1961년 김종필 초대 원장이 만든 것이다. 61년 전으로 회귀한다는 이야기다.   원훈의 내용이 갖는 의미는 잘 모르겠고, 내가 관심을 갖는 것은 글씨체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있던 원훈의 서체는 쇠귀 신영복 교수의 글씨체다. 그의 글씨체는 이른바 ‘민중체’ 또는 ‘어깨동무체’라고 불리는 것인데, 이것이 국정원의 취지나 성격과 맞지 않고, 국가 정체성과 충돌하기 때문에 바꿨다는 것이다. 실제로, 신영복체 원훈석은 공개 때부터, 전직 국정원 간부들이 시위를 벌이며 결사반대했고, 그 글씨체를 ‘간첩체’라는 막말로 부르기도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반대의 이유는 신영복 교수가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사상범으로 장기복역한 사람인데, 그런 사람이 쓴 글씨를 국정원의 얼굴로 삼는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나는 그런 포용력이 오히려 참신하고 건강하다고 생각했는데, 사람마다 생각은 크게 다른 모양이다. 아무튼, 그래서 1년 만에 교체되기에 이른 것이다.     글씨체에도 사상이나 이데올로기를 담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발상도 매우 신기하다. 신영복 교수의 붓글씨는 상당히 인기가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름난 소주병의 글씨를 비롯해,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등 여기저기서 만날 수 있다. 그런 상황에서 글씨체를 가지고 시비를 거는 것이 어쩐지 어처구니없다. 그렇다면, 신영복체로 명패를 단 소주를 마시는 것은 사상적으로 위험하다는 말인가?   이야기가 나온 김에 한글 붓글씨에 대해서 몇 마디 보태고 싶다. 붓글씨는 동북 아시아 3국의 전통문화를 오랫동안 지탱해온 큰 기둥이다. 단순한 필기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나라에 따라 받아들이는 자세도 다르다. 가령, 같은 붓글씨지만, 중국에서는 서법(書法), 일본에서는 서도(書道)이고, 한국에서는 서예(書藝)라고 칭한다.   하지만, 그 전통의 공통적 바탕은 한문이다.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조선시대 내내 선비들은 한문은 진서(진서)이고, 한글은 언문 또는 암글이라고 낮잡아 부르며 푸대접했다.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글자인 한글을 몰라보고 홀대한 것이 우리의 부끄러운 역사다.   그러니 한글 서예가 자리 잡을 여지도 없었다. 이른바 명필들도 모두 한문을 썼고, 한글은 아내나 가족들에게 보내는 편지에나 쓸 정도였다. 한글 붓글씨는 궁체(宮體)가 간신히 명맥을 이어온 것이 현실이다.   해방 이후 의식 있는 서예가들이 한글 붓글씨를 쓰기 시작했지만, 개성이 살아있는 자기 서체를 이룬 사람은 손재형, 김충현, 서희환, 이철경, 김기승 등에 그친다. 그 중 가장 대중적 인기가 높은 것이 신영복 교수의 민중체였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에는 ‘손글씨’ 또는 ‘칼리그라피’라고 부르는 감각적이고 상업적 붓글씨가 인기를 끌면서, 예술적 차원의 한글 서예가 발전하기는 한층 더 어렵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아름답고 품격 있는 한글 서예작품이 많이 나오기를 바랄뿐이다. 한글의 빼어난 조형성은 이미 여러 모로 증명된 바 있다. 장소현 / 미술평론가·시인문화산책 서예작품 어려움 한글 서예작품 한글 붓글씨 한글 서예가

2022-09-12

한국 전통 예술미 미국서 재조명

전통과 현대, 한국과 미국, 세대를 잇는 전시회 ‘라인 앤 제스처(Line & Gesture)’가 LA 한인타운에서 열린다.     삼평장학재단(회장 이유생)과 한국서예협회(회장 김기동) 공동 주최로 한국 전통 예술과 문화를 미국 현지에서 재조명하는 이번 전시는 오는 17일부터 23일까지 E.K. 아트 갤러리(관장 유니스 김)에서 일주일 동안 진행된다.     삼평장학재단은 “대한서예협회, WTC 무도회, 미주한인무용협회가 협력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며 “LA 주민들에게 100여 점의 전통 서예작품과 전통 예술 공연을 통해 한국 예술의 역사를 기념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전시장 벽면을 따라 서예가 100명의 한국 전통 서예 10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된다. 족자에 담긴 서예작품부터 대형 부채 작품 등 한국에서 작품으로서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장식으로 인기인 다양한 서예작품을 선보인다.     또 일부 작품은 NFT로 디지털화되어 메타버스에서 전통 예술 작품과 디지털 아트와의 연결을 보여준다.     17일 열리는 개막 행사에서는 서예, 태무, 장구춤, 부채춤 공연이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열린다.     재단측은 “할리우드 영화 ‘브라인드스티치’의 한인 배우 김종만 씨가 홍보 대사로서 행사 진행을 맡고 서예뿐만 아니라 부채춤, 아리랑, 장구춤, 태권도 시범, 서예 퍼포먼스 등 한국 전통 예술 라이브 공연을 선보인다”며 “오늘날 한국 대중문화의 발판을 마련한 한국 전통 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시가 진행되는 일주일 동안 모든 작품 구매가 가능하며 협회 회원들이 기부한 작품 100여점 판매 수익금은 온누리교회(ANC)를 통해 2세와 3세 한인들을 지원하는 데 사용된다.     삼평장학재단 설립자인 이유생 회장은 “한국 전통문화를 세계로 알리는 것이 이번 전시회의 첫 번째 목적”이라며 “두 세대의 교량, 양국 문화 가교, 전통과 현대를 잇는 전시회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소: 1125 S. Crenshaw Blvd. LA     ▶문의: (213)268-1177 이은영 기자미국 예술미 전통 서예작품 한국 전통 한국 예술

2022-09-11

[문화산책] 훌륭한 한글 서예작품의 어려움

한국의 국정원 건물은 사진으로 봐도 위풍당당하고 매우 위압적이다. 그 앞에 커다란 돌덩어리가 놓여 있고, 거기에 원훈(院訓)이라는 것이 새겨져 있다.     그런데 얼마 전, 그 원훈이 새겨진 돌을 바꿨다는 뉴스를 접하고 어리둥절했다. 그동안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한없는 충성과 헌신’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는데, 이것이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라는 글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 문구는 1961년 김종필 초대 원장이 만든 것이다. 61년 전으로 회귀한다는 이야기다.   원훈의 내용이 갖는 의미는 잘 모르겠고, 내가 관심을 갖는 것은 글씨체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있던 원훈의 서체는 쇠귀 신영복 교수의 글씨체다. 그의 글씨체는 이른바 ‘민중체’ 또는 ‘어깨동무체’라고 불리는 것인데, 이것이 국정원의 취지나 성격과 맞지 않고, 국가 정체성과 충돌하기 때문에 바꿨다는 것이다. 실제로, 신영복체 원훈석은 공개 때부터, 전직 국정원 간부들이 시위를 벌이며 결사반대했고, 그 글씨체를 ‘간첩체’라는 막말로 부르기도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반대의 이유는 신영복 교수가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사상범으로 장기복역한 사람인데, 그런 사람이 쓴 글씨를 국정원의 얼굴로 삼는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나는 그런 포용력이 오히려 참신하고 건강하다고 생각했는데, 사람마다 생각은 크게 다른 모양이다. 아무튼, 그래서 1년 만에 교체되기에 이른 것이다.     글씨체에도 사상이나 이데올로기를 담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발상도 매우 신기하다. 신영복 교수의 붓글씨는 상당히 인기가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름난 소주병의 글씨를 비롯해,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등 여기저기서 만날 수 있다. 그런 상황에서 글씨체를 가지고 시비를 거는 것이 어쩐지 어처구니없다. 그렇다면, 신영복체로 명패를 단 소주를 마시는 것은 사상적으로 위험하다는 말인가?   이야기가 나온 김에 한글 붓글씨에 대해서 몇 마디 보태고 싶다. 붓글씨는 동북 아시아 3국의 전통문화를 오랫동안 지탱해온 큰 기둥이다. 단순한 필기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나라에 따라 받아들이는 자세도 다르다. 가령, 같은 붓글씨지만, 중국에서는 서법(書法), 일본에서는 서도(書道)이고, 한국에서는 서예(書藝)라고 칭한다.   하지만, 그 전통의 공통적 바탕은 한문이다.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조선시대 내내 선비들은 한문은 진서(진서)이고, 한글은 언문 또는 암글이라고 낮잡아 부르며 푸대접했다.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글자인 한글을 몰라보고 홀대한 것이 우리의 부끄러운 역사다.   그러니 한글 서예가 자리 잡을 여지도 없었다. 이른바 명필들도 모두 한문을 썼고, 한글은 아내나 가족들에게 보내는 편지에나 쓸 정도였다. 한글 붓글씨는 궁체(宮體)가 간신히 명맥을 이어온 것이 현실이다.   해방 이후 의식 있는 서예가들이 한글 붓글씨를 쓰기 시작했지만, 개성이 살아있는 자기 서체를 이룬 사람은 손재형, 김충현, 서희환, 이철경, 김기승 등에 그친다. 그 중 가장 대중적 인기가 높은 것이 신영복 교수의 민중체였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에는 ‘손글씨’ 또는 ‘칼리그라피’라고 부르는 감각적이고 상업적 붓글씨가 인기를 끌면서, 예술적 차원의 한글 서예가 발전하기는 한층 더 어렵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아름답고 품격 있는 한글 서예작품이 많이 나오기를 바랄뿐이다. 한글의 빼어난 조형성은 이미 여러 모로 증명된 바 있다.  장소현 / 미술평론가·시인문화산책 서예작품 어려움 한글 서예작품 한글 붓글씨 한글 서예가

2022-09-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